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산 호랑이"는 우리 친구...
2018년 05월 03일 21시 46분  조회:5143  추천:0  작성자: 죽림

'백두산 호랑이'..
아시아 최대 규모
백두대간 수목원에 방사

엄지원  2018.05.03. 
 
 
 

[뉴스데스크] ◀ 앵커 ▶

숲 속에서 뛰어노는 백두산 호랑이 보러 오세요.

백두산 호랑이가 뛰어노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수목원이 오늘 경북 봉화군에 문을 열었습니다.

야생 적응 훈련을 마친 호랑이 두 마리가 일단 방사됐는데요.

여러분도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엄지원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광릉수목원의 2.5배 크기, 5천 헥타르 규모의 백두대간 수목원입니다.

그 중심엔 '호랑이 숲'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람한 체구의 7살 수컷 '우리'가 넓은 숲을 제 집 마냥 어슬렁거립니다.

13살 암컷 '한청'과는 스스럼 없이 장난을 칠 정도로 친해졌습니다.

지난해 서울대공원에서 이주해온 우리와 한청은 반년 동안 숲 적응 훈련을 받아왔습니다.

[김용하 /백두대간 수목원 원장] "동물원에 가면 호랑이들이 굉장히 정적으로 있잖아요, 근데 여기 호랑이는 방사 훈련을 했습니다. 그래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모습들을 볼 수 있을 거고요."

호랑이 숲은 4.8 헥타르, 축구장 7개를 합친 넓이입니다.

자연 상태에 가깝게 나무와 대형 연못을 배치했고, 갑작스런 비바람이나 추위에 대비해 고인돌 구조에 열선도 설치했습니다.

야생성을 키우기 위해 하루 두 끼 식사로 닭 5킬로그램, 소고기 1.5킬로그램을 먹이고, 금요일마다 금식을 시킵니다.

백두산 호랑이들은 사육동에서 잠을 자고 낮에는 숲에서 지냅니다.

6미터 높이의 철조망과 전기 울타리 너머로 일반인들도 직접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나이 많은 17살 수컷 두만이도 적응 훈련 중인데, 수목원은 앞으로 10여 마리를 더 풀어놓을 계획입니다.

오늘 첫 문을 연 백두대간 수목원엔 식물 2천여 종, 385만 그루가 자라고, 식물종자 4만 6천 점을 보관한 '씨드볼트'도 설치됐습니다.

MBC뉴스 엄지원입니다.

엄지원 기자
=========================
 

(안동=뉴스1) 피재윤 기자 = 3일 경북 봉화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호랑이 숲에서 백두산 호랑이가 거닐고 있다.(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2018.5.3/뉴스1

===================

[앵커]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립 백두대간 수목원이 완공 3년 만에 정식으로 개장했습니다.

백두산 호랑이들이 숲에서 노니는 모습을 볼 수 있고, 멸종위기의 산림자원을 보존하는 역할도 하게 됩니다.

우한솔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경북 봉화군 문수산과 옥석산 일대.

5천 여 ha에 이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곳의 가장 큰 자랑거리는 단연 축구장 7배 넓이의 '호랑이숲'.

서울대공원에서 기르던 호랑이 13살 '한청이'와 7살 '우리'도 개장과 함께 이곳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감개무량하고 이게 야생이구나 이게 야산이구나 싶고, 깊은 산속에 있는 이런 촌에서 동물을 (볼 수 있어서) 기쁩니다."]

수목원은 이 숲에 호랑이를 10마리까지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마릿수를 늘려갈 계획입니다.

세계 최초의 지하터널형 종자 저장시설인 '시드 볼트'엔 2023년까지 멸종위기에 놓여있거나 연구가치가 있는 야생식물 종자 30만점이 저장됩니다.

