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노벨문학상과 시인] - 력사를 "시적인 론문"으로 쓴 시인...
2017년 11월 06일 00시 34분  조회:4579  추천:0  작성자: 죽림
 
출생 1911. 6. 30, 제정 러시아 리투아니아 샤테이니아이
국적 폴란드/미국

요약 체슬라브 밀로즈. 폴란드 태생 미국 시인.작가·번역가·비평가.

 

1980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토목기사의 아들로 당시 폴란드 영토였던 빌노(빌니우스)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마쳤다. 21세 때 첫 시집 〈얼어붙은 시간의 시 Poemat o czasie zastygłym〉를 발표했다.

그는 이 무렵 21세의 나이에 사회주의자이자 시인 단체의 지도자였는데 그 단체는 절박한 세계의 재앙을 예견한다는 뜻에서 '격변설지지자'(Catastrophist)라는 이름을 지녔다. 나치가 폴란드를 점령한 시기에는 저항운동에 가담했으며, 〈정복할 수 없는 노래 Piesn niepodlegla〉(1942)와 같은 수많은 작품을 비밀리에 쓰고 편집·번역했다. 시집 〈구원 Ocalenie〉(1945)은 공산 폴란드에서 처음으로 발행된 책에 속했다. 새 정부는 그를 외교관직에 임명하는 보상을 해주었다. 워싱턴 D. C.의 폴란드 대사관 문화담당관과 파리의 폴란드 대사관 문화담당 제1서기관을 지낸 뒤, 1951년 프랑스로 망명했다. 9년 뒤 미국으로 이주하여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의 교수가 되었으며 1970년에는 미국 시민이 되었다.

그는 본래 시인이었지만 가장 유명한 작품은 공산주의에 순응한 많은 폴란드 지성인을 비판한 평론집 〈사로잡힌 마음 Zniewolony umysł〉(1955)이다. 그의 시는 철학적·정치적 문제를 주제로 고전적인 문체를 쓴 점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1918년에서 1950년대의 폴란드 역사를 시로 결합한 〈시적인 논문 Traktat poetycki〉(1957)이 있다.

자서전으로는 〈조국 Rodzinna Europa〉(1959)·〈개인의 의무 Prywatne obowiazki〉(1972)가 있으며, 소설 〈이사 계곡 Dolina Issy〉(1955)·〈폴란드 문학사〉(1969), 시집 〈겨울 종(鐘) Bells in Winter〉(1978) 등 여러 권의 시선집과 폴란드어 번역성서가 있다.

=======================

 

 

 

 

Miłosz's final resting place: Skałka Roman Catholic ChurchKraków

 

*그가 마지막으로 휴식하고 있는 장소...

단지 무덤이나 유해라고 표현하지 않은 것은, 참 멋진 표현이다.

 

 

 

 


Skalka, Krakow's Oldest Shrine. 

 

Skalka, Krakow's Oldest Shrine(크라쿠프에서 가장 오래된 신전)

 

 

 

 

 

=======================

 

      세상 끝날의 노래

                                                  <  체슬라브 밀로즈 >

 

 

 

세상 끝나는 날

 

벌 한 마리 클로버꽃 주위를 돌고

 

어부는 빛나는 그물을 깁는다

 

행복한 돌고래, 바다 속에 뛰어들고

 

어린 참새들 처마 끝 홈통에서 논다

 

그리고 항상 그렇듯 뱀은 황금색 옷을 입고 있다.

 

 

세상 끝나는 날

 

여자들은 우산 쓰고 들길을 걷고

 

주정꾼은 잔디밭 가에서 존다

 

채소 장수들 거리에서 외치고

 

노란 돛배는 섬에 다가간다

 

바이얼린의 목소리는 공중에 남아

 

별 빛나는 밤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천둥 번개를 기다린 자들은 실망한다

 

조짐과 천사장의 나팔소리 기다린 자들은

 

세상의 끝 지금 진행중임을 믿지 않는다

 

해와 달 머리 위에 있는 한

 

땅벌이 장미꽃을 방문하는 한

 

장미빛 아이들이 태어나는 한

 

아무도 지금 진행중임을 믿지 않는다.

 

 

다만, 예언자가 되고 싶었던,

 

그러나 너무 바빠 되지 못한, 한 백발 노인이

 

토마도 줄기 엮으며 계속 중얼거린다

 

세상의 끝 달리 없을 걸

 

세상의 끝 달리 없을 걸.

 

 

            * 체슬라브 밀로즈

 

 

 



 

헌시獻詩 

 /체슬라브 밀로즈 


내 능력으로 구원하지 못한 그대 
내 말에 귀 기울이시라. 
이 단순한 말씀을 이해하시라. 차마 또 한 말씀이 부끄러우니. 
내 맹서하노니, 내게 마술같은 말장난이 없음을 
구름이나 나무처럼 침묵으로 나 그대에게 입을 여느니. 

나에게 힘을 준 것이 그대에게 죽음을 주었느니. 
그대는 구세대의 작별을 신세대의 시작으로 
증오의 감정을 서정적 아름다움으로 
맹목의 힘을 완성된 형체로 착각하였지. 

