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 헝가리의 밤하늘가에 샛별로 처음 뜨다...
2018년 02월 19일 00시 40분  조회:2426  추천:0  작성자: 죽림
ㆍ한국과 헝가리 대표 시인 ‘윤동주와 아틸라’ 예술가 교류  [2018-02-05]
 
 
  
  윤동주 (1917-1945)
 
  
  요제프 아틸라 (1905-1937)
 
 양국 시인 주제로 콘서트와 문학포럼 개최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주헝가리 한국문화원은 오는 9, 10일 양일 간 20세기 초 격변의 시기를 살았던 한국과 헝가리의 대표 시인 윤동주와 요제프 아틸라를 기리는 예술가 교류 프로젝트 <한국과 헝가리, 시를 노래하다: 윤동주와 요제프 아틸라>를 부다페스트의 페퇴피 문학 박물관(Petőfi Literary Museum)에서 개최한다.


윤동주(1917-1945)와 헝가리의 대표 민중시인 요제프 아틸라(József Attila, 1905-1937)는 20세기 초반 같은 시기를 살았고 젊은 나이에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해 여전히 양국의 국민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는 시인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두 시인의 시에는 당대 양국의 사회상 속에서 개인의 삶, 사유, 마음이 진정성 있게 담겨있는데 윤동주의 시에는 일제 강점기 시절 민족의 고통이, 아틸라의 시에는 노동자 계급의 고단한 삶이 묻어난다.


9일 문학 포럼에서는 윤동주 전문가이자 시인인 김응교가 '윤동주는 무엇을 사랑했나'라는 제목의 강연으로 윤동주를 헝가리 관객들에게 정식으로 처음 소개한다. 시인·사회학자 심보선은 ‘다수성을 드러내는 쓰기’라는 제목의 발제를 통해 시인 요제프 아틸라를 현대 한국 시인의 시선으로 조명하고 헝가리 시인들과 대화의 장을 연다.


이어 10일 음악을 통해 기리는 콘서트가 개최된다. 한국의 작곡가 임지선(연세대학교 작곡과 교수)은 윤동주의 시 ‘새로운 길’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동명의 비올라 협주곡을 헝가리 관객들에게 처음 소개한다. 헝가리의 작곡가 티하니 라즐로(리스트음악원 교수)는 요제프 아틸라의 시를 기반으로 작곡한 신곡‘백 개의 밤’을 세계 초연한다.


주헝가리 한국문화원 김재환 원장은 “시는 당대의 현실과 문화를 가장 예민하게 반영하고 있는 문학장르다. 이번 행사가 두 나라를 더 깊이 이해하고 문화적 성취와 교류를 함께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했다.
​ 


[2018-02-05]

행사 포스터 <사진 = 주헝가리 한국문화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10 윤동주는 왜... 2019-09-17 0 2952
1409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09-16 0 3184
1408 [시공부] - ... 2019-08-04 0 2664
1407 [시공부] - ... 2019-08-04 0 2839
1406 시는 무용이다... 2019-07-09 0 2929
1405 [그것이 알고싶다] - 백서 "도덕경" 2019-06-29 0 4021
1404 [문단소식] - 림금산시인 "달을 만나고" 시집 낳다 ... 2019-06-16 0 2892
1403 100년 뒤... 뒤...뒤... 2019-05-26 0 3316
1402 [평, 評, 평, 評] - 작품과 상과 인간과 그리고... 2019-05-13 0 3247
1401 윤동주를 알리는 골수팬 일본인- 야스코 2019-04-23 0 3392
1400 시를 암송하면 삶이 더 즐겁다... 2019-04-23 0 3143
1399 "또 다른 고향"을 찾아가는 미완의 려정... 2019-04-23 0 3689
1398 인도주의는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2019-03-23 0 3506
1397 윤동주, 그는 절대로 "문약한" 학생이 아니었다... 2019-03-23 0 3449
1396 시인은 떠났어도 희망은 "낡지 않"았다... 2019-03-07 0 3731
1395 [그것이 알고싶다] - "옥중가"와 100여년... 2019-03-02 0 3298
1394 "한글,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2019-02-16 0 3730
1393 [동네방네] - "윤동주", 실시간 알리기... 2019-02-16 0 3593
1392 [명작 쟁명] -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2019-02-15 0 4764
1391 "풀꽃" 2019-02-06 0 3525
1390 윤동주 시 또 중국어로 번역되다... 2019-01-27 0 4517
1389 윤동주와 "아리랑" 2019-01-27 0 3779
1388 윤동주와 명동, 룡정, 평양, 서울, 도쿄, 교토... 2019-01-24 0 3502
1387 윤동주 시를 지켜준것은 "우정"이였다... 2019-01-24 1 3280
1386 윤동주 유고 시집과 시인 정지용 "서문",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4 0 3656
1385 윤동주 시집과 여러 사람들... 2019-01-24 0 3631
1384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01-24 0 4209
1383 정지용과 윤동주 2019-01-24 0 3726
1382 윤동주는 시를 들고 일제와 싸웠다... 2019-01-22 0 3721
1381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3 2019-01-22 0 3293
1380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2 2019-01-22 0 3842
1379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1 2019-01-22 0 3068
1378 "서시" 일본어 번역본에 오류가 있다??? 2019-01-22 1 4627
1377 서시(윤동주)와 서시 영어 번역본 2019-01-22 0 5684
1376 [매일(끝)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2019-01-22 0 3942
1375 윤동주와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0 0 3858
1374 윤동주와 정지용 2019-01-20 0 3476
1373 윤동주, 시 한수가 씌여지기까지... 2019-01-20 0 3143
1372 {자료} - 윤동주 시의 무궁무진한 힘과 그 가치... 2019-01-20 0 3358
1371 연세대의 건물들은 기억하고 있다... 2019-01-20 0 4072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