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타산지석] - "연길"이는 어디고 "옌지"는 또 어딘고?...
2018년 01월 26일 01시 34분  조회:3659  추천:0  작성자: 죽림
'옌지'를 '연길'로 불러야 하는 이유
2016년4월15일  작성자: 편상욱
중국 지린 성(吉林省) 옌지(延吉)에 출장차 다녀왔습니다. 옌볜조선족자치주의 주도(州都)로 시인 윤동주의 고향 용정과 불과 20km 떨어진 곳입니다.
 
한국을 떠나기 직전, 마지막으로 본 영화가 '동주'인지라 시인 윤동주의 자취를 먼 자락에서라도 볼 수 있을까 기대했지만, 취재하다 현지에서 돌발 상황이 많았던 탓에 그런 호사는 부리지 못했습니다.
 
연길의 방송용 표준어는 중국식 발음 '옌지'입니다. 기사에도 물론 옌지라고 쓰고 그렇게 방송했습니다. 그러나 연길을 다녀오고 나니 옌지가 아니라 '연길'로 부르는 게 맞다 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연길이 어떤 곳인가는 공항에 내리자마자 드러납니다. 중국 정부가 설치한 연길공항, 기차역의 간판에는 한자와 함께 한글로 명확히 '연길'이라는 이름이 쓰여 있습니다.

연길 공항
 
실제로 여기 사시는 동포들도 옌지라 부르지 않고 연길이라 합니다. 학교 다닐 때 지리 선생님과 친하기만 했지 공부는 안 한 저 같은 분이 또 있을까 봐 잠시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한반도 위쪽을 만주라 부르는 데 서쪽 (평안도 쪽)이 서간도, 동쪽(함경도 쪽)이 북간도입니다. 중국과의 국경선은 압록강과 두만강으로 나뉘는데 서해로 흘러가는 폭 넓은 강이 압록강, 동해로 흘러가는 폭 좁은 강은 두만강입니다.
 
두만강은 폭이 매우 좁아서 국경이 정확하지 않았던 시절에는 걸어서도 건널 수 있는 곳이 적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함경도에 살았던 많은 분들이 많이 건너가 살아서 북간도에 우리 민족이 살게 되었던 것입니다.
 
원래 기자였던 작가 안수길은 1959년 대하소설 '북간도'를 사상계에 연재하기 시작해 1967년 4, 5부까지 전편을 완성합니다. 1870년에서 1945년까지 한국의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격동의 시대를 3대의 가족사를 통해 재현한 작품입니다. 격동의 현대사 속에서 만주를 개척한 간도 이주 조선인들을 그리고 있습니다.
 
아무튼 그분들은 중국으로 편입이 확정된 이후에 모두 조선족이 되셨습니다. 처음 밟아 본 연길 땅은 사실상 한국과 다름없었습니다. 곳곳에 한글 간판하며 택시기사, 공안국(경찰서)의 조선족 공안(경찰관)들이 모두 우리말을 하는지라 우리말이 통하지 않는 곳이 없습니다.
 
하지만 한국에 돌아온 듯 즐거워하는 저와 달리 연길 동포들의 한국에 대한 인상은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 중국 동포들의 한국방문이 쉬워진 요즘 일이나 관광으로 한국에 다녀오신 분들이 많은데, 그분들이 받은 한국의 인상은 고국의 따뜻함과는 거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따뜻한 환대와 동포로서 애정은 커녕 심각한 차별을 겪었다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심지어 관광으로 한국을 찾았던 연길방송 아나운서 출신인 미모의 중년여성은 동대문 시장에서 물건값을 깎다가 '중국X' 이라는 말까지 들은 적 있다는 말씀을 하셔서 깜짝 놀랐습니다. 한국에 일하러 가셨다가 임금을 떼이고 돌아오신 분들도 부지기수라는군요.
 
비록 국경이 나뉘어있지만, 아직도 우리말을 자손들에게 잊지 않도록 가르치며 한민족이라는 정체성을 갖고 사시는 분들에게 아무래도 이건 아니라는 반성이 저부터 들었습니다. 서울말과는 다른 억양과 단어로 이분들이 중국 동포라는 사실은 말 몇 마디면 금방 드러납니다.
 
