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타산지석] - "연길"이는 어디고 "옌지"는 또 어딘고?...
2018년 01월 26일 01시 34분  조회:3661  추천:0  작성자: 죽림
'옌지'를 '연길'로 불러야 하는 이유
2016년4월15일  작성자: 편상욱
중국 지린 성(吉林省) 옌지(延吉)에 출장차 다녀왔습니다. 옌볜조선족자치주의 주도(州都)로 시인 윤동주의 고향 용정과 불과 20km 떨어진 곳입니다.
 
한국을 떠나기 직전, 마지막으로 본 영화가 '동주'인지라 시인 윤동주의 자취를 먼 자락에서라도 볼 수 있을까 기대했지만, 취재하다 현지에서 돌발 상황이 많았던 탓에 그런 호사는 부리지 못했습니다.
 
연길의 방송용 표준어는 중국식 발음 '옌지'입니다. 기사에도 물론 옌지라고 쓰고 그렇게 방송했습니다. 그러나 연길을 다녀오고 나니 옌지가 아니라 '연길'로 부르는 게 맞다 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연길이 어떤 곳인가는 공항에 내리자마자 드러납니다. 중국 정부가 설치한 연길공항, 기차역의 간판에는 한자와 함께 한글로 명확히 '연길'이라는 이름이 쓰여 있습니다.

연길 공항
 
실제로 여기 사시는 동포들도 옌지라 부르지 않고 연길이라 합니다. 학교 다닐 때 지리 선생님과 친하기만 했지 공부는 안 한 저 같은 분이 또 있을까 봐 잠시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한반도 위쪽을 만주라 부르는 데 서쪽 (평안도 쪽)이 서간도, 동쪽(함경도 쪽)이 북간도입니다. 중국과의 국경선은 압록강과 두만강으로 나뉘는데 서해로 흘러가는 폭 넓은 강이 압록강, 동해로 흘러가는 폭 좁은 강은 두만강입니다.
 
두만강은 폭이 매우 좁아서 국경이 정확하지 않았던 시절에는 걸어서도 건널 수 있는 곳이 적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함경도에 살았던 많은 분들이 많이 건너가 살아서 북간도에 우리 민족이 살게 되었던 것입니다.
 
원래 기자였던 작가 안수길은 1959년 대하소설 '북간도'를 사상계에 연재하기 시작해 1967년 4, 5부까지 전편을 완성합니다. 1870년에서 1945년까지 한국의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격동의 시대를 3대의 가족사를 통해 재현한 작품입니다. 격동의 현대사 속에서 만주를 개척한 간도 이주 조선인들을 그리고 있습니다.
 
아무튼 그분들은 중국으로 편입이 확정된 이후에 모두 조선족이 되셨습니다. 처음 밟아 본 연길 땅은 사실상 한국과 다름없었습니다. 곳곳에 한글 간판하며 택시기사, 공안국(경찰서)의 조선족 공안(경찰관)들이 모두 우리말을 하는지라 우리말이 통하지 않는 곳이 없습니다.
 
하지만 한국에 돌아온 듯 즐거워하는 저와 달리 연길 동포들의 한국에 대한 인상은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 중국 동포들의 한국방문이 쉬워진 요즘 일이나 관광으로 한국에 다녀오신 분들이 많은데, 그분들이 받은 한국의 인상은 고국의 따뜻함과는 거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따뜻한 환대와 동포로서 애정은 커녕 심각한 차별을 겪었다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심지어 관광으로 한국을 찾았던 연길방송 아나운서 출신인 미모의 중년여성은 동대문 시장에서 물건값을 깎다가 '중국X' 이라는 말까지 들은 적 있다는 말씀을 하셔서 깜짝 놀랐습니다. 한국에 일하러 가셨다가 임금을 떼이고 돌아오신 분들도 부지기수라는군요.
 
비록 국경이 나뉘어있지만, 아직도 우리말을 자손들에게 잊지 않도록 가르치며 한민족이라는 정체성을 갖고 사시는 분들에게 아무래도 이건 아니라는 반성이 저부터 들었습니다. 서울말과는 다른 억양과 단어로 이분들이 중국 동포라는 사실은 말 몇 마디면 금방 드러납니다.
 
