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산 호랑이"는 우리 친구...
2018년 05월 03일 21시 46분  조회:5144  추천:0  작성자: 죽림

'백두산 호랑이'..
아시아 최대 규모
백두대간 수목원에 방사

엄지원  2018.05.03. 
 
 
 

[뉴스데스크] ◀ 앵커 ▶

숲 속에서 뛰어노는 백두산 호랑이 보러 오세요.

백두산 호랑이가 뛰어노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수목원이 오늘 경북 봉화군에 문을 열었습니다.

야생 적응 훈련을 마친 호랑이 두 마리가 일단 방사됐는데요.

여러분도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엄지원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광릉수목원의 2.5배 크기, 5천 헥타르 규모의 백두대간 수목원입니다.

그 중심엔 '호랑이 숲'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람한 체구의 7살 수컷 '우리'가 넓은 숲을 제 집 마냥 어슬렁거립니다.

13살 암컷 '한청'과는 스스럼 없이 장난을 칠 정도로 친해졌습니다.

지난해 서울대공원에서 이주해온 우리와 한청은 반년 동안 숲 적응 훈련을 받아왔습니다.

[김용하 /백두대간 수목원 원장] "동물원에 가면 호랑이들이 굉장히 정적으로 있잖아요, 근데 여기 호랑이는 방사 훈련을 했습니다. 그래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모습들을 볼 수 있을 거고요."

호랑이 숲은 4.8 헥타르, 축구장 7개를 합친 넓이입니다.

자연 상태에 가깝게 나무와 대형 연못을 배치했고, 갑작스런 비바람이나 추위에 대비해 고인돌 구조에 열선도 설치했습니다.

야생성을 키우기 위해 하루 두 끼 식사로 닭 5킬로그램, 소고기 1.5킬로그램을 먹이고, 금요일마다 금식을 시킵니다.

백두산 호랑이들은 사육동에서 잠을 자고 낮에는 숲에서 지냅니다.

6미터 높이의 철조망과 전기 울타리 너머로 일반인들도 직접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나이 많은 17살 수컷 두만이도 적응 훈련 중인데, 수목원은 앞으로 10여 마리를 더 풀어놓을 계획입니다.

오늘 첫 문을 연 백두대간 수목원엔 식물 2천여 종, 385만 그루가 자라고, 식물종자 4만 6천 점을 보관한 '씨드볼트'도 설치됐습니다.

MBC뉴스 엄지원입니다.

엄지원 기자
=========================
 

(안동=뉴스1) 피재윤 기자 = 3일 경북 봉화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호랑이 숲에서 백두산 호랑이가 거닐고 있다.(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2018.5.3/뉴스1

===================

[앵커]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립 백두대간 수목원이 완공 3년 만에 정식으로 개장했습니다.

백두산 호랑이들이 숲에서 노니는 모습을 볼 수 있고, 멸종위기의 산림자원을 보존하는 역할도 하게 됩니다.

우한솔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경북 봉화군 문수산과 옥석산 일대.

5천 여 ha에 이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곳의 가장 큰 자랑거리는 단연 축구장 7배 넓이의 '호랑이숲'.

서울대공원에서 기르던 호랑이 13살 '한청이'와 7살 '우리'도 개장과 함께 이곳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감개무량하고 이게 야생이구나 이게 야산이구나 싶고, 깊은 산속에 있는 이런 촌에서 동물을 (볼 수 있어서) 기쁩니다."]

수목원은 이 숲에 호랑이를 10마리까지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마릿수를 늘려갈 계획입니다.

세계 최초의 지하터널형 종자 저장시설인 '시드 볼트'엔 2023년까지 멸종위기에 놓여있거나 연구가치가 있는 야생식물 종자 30만점이 저장됩니다.

