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저 바다 건너 배고픈 아이들 배불리는 빵 한덩이 되고싶다"...
2018년 07월 09일 21시 31분  조회:2405  추천:0  작성자: 죽림

<착한 마음에 관한 동시 모음>  

+ 징검돌  

개울을 건널 때 
등을 내어 준 
돌이 아파할까 봐 
나는 가만가만 밟고 갔어요. 
(오순택·아동문학가, 1942-) 


+ 꽃 . 잎 

잎이 다칠까봐 
위에서 피는 꽃 

꽃이 다칠까봐 
아래에 놓인 잎 

그래서 예쁜 
꽃 . 잎이구나 
(한귀복·아동문학가) 


+ 그건 너지 

누가 느낄까 
네 개의 귀를 
활짝 펴서 
무어든 덮어주는 
보자기의 고운 마음을 

누가 배울까 
네 개의 귀를 
꽁꽁 묶어 
누구든 감싸주는 
보자기의 귀한 마음을 
(홍우희·아동문학가) 


+ 덩이 

흙덩이, 복덩이, 햇덩이 
달덩이, 돌덩이, 메주덩이 
눈덩이, 얼음덩이, 불덩이 
똥덩이, 소금덩이, 황금덩이 

모두 작은 덩이로 이루어졌지만 
하는 일은 다 다르다. 

나는 총소리 울리는 
저 바다 건너 
배고픈 아이들 배를 불리는 
빵 한 덩이 되고 싶다 
(박예분·아동문학가, 전북 임실 출생) 


+ 수재민 

어깨에 떨어지는 
빗방울 하나도 
너무 무겁다. 

머리에 떨어지는 
빗방울 하나도 
너무 아프다. 
(박두순·아동문학가) 


+ 둘이는 똑같이 

신발주머니에 들어간 신발은 
미안했어요. 
흙이 묻어서...... 

"괜찮아. 
주인을 위해 일했잖아?" 
신발주머니는 신발을 
꼭 안아 주었어요. 

둘이는 똑같이 
흙투성이가 되었어요. 
(이혜영·아동문학가) 


+ 그 병실에서 

달리기하는 아이 
산책하는 아이 
병실 창문으로 
부러운 듯 내려다보던 
그 길을 혼자 걸어봅니다. 
걸으면서 내가 내려다보던 
그 병실 창문을 올려다봅니다. 
지금도 누군가 
그 병실 창문으로 나를 
부러운 듯 내려다보고 있겠지요. 
병실로 달려가 
그 아이 손을 꼬옥 잡아주고 싶습니다. 
(전영관·아동문학가) 


+ 누가 훔쳐갔음 좋겠다 

한 대학생 누나 
너무 배고파 
메추리알, 우유, 김치, 핫바 
6,650원어치 훔쳤다고 한다. 
설 때도 고향집에 
아무도 없는 누나 
누나의 가난을 
누가 훔쳐갔음 좋겠다. 
누나의 슬픔을 
누가 훔쳐갔음 좋겠다. 
(이화주·교육자이며 아동문학가) 


+ 더 주고 싶어 

퐁퐁 
샘솟는 
옹달샘 마냥 

마냥 
주고도 
모자란 마음. 

풋고추를 
빨갛게 
풋사과를 
빨갛게 익혀 놓고도 

해님은 
서산마루에서 
머뭇머뭇 

마냥 
주고도 
더 주고 싶어. 
(김재용·아동문학가) 


+ 어린 고기들 

꽁꽁 얼음 밑 
어린 고기들. 

해님도 달님도 
한번 못 보고, 
겨울 동안 얼마나 
갑갑스럴까?  

꽁꽁 얼음 밑  
어린 고기들.  

뭣들 하고 노는지 
보고 싶구나.  
빨리빨리 따순 봄 
찾아오거라.    
(권태응·시인, 1918-1951) 


+ 세탁소집 아저씨 

키가 작아요 
걸음이 서툴러요 
다림질할 때는 
온몸이 흔들려요 
팔도 다리도 웃고 있어요. 
저녁이면 
바느질하던 아내가 탄 휠체어를 밀고 
집으로 가요 
아저씨가 웃어요 
눈도 입도 눈썹도 웃어요 
아저씨 가슴에는 웃음이 
세들어 살고 있나봐요 
(정현정·아동문학가, 1959-) 


+ 텔레비전 속의 아프리카 

물을 얻기 위해 
40킬로를 
걸어가야 한다면 

물 한 컵 마시기 위해 
일주일을 
기다려야 한다면 

수돗물 틀어 놓고 
이 닦진 않을 거야. 
거품 벅벅대며 
머리 감진 않을 거야. 

정말 내가 
아프리카 케냐의 아이라면 
수많은 꿈 제쳐 두고 
비 되고 싶을 거야. 

메마른 물동이마다 
그득그득 채우고 
강과 호수에 넘실거리는 비. 
(유은경·아동문학가) 


+ 동전 한 닢 

학교에서 돌아오는 길 
길바닥에 버려진 동전 한 닢 
조심스럽게 주워 들었습니다. 

