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난해함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익숙해지기...
2017년 10월 09일 23시 17분  조회:3565  추천:0  작성자: 죽림


유의미孃 실종 사건에 대한 현장검증 / 함기석


『오렌지 기하학』, 함기석, 문학동네, 2012년, 62쪽


솔직히 이 시가 한 글자도 눈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오래 다양한 시를 읽어 왔는데, 함기석 시인의 시는, 참 개념을 설명하기가 어렵고 모호합니다. 특히 이 시가 가장 그렇습니다. 제 능력으로는 시를 옮길 수가 없어 해당 페이지를 '사진'으로 찍어 블로그에 올립니다. 그렇다면 이 시는 어떻게 '분류'해야 합니까. 개념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단어는 있겠지만, 저에게 익숙한 것이 아니어서 곤욕스럽습니다. 제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은, ‘포스트모더니즘’ 뿐입니다. 먼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문학적인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저자는 예언자나 현인의 권위를 더 이상 누리지 않는다. 기껏해야 그는 상호 텍스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자, 즉 다른 누군가의 텍스트를 끌어 모아 재분배하거나, 어디선가 비롯된 이미지와 경험을 취하는 – 레비 스트로스의 표현을 빌자면 – 브리콜뢰즈(bricoleur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지 이용해서 만드는 사람)로서 기능할 뿐이다.

브랜든 테일러,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리얼리즘』 중에서


이 의미가 말하는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은 기존의 개념으로 정의될 수 없다’일 것입니다. 다만 이 문장에서 말하는 '기존의 개념의 정의'가 지칭하는 것은 ‘모더니즘’을 말합니다. 왜냐하면,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는 어떤 식으로든 존재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을 생각하면, 머릿속이 온통 혼돈으로 바뀝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개념이라는 것이 모호하고, 추상적이며, 구체적인 무엇인가를 지칭하지도 않습니다. 그림으로 치면, 피카소가 그린 괴상한 얼굴들이 떠오릅니다. 그러나 왜 포스트모더니즘이 탄생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 시대적 배경을 둘러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탄생은 불행한 역사, 세계 대전과 함께합니다. 세계 제1차·제2차 대전이 상징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그것은 영원할 것 같았던 ‘기존 질서의 붕괴’입니다. 이 세계대전에서 일어난 끔찍한 학살, 무자비한 폭격, 타살은 인간의 문화를 근본적으로 되돌아보게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인간의 문화란 바로 ‘모더니즘’입니다. 모더니즘이 상징하는 것은 ‘근대화, 산업화’로서, 인류를 발전시켰다고 자부한 1·2차 산업혁명이 가져온 것은 궁극적으로, 진보가 아닌 '파멸'이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목격한 아도르노는 ‘계몽의 변증법’을, 한나 아렌트는 ‘악의 진부성(보편성)’을 말합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화가 '살바도르 달리'도 초현실주 작가입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예술가들이 기존의 보편을 따를 수 있었겠습니까. 그렇다면 세기적 불행이 예술적 영감과 자극으로 다가온 것입니까. … . 이렇게 접근하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엄청난 곤란에 처합니다. 왜냐하면, 그와 같은 방법으로 해석하면 포스트모더니즘(다다이즘 큐비즘등의 다양한 부속물들은)은 피를 먹고 자라난 예술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관점은 '결과론적인 시각'에 불과합니다. 함정으로 몰아넣기 위해 억지로 짜 맞춘 것과 같습니다. 이보다 불행을 인간의 날 눈으로 바라보고 ‘아포리아(Aporia)’를 극복하기 위한 인간의 필연적(必然的) 의지로 바라보는 것이 적당합니다. 

