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요약 "낯설게 하기"는 예술기법의 하나로 러시아의 문학자이자 형식주의자인 빅토르 시클로프스키가 개념화했다. 그는 사람들이 매일 마주치는 일상적이고 친숙한 것보다 새롭고 낯선 대상으로부터 미학적 가치를 느낀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낯설게 하기’라는 개념을 받아들인 브레히트는 예술이 심미주의로 흐르거나 이데올로기를 위한 도구로 전락하지 않고 실천적인 가치를 창조하는 이론으로 정착시키는 데 기여했다.
일상적이고 익숙한 사물이나 관념을 낯설게 하여 전혀 새롭게 느끼도록 하는 예술기법의 하나. 빅토르 시클로프스키(Viktor B. Shklovsky)가 제안한 이 기법은 러시아 문예사조의 하나인 형식주의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고, 독일의 연극 연출가이자 시인인 베르톨트 브레히트(B. Brecht)에 이르러 중요한 결실을 맺게 되었다.
1935년 러시아에서 메이란팡(梅蘭芳)의 중국 경극을 관람한 브레히트는 이를 통해 기존의 서양 연극이 가진 관습을 전복시키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았다. 이른바 서사극이라 부르는 이 경극이 브레히트에게는 매우 낯설게 보였다. 이 연극의 요체는 관객이 연극에 몰입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극의 현실에 거리를 두도록 하는 것이었다.
브레히트는 종종, 배우들로 하여금 연극이 끝난 뒤 관객을 향해 이렇게 말하도록 했다. “여러분, 하지만 현실에서는 절대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없습니다.” 이 거리 두기의 목적은 관객이 몰입을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 속으로 자연스럽게 빠져드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브레히트의 ‘낯설게 하기‘는 분명하고 명백한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 놀라움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연극적인 시도였다.
러시아의 형식주의자들이 ‘낯설게 하기’를 언어, 특히 시어(詩語)의 효과로 받아들인 데 반해 초현실주의자들은 이것을 사물의 효과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초현실주의자들은 사람들이 사물을 낯설게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 특별한 오브제를 사용했다. 이들은 무의식 속에 습관화된 이데올로기나 매일 보는 일상적인 대상 속에 감추어져 있는 경이로움을 느끼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대표적인 예로 마르셸 뒤샹의 <변기>를 들 수 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변기를 화려하고 우아한 미술관에 전시함으로써 변기는 전혀 낯설고 새로운 대상이 된다. 이때 변기는 변기의 용도를 넘어, 변기 그 자체로서 독립적인 대상물로 인지하도록 하여 보는 이의 이목을 환기시키고 신선한 충격을 준다.
시클로프스키=낯설게 하기
러시아의 문예학자 빅토르 보리소비치 시클로프스키Victor Borisovich Shklovsky(1893-1984)가
시클로프스키는 모든 기교성artfulness은 낯설게 하기의 기법이라고 했으며, 예술이란 그 기교성을
|
1. ‘낯설게 하기’와 분행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에 의하면 리듬과 律格은 엄격히 구별된다. 율격은 이미 정해져 있는 기계적 형식이다. 이는 韻과 더불어 리듬을 형성하기 위한 부수적 요소에 지나지 않는다. 리듬은 傳統律格을 파괴하여 소리와 의미에 충격을 주는 形成的 원리다. 이는 시의 다른 요소들과 관련해서 한 편마다의 시가 언제나 새롭게 형성되는 것이다. 리듬은 언제나 動的이다. 전통율격이나 표준 언어는 圖式化 되어 있어 낯익은 것이지만 이런 自動化를 파괴한 시는 신선한 충격을 준다. 낯설게 하기란 바로 예술의 본질이다. 리듬이란 이런 낯설게 하기의 산물이다.