연중 영하 20도를 유지하며 최대 2백만 점의 종자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김용하/국립백두대간수목원장 : "멸종위기 식물들을 수집을 해서 안전하게 보존하고, 복원하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이 되고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선 고산식물과 야생화 등 2천여종의 다양한 식물들도 만나볼 수 있어 숲을 통한 휴식과 치유의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우한솔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17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단군절"이 있었으면... 2017-12-26 0 13209
171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나비야, 나비야, 어서 나와 놀아보쟈... 2017-12-26 0 5620
171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경찰견아, 맹활약하거라... 2017-12-26 0 5303
17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천진난만한 동물들... 2017-12-26 0 4292
1713 [동네방네] - 중국 장가계에도 우리 조선민족 피가 흘렀다... 2017-12-26 0 3359
1712 [고향문예기별] -연변TV방송국 40세 청춘 닐리리... 2017-12-26 0 5628
1711 [고향문단소식]- 의학전문연구소 소장 동시 "별" 출산하다... 2017-12-26 0 3473
1710 [고향문단소식] - 시인은 "옥을 파간 자리"에 그냥 서 계신다... 2017-12-26 0 3213
1709 [그것이 알고싶다] - 中, 韓 동지 음식문화 비교... 2017-12-24 0 3813
1708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조선족의상축제"가 있었으면... 2017-12-24 0 4197
1707 [쉼터] - 정원에서 쉬여가자... 2017-12-24 0 5582
1706 묵향인생 = "서예는 령혼의 울림" 2017-12-24 0 5344
1705 [동네방네] - 조선글 서예 "아리랑체" 2017-12-24 0 3359
1704 [쉼터] - 사진으로 보는 인문과 민속... 2017-12-24 0 3414
170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새들아", 참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22 0 3598
1702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소잡는 날 축제"가 있었으면... 2017-12-22 0 8060
1701 [이런저런] - 머리카락같은 손칼국수 42개 바늘귀 뀌다... 2017-12-22 0 4931
170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락서(낙서)"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21 0 5008
1699 [이런저런] - 감귤 껍질아, 나와 놀쟈... 2017-12-21 0 4481
1698 [이런저런] - 개썰매 타고 한바탕 달려볼가ㅠ... 2017-12-21 0 5706
1697 [이런저런] - 산타할아버지, 나와 놀쟈... 2017-12-21 0 6179
1696 김호림 옛마을 새마을 가다... 2017-12-21 0 4712
1695 [그것이 알고싶다] - "려권" = 조심, 주의, 명심... 2017-12-21 0 5468
1694 [쉼터] - 롱구 생애 20년기간 등번호 8번, 24번 두개뿐... 2017-12-20 0 4634
1693 [그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국어사전"?... 2017-12-20 0 5307
1692 [이런저런] - 中, 朝, 韓 세집에서의 "조선말통일안" 나와야... 2017-12-20 0 5836
1691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말 "비교통일안"을 알아보다... 2017-12-20 0 5030
1690 [그것이 알고싶다] - 태권도를 알아보다... 2017-12-20 0 4326
1689 중국 새 "조선말규범" 무엇이 달라졌나?... 2017-12-20 0 5838
1688 [쉼터] - 만리장성의 보름달이여!... 별무리여!... 2017-12-20 0 4861
1687 [쉼터]-흑룡강성 녕안 동경성 경박호 얼음폭포 없다?... 있다!... 2017-12-20 0 4459
1686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전통벽화마을" 조성해야... 2017-12-19 0 5342
1685 [이런저런] - 중국 중경에 "파도 거리"가 없다?... 있다!... 2017-12-19 0 4694
1684 [쉼터] - 디자이너들의 활무대... 2017-12-19 0 5373
1683 [타산지석]-중국 길림 차간호에서 전통물고기잡이 시작하다... 2017-12-19 0 4283
1682 [이런저런] - 이색적인 빌딩 외벽 대형 "책꽂이"... 2017-12-19 0 5196
1681 [이런저런] - 200 = 1,000 = "百草湯" 2017-12-19 0 4471
1680 강서 파양현 경내에는 갈대꽃과 미녀들, 렬차가 없다?...있다!... 2017-12-19 0 4574
1679 [이런저런] - 17 = 1,000 = 71 2017-12-19 0 5189
167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환경보호의식" 유아때부터... 2017-12-19 0 4634
‹처음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