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미 병들어
2018년 07월 19일 22시 42분  조회:2977  추천:0  작성자: 죽림

 

 

장미 병들어

 

            

                              윤동주 

 

 

 

장미 병들어

옮겨 놓을 이웃이 없도다.

 

달랑달랑 외로이

황마차(幌馬車) 태워 산에 보낼거나

 

뚜 -구슬피

화륜선(火輪船) 태워 대양에 보낼거나

 

프로펠러 소리 요란히

비행기 태워 성층권(成層圈)에 보낼거나

 

이것저것

다 그만두고

 

자라가는 아들이 꿈 깨기 전

이내 가슴에 묻어다오.

​==========///


오늘은 오랜만에 윤동주님의 시 한편을 
읽어봅니다.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 
수록되어 있는 "장미 병들어"라는 
시입니다.

이 시는 어두운 일제강점기의 현실에 
침울해있던 윤동주 시인이 연희전문
시절에 산울림, 비 오는 밤, 사랑의 전당,
슬픈 족속 등과 같이 생활 속의 괴로움을 
노래하고 막연한 방황에서 탈피를 
모색하며 쓴 시라고 합니다.

윤동주 시인은 국치의 울분을 달래며 
한 맺힌 일생을 시로 표현하며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는 삶을 
살다가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저항시인이죠.

 

 


 

 

 

윤동주

장미 병들어

 

 

장미 병들어
옮겨 놓을 이웃이 없도다.

달랑달랑 외로이
황마차 태워 산에 보낼거나

―― 구슬피
화륜선 태워 대양에 보낼거나

프로펠러 소리 요란히
비행기 태워 성층권에 보낼거나

이것저것
다 그만두고

자라가는 아들이 꿈을 깨기 전
이내 가슴에 묻어다오.

 

 

이 시는 자라가는 아들이 병든 장미를 보고 꿈을 잃어버리기 전에 자신의 가슴에 묻어주기를 바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시의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미 병들어 있다이 장미를 다른 곳에 옮겨 놓을 이웃이 없다이 장미를 달랑달랑거리며 외로이 가는 포장이 씌여진 황마차 태워 산에 보내야 하나아니면 뚜―― 하며 구슬피 우는 화륜선 태워 대양에 보내야 하나아니면 프로펠러 소리를 요란하게 내며 나는 비행기 태워 성층권에 보내야 하나아니다이것저것 다 그만두고 자라가는 아들이 꿈을 깨기 전에 이내 가슴에 묻어다오.

 

이 시를 구절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미 병들어 /옮겨 놓을 이웃이 없도다.’는 장미가 병들었는데 이 장미를 옮겨 놓을 이웃이 없다는 말이다이 때 장미는 우리가 식물이 아니라 상징으로 쓰였다이 장미를 이내 가슴에 묻어다오.’에서 알 수 있다식물이라면 가슴에 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달랑달랑 외로이 황마차 태워 산에 보낼거나 // ―― 구슬피 화륜선 태워 대양에 보낼거나 // 프로펠러 소리 요란히 비행기 태워 성층권에 보낼거나는 화자가 장미를 아들이’ 볼 수 없는 곳으로 보낼 궁리를 하는 것을 말한다. ‘달랑달랑 외로이는 황마차를 생각하며 느끼는 감정이다. ‘―― 구슬피는 화륜선을 생각하며 느끼는 감정이다. ‘황마차는 포장이 처있는 마차를 말한다. ‘’, ‘대양’, ‘성층권은 화자와 아이가 갈 수 없고볼 수 없는 먼 곳을 말한다이렇게 장미를 먼 곳으로 보내려고 궁리하는 것은 장미가 병들어 있는 것을 보고 자라가는 아들이’ 병든 장미를 보고 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현실의 문제를 회피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것저것 다 그만두고 // 자라가는 아들이 꿈을 깨기 전 이내 가슴에 묻어다오.’는 앞 연의 방법을 다 포기하고 아들이 꿈을 깨기 전에 화자의 가슴에 묻는 방법을 택했다는 것을 말한다여기서 은 화자의 아들이 가지고 있는 이상’ 또는 소망’ 등으로 장미로 표현되었다그러기에 아들은 병든 장미를 보면 가지고 있는 이 깨지는 것이다그래서 화자는 아들이 병든 장미를 보고 실의에 잠겨 을 깨기 전에 아들이 을 가지고 자라기를 바라는 자신의 마음인 가슴에 병든 장미를 옮겨 심어서 장미를 회복시키고 싶은 것이다그런데 화자는 옮겨 심는다는 말 대신에 묻어다오라고 말을 한다이 단어는 앞선 해석과 달리 병든 장미를 화자의 가슴에 숨겨서 아들이 병든 장미를 찾아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 ‘대양’, ‘성층권은 멀기는 하지만 황마차’, ‘화륜선’, ‘비행기를 타고 갈 수는 있는 곳이다그렇지만 화자의 가슴은 아들이 갈 수 없는 곳이다실제의 장소가 아니고 화자의 마음이기 때문이다이 두 가지 해석 중에서 자라가는 아들이 꿈을’ 깰까 걱정하는 아버지의 사랑을 생각하면 앞선 해석이 전체적인 맥락에 적합한 것이라 할 수 있다이 시의 화자의 태도는 매우 수동적이다자신이 직접 옮겨 심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묻어주기를 바라는 것이다그런데 그가 원하는 것은 이루어질 수가 없다왜냐하면 1연에서 옮겨 놓을 이웃이 없기 때문이다화자가 옮겨놓을 마음을 먹고 스스로 할 때까지.201611230434전한성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3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구멍 2018-12-20 0 2851
13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12-19 0 2881
1328 윤동주와 꿈 2018-12-19 1 2740
1327 ... 2018-12-19 0 3228
1326 ... 2018-12-19 0 2526
1325 ... 2018-12-18 0 3047
1324 ... 2018-12-18 0 2666
1323 ... 2018-12-18 0 2762
1322 ... 2018-12-18 0 2882
1321 ... 2018-12-18 0 2639
1320 ... 2018-12-18 0 2896
1319 시 한수에 그림책 한부 나오다니... 2018-12-18 0 3032
1318 ... 2018-12-18 0 2639
1317 ... 2018-12-18 0 3383
1316 {자료} - 해방전 조선인 시선 2018-12-17 0 3343
13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꿈은 깨여지고 2018-12-17 0 3163
13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2) 2018-11-30 0 6793
1313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11-30 0 3186
1312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11-27 0 3706
131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울림 2018-11-27 0 3601
1310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11-26 0 4063
13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11-26 0 3520
13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로봉 2018-11-25 0 3452
13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협의 오후 2018-11-25 0 3652
130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분석 2018-11-25 0 4556
1305 윤동주, 그 뒷이야기???... 2018-11-24 0 3295
130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2) 2018-11-24 0 3216
130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11-23 0 2687
13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이 바다가 되여 2018-11-20 0 3587
1301 백두산 / 조기천 2018-11-18 0 3343
130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둘 다 2018-11-17 0 3343
1299 "한국의 안데르센" - 강소천 2018-11-17 0 2777
1298 윤동주와 강소천 2018-11-17 0 4734
1297 {자료} - 남영전시인이 보는 중국조선족문학 2018-11-17 0 2703
1296 윤동주가 좋아했던 아동문학가 - 윤석중 2018-11-16 0 2780
1295 윤동주와 윤석중 2018-11-15 0 3290
12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침 2018-11-15 0 3425
12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11-15 0 3342
1292 한춘&김혁 2018-11-15 0 2770
1291 리상(이상)이 동시를 썼다???!!! 2018-11-14 0 2758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