그리고 그것은 충청도 사람인 제가 방송할 때 외에는 저도 모르게 충청도 원어민 사투리를 구사하는 것과 본질적으로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저부터도 중국 동포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차별의식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반성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이곳의 조선족을 배려해 공항부터 모든 관공서의 간판까지 한글을 함께 써놓습니다. 한국어 방송도 물론 있고요. 이에 비해 한국 정부와 한국인은 오늘날까지 한민족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사시는 이분들에게 무엇을 해드렸나 생각하게 됩니다.  
 
///SBS 뉴스 편상욱 기자 
2016.04.14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17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단군절"이 있었으면... 2017-12-26 0 12815
171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나비야, 나비야, 어서 나와 놀아보쟈... 2017-12-26 0 5461
171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경찰견아, 맹활약하거라... 2017-12-26 0 5142
17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천진난만한 동물들... 2017-12-26 0 4148
1713 [동네방네] - 중국 장가계에도 우리 조선민족 피가 흘렀다... 2017-12-26 0 3308
1712 [고향문예기별] -연변TV방송국 40세 청춘 닐리리... 2017-12-26 0 5539
1711 [고향문단소식]- 의학전문연구소 소장 동시 "별" 출산하다... 2017-12-26 0 3421
1710 [고향문단소식] - 시인은 "옥을 파간 자리"에 그냥 서 계신다... 2017-12-26 0 3187
1709 [그것이 알고싶다] - 中, 韓 동지 음식문화 비교... 2017-12-24 0 3721
1708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조선족의상축제"가 있었으면... 2017-12-24 0 4051
1707 [쉼터] - 정원에서 쉬여가자... 2017-12-24 0 5481
1706 묵향인생 = "서예는 령혼의 울림" 2017-12-24 0 5270
1705 [동네방네] - 조선글 서예 "아리랑체" 2017-12-24 0 3321
1704 [쉼터] - 사진으로 보는 인문과 민속... 2017-12-24 0 3298
170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새들아", 참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22 0 3481
1702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소잡는 날 축제"가 있었으면... 2017-12-22 0 7885
1701 [이런저런] - 머리카락같은 손칼국수 42개 바늘귀 뀌다... 2017-12-22 0 4821
170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락서(낙서)"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21 0 4932
1699 [이런저런] - 감귤 껍질아, 나와 놀쟈... 2017-12-21 0 4439
1698 [이런저런] - 개썰매 타고 한바탕 달려볼가ㅠ... 2017-12-21 0 5536
1697 [이런저런] - 산타할아버지, 나와 놀쟈... 2017-12-21 0 6043
1696 김호림 옛마을 새마을 가다... 2017-12-21 0 4640
1695 [그것이 알고싶다] - "려권" = 조심, 주의, 명심... 2017-12-21 0 5424
1694 [쉼터] - 롱구 생애 20년기간 등번호 8번, 24번 두개뿐... 2017-12-20 0 4596
1693 [그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국어사전"?... 2017-12-20 0 5279
1692 [이런저런] - 中, 朝, 韓 세집에서의 "조선말통일안" 나와야... 2017-12-20 0 5741
1691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말 "비교통일안"을 알아보다... 2017-12-20 0 4902
1690 [그것이 알고싶다] - 태권도를 알아보다... 2017-12-20 0 4264
1689 중국 새 "조선말규범" 무엇이 달라졌나?... 2017-12-20 0 5687
1688 [쉼터] - 만리장성의 보름달이여!... 별무리여!... 2017-12-20 0 4826
1687 [쉼터]-흑룡강성 녕안 동경성 경박호 얼음폭포 없다?... 있다!... 2017-12-20 0 4426
1686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전통벽화마을" 조성해야... 2017-12-19 0 5225
1685 [이런저런] - 중국 중경에 "파도 거리"가 없다?... 있다!... 2017-12-19 0 4640
1684 [쉼터] - 디자이너들의 활무대... 2017-12-19 0 5304
1683 [타산지석]-중국 길림 차간호에서 전통물고기잡이 시작하다... 2017-12-19 0 4148
1682 [이런저런] - 이색적인 빌딩 외벽 대형 "책꽂이"... 2017-12-19 0 5144
1681 [이런저런] - 200 = 1,000 = "百草湯" 2017-12-19 0 4382
1680 강서 파양현 경내에는 갈대꽃과 미녀들, 렬차가 없다?...있다!... 2017-12-19 0 4428
1679 [이런저런] - 17 = 1,000 = 71 2017-12-19 0 4990
167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환경보호의식" 유아때부터... 2017-12-19 0 4553
‹처음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