여기 얕은 폴란드의 강의 골짜기가 있다. 그리고 커다란 다리가 
흰 안개 속으로 사라진다. 여기 깨어진 도시가 있다. 
내가 그대와 대화를 하는 동안 
바람이 갈매기의 비명을 그대 무덤에 던지고 있다. 

국가나 국민을 
구하지 못하는 시는 무엇인가? 
그것은 공개된 거짓말과의 야합, 
곧 참수당할 주정뱅이의 노래, 
대학 이학년 여학생의 독서물. 
알지 못한 채 좋은 시를 원했고, 
시의 건전한 목적을 늦게나마 찾게 된 
이것, 오직 이것에만 나는 구원을 찾는다. 

새가 되어 날아 온 死者를 먹이기 위해 
그들은 조와 양귀비를 뿌리곤 하였으나 
나는 한때 여기 지상에 살았던 그대에게 
다시는 우리를 찾아오지 못하게 
이 책을 여기 두노라.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70 하늘은 시간의 진리가 투사되는 진실의 장소이다... 2017-10-10 0 2537
769 "시계초침이 거꾸로 돌고 돈다"... 2017-10-09 0 2434
768 시창작에서나 시감상에서나 모두 고정관념 틀을 깨버리는것 2017-10-09 0 2404
767 시인은 시를 천연덕스럽게 표현할줄 알아야... 2017-10-09 0 3306
766 난해함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익숙해지기... 2017-10-09 0 3562
765 대추 한알속에 태풍 몇개, 천둥 몇개, 벼락 몇개... 2017-10-09 0 3797
764 "시계들이 날개를 활짝 펴고 0시의 바깥세계로 날아간다"... 2017-10-09 0 2140
763 "우리 한글이야말로 시를 위한 최적의 언어입니다"... 2017-10-09 0 2334
762 "글자들이 권총을 쏜다"... 2017-10-09 0 2416
761 문학은 국경과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 인간성을 써라... 2017-10-07 0 2465
760 올해 노벨문학상 주인 나타나다... 2017-10-07 0 2241
759 고향에서 들었던 소리가 음악을 낳다... 2017-10-06 0 2162
758 [고향문단소식] - 룡정엔 문사 - 송몽규 고택과 유택이 있다... 2017-10-02 0 2213
757 윤동주 = "병원" =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2017-10-01 0 2742
756 불멸의 시인 - 윤동주와 불멸의 문사 - 송몽규의 판결문 2017-09-30 0 2918
755 윤동주네 기숙사에는 "팔도 사투리"가 욱실욱실하였다... 2017-09-30 0 2150
754 불멸의 문사 - 송몽규를 재다시 알아보기... 2017-09-30 0 3320
753 일본 포스트모던 시인 - 테라야마 슈우시 2017-09-27 0 2007
752 [이런저런] -마광수님, 인젠 님과의 인터뷰를 지옥에가 할가ㅠ 2017-09-26 0 2346
751 글을 개성적으로 쉽게 쓰는데 목표를 두고 열심히 습작하기... 2017-09-26 0 2148
750 마광수님의 "윤동주연구" = 한국 최초 "윤동주 시 장편논문" 2017-09-26 0 2105
749 동시를 "하이퍼"로 써도 됨둥... 아니 됨둥(ㄹ)... 2017-09-24 0 2165
748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냐고요"?!... 2017-09-22 0 2082
747 "나는 가끔 주머니를 어머니로 읽는다"... 2017-09-22 0 1970
746 러시아 시인 - 네크라소프 2017-09-22 0 3583
745 마광수님, "창조적 불복종"때문에 저세상 길 택했을가... 2017-09-21 0 2255
744 마광수님, 력사앞에서 님의 "문단유사" 알아보기 2017-09-21 0 2412
743 마광수님, 오늘도 이 시지기-죽림은 님땜에 잠을 설칩니다... 2017-09-21 0 2105
742 "시계란 시계는 다 오후 다섯시였다"... 2017-09-20 0 2052
741 동시를 "하이퍼"로 써도 됨둥... 아니 됨둥(ㄷ)... 2017-09-19 0 2311
740 마광수님, 사라는 "사라"땜에 님께서 등천길 가신걸 알가ㅠ... 2017-09-19 0 2570
739 시가 언어이지만 시인은 그 언어의 장벽을 넘어설줄 알아야... 2017-09-19 0 2647
738 시는 메마르고 거친 세상을 뛰여넘는 행위예술이다.. 2017-09-19 0 2035
737 음유시인은 그 누구도 길들일수 없는 짐승이며 악마라고?!... 2017-09-17 0 2089
736 프랑스 음유시인 - 조르주 무스타키 2017-09-17 0 2115
735 반전을 노래한 음유시인- '밥 딜런' 대표곡 2017-09-17 0 3264
734 [시문학소사전] - "음유시가"란?... 2017-09-17 0 3417
733 섬과 파도 2017-09-17 0 2107
732 미국 시인, 환경운동가 - 게리 스나이더 2017-09-17 0 2482
731 시를 쓰는데는 음악과 그림이 아주 많이 도움이 된다... 2017-09-16 0 2012
‹처음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