그리고 그것은 충청도 사람인 제가 방송할 때 외에는 저도 모르게 충청도 원어민 사투리를 구사하는 것과 본질적으로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저부터도 중국 동포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차별의식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반성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이곳의 조선족을 배려해 공항부터 모든 관공서의 간판까지 한글을 함께 써놓습니다. 한국어 방송도 물론 있고요. 이에 비해 한국 정부와 한국인은 오늘날까지 한민족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사시는 이분들에게 무엇을 해드렸나 생각하게 됩니다.  
 
///SBS 뉴스 편상욱 기자 
2016.04.14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37 [타산지석] - 설마... 설마... 남의 일 아니다... 2018-01-26 0 4178
183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들과 인간은 언제나 친인척... 2018-01-26 0 5311
183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북호랑이 풍채 2018-01-26 0 3416
1834 우리 조선민족의 문화유산수집사업은 미룰수없는 사명이다... 2018-01-25 0 3246
183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강추위 너희들은 괜찮니?"... 2018-01-25 0 5691
1832 [이런저런] - 감옥살이 = 175년 = 감옥살이... 2018-01-25 0 3732
1831 [그것이 알고싶다] - "시간연장 수첩" 2018-01-24 0 3959
1830 [타산지석] - 우리 연변 화룡에도 "온돌공연 연출대"가 있다... 2018-01-24 0 4982
1829 [그것이 알고싶다] - 양귀비가 려지(茹枝)를 즐겨 먹다... 2018-01-24 0 3624
1828 [그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아이스크림 제조법?... 2018-01-24 0 3787
1827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치즈" = 썩두부 2018-01-24 0 3780
182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세계 최대 규모 야외 공기 청정기 2018-01-24 0 3878
1825 [이런저런] - "바지 벗고 지하철 타기" 2018-01-24 0 4663
1824 [이런저런] - 세계에서 가장 긴 얼음으로 만든 바 테이블 2018-01-24 0 4535
1823 [이런저런] - 참대곰 핀란드로 출국길에 오르다... 2018-01-24 0 5243
1822 [쉼터] - 중국 료녕성 대련에 펭귄새가 없다?... 있다!... 2018-01-24 0 5270
1821 [쉼터] - 중국 길림성 장춘에 참대곰 없다?... 있다!... 2018-01-24 0 4929
1820 [이런저런] - "소시지마을" 2018-01-24 0 3907
1819 [쉼터] - 개야, 황금개야, 우리 함께 놀아보쟈... 2018-01-24 0 5655
1818 [쉼터] - 붉은 물이 흐르는 적수(赤水)를 아시나요... 2018-01-23 0 4893
181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까치야, 까치야, 우리 함께 놀아보쟈... 2018-01-23 0 5784
181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버들강아지야, 우리 함께 놀아보쟈... 2018-01-23 0 4453
1815 [쉼터] - 중국 최초 국가삼림공원 = 장가계 2018-01-23 0 4985
1814 통일아, 어서 빨리 "통일잔치한마당" 벌려나보쟈... 2018-01-23 0 4527
1813 "고향의 이미지 우리가 스스로 지켜야"... 2018-01-20 0 5070
181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다람쥐야, 맘껏 놀아라... 2018-01-20 0 4250
1811 [대련문단] - 중국 조선족 시문단 故 김파시인 기리다... 2018-01-20 0 4169
1810 [쉼터] - 한번 가 보고싶은, 경간 가장 넓은 다리 2018-01-19 0 4330
1809 [이런저런] - 가짜 동전, 남의 일 아니다... 2018-01-19 0 3792
1808 [그것이 알고싶다] - "八一軍旗"?... 2018-01-19 0 4234
1807 [그것이 알고싶다] - 일본군 모자 "천 조각" 용도?... 2018-01-19 0 4652
180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범아, 범아, 맘껏 뛰여놀아라... 2018-01-10 0 5007
1805 [이런저런] - 그림 그리는 "진도개" 2018-01-10 0 4550
180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멸종위기종",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1-10 0 4921
1803 [쉼터] - 눈사람아, 나와 놀쟈... 2018-01-10 0 3594
1802 록색스포츠평화주의의 물꼬가 확 트이여 통일평화 오기만을... 2018-01-10 0 5038
180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당연히+개누리+개유리"+제주 도민 2018-01-10 0 4725
1800 [동네방네] - 이색적인 축제 = 필리핀 편 2018-01-10 0 5367
1799 [이런저런] - 주인 묘지 찾은 강아지... 2018-01-10 0 5203
179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재밋는 자연동물세계... 2018-01-09 0 5499
‹처음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