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쌍둥밤은 엄마하고 냠냠"...
2018년 05월 30일 21시 36분  조회:2470  추천:0  작성자: 죽림

<음식에 관한 동시 모음>   

+ 비빔밥은 왜 4천원인가 

강원도에 와서 먹는 
산나물 비빔밥은 왜 4천원인가? 

나물 뜯은 아가씨 수고 값이겠지. 
바구니 차고 오대산 산허릴 오르내렸거든 
(그뿐 아니야.) 

산굽이 오르며 구성지게 부른 노래 값인가? 
(그것만도 아니야.) 

나물 뜯던 산마루에 뭉게구름이 일었지. 
산새소리도 들렸지, 물소리까지 
그것이 산나물 맛이 됐거든 

꽃 냄새 바람 냄새도 산나물 맛이 됐지. 
여기에 
참기름, 고추장 한 숟갈씩 
곁들여 
차림표에 4천원! 
(신현득·아동문학가, 1933-) 


+ 남긴 밥 

강아지가 먹고 남긴 
밥은 

참새가 와서 
먹고, 

참새가 먹고 남긴 
밥은 

쥐가 와서 먹고, 

쥐가 먹고 남긴 
밥은 

개미가 와서 물고 간다 
쏠쏠쏠 물고 간다 
(이상교·아동문학가, 1949-) 


+ 고추  

할머님이 보내주신 
빨간 고추 

아침 햇살 
가득 담아 보냈어요. 

텃밭의 흙내음도 
함께 담아 보냈어요. 

방학 내내 
같이 놀던 
짱아의 발자국도 
곱게 담아 보냈어요. 
(김재용·아동문학가) 


+ 검은 콩 

고 작은 몸이 뭐라고 
우리 집 식탁 위에 앉아 있다 

밭의 고기라고 불리는 넌 
도대체 어디에 그런 
힘이 숨어 있는 거니? 

까맣고 작은 몸뚱이로 
고기의 맛을 보여 준다니 
내 입이 다 벌어진다 

우리 엄마 나더러 
몸에 좋은 콩 좀 먹어라, 
매일 노래 부르신다 
나는 그 콩 골라내는 데 
도사가 다 되었다 

마침 콩을 만났으니 
담판을 져 보자고 
뚫어져라 콩을 노려보았다 
고 작은 콩도 나를 노려보았다 

콩이 내게 말했다 
어쩔 건데? 어쩔 건데? 
(한선자·아동문학가) 


+ 떡 

곱고 고운 무지개, 
무지개가 떠 있는 무지개 떡. 

반달 모양에 밤과 콩, 
추석에 먹는 송편. 

쿵덕 쿵덕 떡메로 친, 
쫄깃쫄깃 인절미. 

날씬하고 가는 흰색, 
떡국에 넣어 먹는 가래떡! 

색도 다르고 
모양도 다르고 
맛도 다른 우리의 떡! 
(안미정·아동문학가) 


+ 참깨 

"밥맛 없을 때 
참기름에 
밥 비벼 줘라." 
고소한 냄새 
시골 할머니 마음 짠 
참기름. 
엄마도 아끼는 한 방울. 

"나물 무침 때 
깨소금을 
듬뿍 넣어 줘라." 
짭조름하고 
고소한 
깨소금. 
할머니 사랑 담긴 
한 숟갈. 

올해도 
나눠주신다. 
깨 한 되와 
땀방울과 
할머니 
참음을. 
(김성규·아동문학가) 


+ 군밤 

울잖고 
잘 놀면 
양반이라면서 

삯바느질 
들고 나간 
엄마가 올 때까지 

집 보면서 있으라고 
엄마가 화롯불에 
묻고 간 밤 세 톨. 

엄마가 
성황당쯤 
한 톨만 먹고 

동구 앞 
돌다리 
또 한 톨 먹고 

막내둥이 쌍둥밤은 
그냥 두었다 
사립문 소리 나면, 
엄마하고 
냠 
냠.  
(강청삼·아동문학가) 


+ 다이어트 한 달팽이 

-난 너무 뚱뚱해. 

달팽이가 
다이어트를 시작했대요. 

한 달이 지나고 
두 달이 지난 어느 날 
거울 앞에 선 달팽인 
기절을 하고 말았대요. 

살을 너무 많이 뺀 
달팽인 그만 
높은음자리표가 되고 말았거든요. 
(김미영·아동문학가, 1964-) 

 

‘쌍둥이마을’의 즐거운 동년
(ZOGLO) 2018년5월30일
 
‘쌍둥이마을’의 즐거운 동년
 

쇄룡촌의 일부 쌍둥이가 마을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5월 23일 촬영).
쇄룡촌은 강서성 우도현에 위치한 경치가 수려하고 기후가 알맞는 마을이다.
이 마을의 천여명 촌민중에 29쌍의 쌍둥이(다둥이)가 있는데 ‘쌍둥이마을’로 소문이 자자하다. 아이들은 푸른 산, 푸른 물과 함께 성장하면서 즐거운 동년을 보내고 있다(신화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3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구멍 2018-12-20 0 2853
13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12-19 0 2909
1328 윤동주와 꿈 2018-12-19 1 2839
1327 ... 2018-12-19 0 3253
1326 ... 2018-12-19 0 2554
1325 ... 2018-12-18 0 3063
1324 ... 2018-12-18 0 2700
1323 ... 2018-12-18 0 2836
1322 ... 2018-12-18 0 2903
1321 ... 2018-12-18 0 2674
1320 ... 2018-12-18 0 2926
1319 시 한수에 그림책 한부 나오다니... 2018-12-18 0 3061
1318 ... 2018-12-18 0 2667
1317 ... 2018-12-18 0 3412
1316 {자료} - 해방전 조선인 시선 2018-12-17 0 3378
13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꿈은 깨여지고 2018-12-17 0 3196
13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2) 2018-11-30 0 6829
1313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11-30 0 3214
1312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11-27 0 3720
131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울림 2018-11-27 0 3647
1310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11-26 0 4079
13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11-26 0 3547
13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로봉 2018-11-25 0 3513
13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협의 오후 2018-11-25 0 3712
130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분석 2018-11-25 0 4624
1305 윤동주, 그 뒷이야기???... 2018-11-24 0 3329
130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2) 2018-11-24 0 3254
130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11-23 0 2705
13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이 바다가 되여 2018-11-20 0 3618
1301 백두산 / 조기천 2018-11-18 0 3383
130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둘 다 2018-11-17 0 3366
1299 "한국의 안데르센" - 강소천 2018-11-17 0 2804
1298 윤동주와 강소천 2018-11-17 0 4770
1297 {자료} - 남영전시인이 보는 중국조선족문학 2018-11-17 0 2732
1296 윤동주가 좋아했던 아동문학가 - 윤석중 2018-11-16 0 2808
1295 윤동주와 윤석중 2018-11-15 0 3305
12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침 2018-11-15 0 3448
12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11-15 0 3371
1292 한춘&김혁 2018-11-15 0 2786
1291 리상(이상)이 동시를 썼다???!!! 2018-11-14 0 2794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