흙 속에 묻혀 삭아들지 않고 
발바닥에 밟혀 누그러들지 않고 
차바퀴에 깔려 오그라들지 않고 

길바닥에 버려진 
동전 한 닢 
정성껏 닦고 닦아 빛을 냈습니다. 

따스한 손바닥에 꼬옥 쥐고 
밟히고 깔려 멍이 들었을 
아픔을 감싸주었습니다. 
(허형만·시인, 1945-) 


+ 돌멩이 한 개 

학교 갔다 오던 길에 
돌멩이 한 개를 발로 찼다. 
돌멩이는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찻길로 데굴데굴 굴러갔다. 

그렇지만 
언젠가 내 짝꿍이 내게 준 
고 작은 조약돌처럼 
자꾸 마음에 걸린다. 

-혹시 차에 치이지는 않을까? 
-누군가 멀리 던져버리지는 않을까? 

무심코 차버린 돌멩이 하나가 
이렇게 내 마음을 빼앗아 갈 줄이야. 

어둠이 내리는 방안에 
나는 내 스스로 
나를 가두어 놓고 있다. 
(노원호·아동문학가) 


+ 참 잘 했어요 

'김밥천국', 세탁소, 25시 편의점 
나란히 줄 선 상가 모서리에 
폐지 줍는 할아버지 
손수레 세워 놓고 
쪼그리고 앉았어요. 

손에는 호호 
때늦은 점심 컵라면 

"할아버지, 
이거랑 같이 드세요." 

옷 수선 맡기고 돌아서던 
하늘채 아파트 1층 아줌마 
'김밥천국' 김밥 한 줄 
은박지에 사 왔어요. 

"참 잘했어요." 
해님이 반짝 
은박지에 
칭찬 도장 찍어 주고 
지나갑니다. 
(박경옥·아동문학가) 

* 엮은이: 정연복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10 윤동주는 왜... 2019-09-17 0 3042
1409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09-16 0 3266
1408 [시공부] - ... 2019-08-04 0 2760
1407 [시공부] - ... 2019-08-04 0 2927
1406 시는 무용이다... 2019-07-09 0 2981
1405 [그것이 알고싶다] - 백서 "도덕경" 2019-06-29 0 4122
1404 [문단소식] - 림금산시인 "달을 만나고" 시집 낳다 ... 2019-06-16 0 2971
1403 100년 뒤... 뒤...뒤... 2019-05-26 0 3428
1402 [평, 評, 평, 評] - 작품과 상과 인간과 그리고... 2019-05-13 0 3342
1401 윤동주를 알리는 골수팬 일본인- 야스코 2019-04-23 0 3513
1400 시를 암송하면 삶이 더 즐겁다... 2019-04-23 0 3228
1399 "또 다른 고향"을 찾아가는 미완의 려정... 2019-04-23 0 3786
1398 인도주의는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2019-03-23 0 3564
1397 윤동주, 그는 절대로 "문약한" 학생이 아니었다... 2019-03-23 0 3535
1396 시인은 떠났어도 희망은 "낡지 않"았다... 2019-03-07 0 3794
1395 [그것이 알고싶다] - "옥중가"와 100여년... 2019-03-02 0 3366
1394 "한글,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2019-02-16 0 3777
1393 [동네방네] - "윤동주", 실시간 알리기... 2019-02-16 0 3682
1392 [명작 쟁명] -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2019-02-15 0 4847
1391 "풀꽃" 2019-02-06 0 3565
1390 윤동주 시 또 중국어로 번역되다... 2019-01-27 0 4590
1389 윤동주와 "아리랑" 2019-01-27 0 3862
1388 윤동주와 명동, 룡정, 평양, 서울, 도쿄, 교토... 2019-01-24 0 3563
1387 윤동주 시를 지켜준것은 "우정"이였다... 2019-01-24 1 3355
1386 윤동주 유고 시집과 시인 정지용 "서문",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4 0 3745
1385 윤동주 시집과 여러 사람들... 2019-01-24 0 3715
1384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01-24 0 4301
1383 정지용과 윤동주 2019-01-24 0 3793
1382 윤동주는 시를 들고 일제와 싸웠다... 2019-01-22 0 3788
1381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3 2019-01-22 0 3333
1380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2 2019-01-22 0 3925
1379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1 2019-01-22 0 3148
1378 "서시" 일본어 번역본에 오류가 있다??? 2019-01-22 1 4771
1377 서시(윤동주)와 서시 영어 번역본 2019-01-22 0 5796
1376 [매일(끝)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2019-01-22 0 4036
1375 윤동주와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0 0 3909
1374 윤동주와 정지용 2019-01-20 0 3531
1373 윤동주, 시 한수가 씌여지기까지... 2019-01-20 0 3201
1372 {자료} - 윤동주 시의 무궁무진한 힘과 그 가치... 2019-01-20 0 3442
1371 연세대의 건물들은 기억하고 있다... 2019-01-20 0 4130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