山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없이 / 꽃이 피네 //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 산에서 우는 작은 새요 / 꽃이 좋아 / 산에서 / 사노라네 // 산에는 꽃이 지네 / 꽃이 지네 / 갈 봄 여름없이 / 꽃이 지네 // - 김소월 <산유화> -
이 작품은 3음보(3.3.4조의 음수율)의 전통율격에 의해 시어들이 조직화돼 있다. 그러나 소월은 3음보를 한 행으로, 때론 2행, 3행으로 배열하여 변화를 준다. 이런 변화가 낯설게 하기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형식주의 관점에서 보면 <산유화>는 반복성과 대치성의 구조다. 4개 연의 끝이 모두 감탄형 종결어미 ‘~네’로 통일된 유사성을 띠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연은 의미론적으로, 行갈이에서 대칭구조를 이룬다. 미시적으로 1연의 생성과 4연의 소멸이 의미론상 대칭되고, 2연의 고독과 3연의 화합이 대칭된다. 거시적으론 1연과 4연의 외재연과 2연과 3연의 내재연이 대칭을 이룬다. 곧 외재연의 행갈이에 있어 3음보가 2행으로 分行되고, 의미론상 시공의 확산을 보인 반면, 내재연은 3음보가 1행으로 배열되거나 3행으로 배열돼 있으며 시공의 축소를 보인다. 산유화는 3음보의 등가체계로써 행을 분할하는 것을 파괴한 낯설게 하기의 기법이 구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과 대립이 얽혀 있는 규칙성을 보이는 것이다. 分行과 分聯은 근본적으로 일상 언어를 파괴하는 낯설게 하기의 기교다. 같은 구문을 분행했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사이엔 의미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운문과 산문의 차이가 되는 것이다. 낯설게 하기는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현대 자유시는 과거 자유시에 대해서 낯설게 하기의 산물이 되었으나 자유시에 익숙해진 오늘 날엔 더 이상 충격이 되지 않는다. 자유시가 자동화, 인습화 되고 있는 것이다.
2. 자유시와 산문시 정형시는 시의 정통성을 지키는데 있다. 이런 정형성을 파괴하고 이탈하는 형태가 자유시와 산문시다. 자유시는 유기적 형식이라는 낭만주의 관점에서 유래한다. 주어진 형식의 틀에 내용이 담겨지는 것이 아니라 내용에 맞는 형식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는 것이다. 낭만주의 관점에서 형식은 아직 불확실하고 미규정적이다. 시람 삶의 과정과 상응해야 하고 의미(관념)가 경험의 과정 가운데 있기를 원한 낭만주의 詩觀에서 - 내용이 형식인 정형시처럼 - 일정한 형식이 미리 주어 있지 않았다. 자유시의 자유란 - 운율, 행, 연의 규칙성에서 자유인 것이다. 산문시는 자유시를 지향하는 운동의 한 부분이다. 우리의 경우 육당의 <여름구름>, 춘원의 <옥중호걸> 등 개화기 신체시에서 그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산문시가 자유시 운동의 일환으로 일어났다고 다 같이 전통 정형성을 파괴했다는 점에서 자유시와 산문시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산문으로 씌어 진 이런 시는 일종의 잡종이다. 산문시는 짧고 압축됐다는 점에서 ‘詩的 散文’과 다르고, 행을 파괴한다는 점에서 자유시와 다르고, 보통보다 명백한 운율과 소리효과, 이미저리, 표현의 밀도를 갖춘 점에서 짤막한 산문의 토막과 다르다. 중간 운과 율격적 연속을 지닐 수도 있다. 자유시는 행(연)이 구성단위가 되지만 행 구분이 없는 산문시는 단락이 구성단위가 된다. 율격적 요소가 전혀 없는 것이 아니라 율격적 연속을 갖추어야 한다. 자유시나 산문시나 정형성에서 이탈한다는 점에서 비정통적이지만 엄격한 언어의 선택, 비유적 상징적 언어사용, 극적 수단과 표현의 밀도 등을 갖춘 점에서 시의 정통성에 닿아 있는 것이다.
3. 리듬의 현대적 의의 파운드(E Pound)는 시를 음악시, 회화시, 논리시로 구분했다. 음악시(melopoeia)는 음아적 성질을 통하여 직접적 호소력를 지니는 시고, 회화시(phanopoeia)는 시각적 이미지를 중시한 시고, 논리시(logopoeia)는 말의 이미지적 용법으로 이루어지는 아이러니컬한 특성을 지닌다. 현대시의 미학적 중심은 음악적 차원에서 시각적 차원으로, 지적이며 논리적 차원으로 변모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시에서 정서를환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는 시의 음악적 성격이다. 현대시가 이를 외면한다는 것은 감수성의 분리가 아니라 정서의 상실을 의미한다. 정서의 상실은 시를 소외 시키는 원인이 된다. 결국 한 편의 시는 리듬, 이미지, 의미의 3요소의 유기적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