연중 영하 20도를 유지하며 최대 2백만 점의 종자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김용하/국립백두대간수목원장 : "멸종위기 식물들을 수집을 해서 안전하게 보존하고, 복원하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이 되고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선 고산식물과 야생화 등 2천여종의 다양한 식물들도 만나볼 수 있어 숲을 통한 휴식과 치유의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우한솔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3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막을 잡는것은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10 0 5211
1636 [동네방네] - 백고개를 넘어가는 령마루에 별은 더욱 빛난다... 2017-12-10 0 3518
1635 [쉼터] - 중국 조선족대학생들 "조선족의 앞날" 걱정하다... 2017-12-10 0 4309
1634 [쉼터] - 에펠탑은 기억하리... 2017-12-09 0 4838
1633 [쉼터] - 중국 흑룡강 야부리에 "참대곰관" 없다?... 있다!... 2017-12-09 0 5509
1632 [연변 유적비 순례] - 강경애문학비 2017-12-08 0 5631
1631 [타산지석] - 세치 혀끝과 험담... 2017-12-08 0 3820
1630 [이런저런] - 호랑이야, 니 자알 가래이... 2017-12-07 0 4184
162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메말라가는 땅을 살찌우기... /그 외... 2017-12-07 0 4821
1628 [그것이 알고싶다] - "차와 녀자"는 있구!... "차와 남자"는?... 2017-12-07 0 3811
1627 [그것이 알고싶다] - "차 중의 보배 백차"래ㅠ?... 2017-12-07 0 3841
162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07 0 4082
1625 [쉼터] - 10 = 7 2017-12-07 0 3612
162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상식과 "상식"은 그저 일이 아니다... 2017-12-07 0 7739
1623 빈민과 병자, 고아들의 수호자 = 작은 몸짓으로 사랑을... 2017-12-07 0 7544
1622 조선족식, 조선식, 한국식 "우리 글 규범" 언제 통일되나... 2017-12-07 0 3862
1621 [이런저런]-길바닥에 떨어진 물건이라도 그냥 가져가면 처벌... 2017-12-07 0 4381
1620 [쉼터] - 사투리의 비교비평 2017-12-06 0 4452
1619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사투리 달력"을 만들었으면... 2017-12-06 0 4682
1618 [쉼터] - 한반도 팔도 사투리야, 놀아보쟈... 2017-12-06 0 4006
1617 [쉼터] - 전라도 사투리로 쓴 詩 한졸가리 2017-12-06 0 3546
1616 [쉼터] - 강원도 사투리로 한 얘기 한토리 2017-12-05 0 3929
1615 [이런저런] - 8년 = 7억원 2017-12-05 0 3677
1614 [이런저런] - 7천원 = 4천만원 2017-12-05 0 3714
1613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산천어축제"가 있었으면... 2017-12-05 0 3276
1612 [이런 저런] - "아예 '교통경찰' 시킬가ㅠ"?... 2017-12-05 0 5046
161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건축쓰레기"?!... 2017-12-05 0 3942
1610 [그것이 알고싶다] - "마치 쟁반 위에 앉은 파리처럼"?... 2017-12-05 0 4072
1609 [그것이 알고싶다] - 동물들도 "부부"가 함께 살까???... 2017-12-01 0 4913
1608 [고향문단소식] - 고향과 청보리와 엄마의 세월... 2017-12-01 0 4358
16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변소혁명"... 2017-11-30 0 5215
160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금 지구는 무섭게 앓고 있다... 2017-11-30 0 3821
1605 [타산지석]-우리 연변 민족 대학가에서도 떡메춤.도리깨춤을... 2017-11-27 0 4546
1604 [쉼터] - 세상은 넓고 세상은 살맛나고지고... 2017-11-27 0 5049
1603 [이런저런] -중국 중경시에 "S"형 컬러 도로가 없다?... 있다!... 2017-11-27 0 3773
1602 [이런저런] - "송이버섯" 인공재배 된다고???... 2017-11-27 0 3561
1601 [타향문단소식] - "흑토에서 흘러온 훈훈한 문단분위기"... 2017-11-27 0 3450
1600 [타향문단소식] -"문학적 혼을 공유하는것" 절대 미룰수 없다... 2017-11-27 0 3904
1599 [타산지석]-우리 연변 학교들에서도 "전통민요라디오체조"를... 2017-11-21 0 4758
159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호야, 너와 나와 놀아보쟈... 2017-11-20 0 5076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