난해함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익숙해지기!
'미분'과 '적분'적 틀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시가 난해한 까닭은, 기존의 틀을 깨고 새로운 틀에 맞춘 詩이기 때문입니다. '미분'과 '적분'적의 난해함도 익숙해짐으로써 극복할 수 있지만, 이 시는 '익숙해질 필요가 없는 시'이기 때문에 ‘쭉~’ 난해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런 하나하나의 실험까지 익숙해질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특히 효율성의 관점에서). 굳이 이 시를, 함기석 시인의 시를 읽지 않아도 무방하고, 또한 이와 같은 시들은 함기석 시인의 시 중에서도 한 부분(다수의 시는 언어에 충실합니다)에 불과합니다. 시를 전공하시는 것이 아니라면, 이렇듯 시의 다양한 활용법이 있다는 것을 맛보기 하시고 '주류의 시'만 읽으셔도 충분합니다. 여기서 주류란 '언어'에 충실한 것으로, 이 또한 수많은 갈래를 가지고 있기에 비록 시인이라고 하더라도 극복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언어에 익숙해지는 것'이 순서로서 먼저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5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란 "어린이"라고 해요... 2017-11-13 0 3320
84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쓰기에 최고가 될수 있어요... 2017-11-13 0 3016
84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요 동시를 자꾸 써봐야해요... 2017-11-13 0 2813
847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요 동시에 "꼬까옷" 입히기... 2017-11-13 0 3118
84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야기 시"란?... 2017-11-13 0 3240
84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유아들에게 읽어줘야 할 동시류형... 2017-11-13 0 3449
844 동시야, 동시야, 어디에 숨었니... 머리꼬리 보인다야... 2017-11-13 0 3103
843 [노벨문학상과 시인]-"20세기후반 영어권에서 추앙"되는 시인 2017-11-13 0 3029
84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설교하지 않는" "언어봉사" 교수 시인... 2017-11-13 0 3102
84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프리카인과 유럽인"을 넘나든 시인 2017-11-13 0 3394
840 윤동주눈 "나"를 고백한 시, "너머"를 상상한 시를 쓰다... 2017-11-13 0 2504
839 시작할때 형이상학적 이미지들 언어로 시적성채를 빚어야... 2017-11-13 0 3116
838 우리가 전혀 몰랐던 지구 반대편 아메리카의 시단 알아보기... 2017-11-13 0 2174
837 [노벨문학상과 시인] - 라틴아메리카 대표적인 "외교관"시인... 2017-11-13 0 3509
836 시야, 시야, 넌 도대체 무엇이니?!... 2017-11-13 0 2387
835 시는 "경계의 눈"을 가진 비평가를 만나는것이 즐거운 일이다... 2017-11-13 0 2188
834 시작은 하찮은것에서 소중한것을 길어내야... 2017-11-13 0 2365
833 [노벨문학상과 시인] -"서정적 비가"시인, "학교중퇴생" 시인... 2017-11-13 0 2352
83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초현실주의적 "외교관" 시인... 2017-11-13 0 2274
83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인민시인"으로 추대되였던 시인... 2017-11-13 0 2011
830 시의 령혼이 빛나고 있는 곳은 실재계, 상징계, 영상계에 있다 2017-11-10 0 2183
829 [노벨문학상과 시인] - 력사를 "시적인 론문"으로 쓴 시인... 2017-11-06 0 4579
828 [노벨문학상과 시인]젊은이들속 "음유시인"으로 알려진 시인... 2017-11-06 0 3818
82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자유시의 대가"인 시인... 2017-11-05 0 3562
82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음악가로부터 문학의 길을 택한 시인 2017-11-05 0 3972
825 [노벨문학상과 시인]소설가인 년상(年上) 녀인과 재혼한 시인 2017-11-05 0 4309
824 문인들 컴퓨터의 노예가 되다... 2017-11-03 0 3565
823 "가짜 詩"와 "진짜 詩"... 2017-11-03 0 5010
822 [노벨문학상과 시인]"유대인 민족의 비극을 대변한" 녀류시인 2017-11-03 0 3537
82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촉망되는, 촉망받은" 외교관 시인 2017-11-02 0 3531
820 [노벨문학상과 시인] - 고향을 "서사적인 힘"으로 노래한 시인 2017-11-02 0 3498
819 [그것이 알고싶다] - 일본 녀고생들은 윤동주를 어떻게 볼가?... 2017-11-02 0 2350
818 "배추잎같은 엄마의 발소리 타박타박"... 2017-11-01 0 2862
81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중국 상하이, 베이징 주재 외교관 시인 2017-10-31 0 3731
81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모더니즘 시인들 운동"의 지도자 시인 2017-10-31 0 3825
815 [노벨문학상과 시인] "벌거벗은 시"로 리행과 리정표가 된 시인 2017-10-31 0 3395
814 시인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메달 출시되다... 2017-10-31 0 2152
813 시성 타고르의 시와 그리고 오해, 진실... 2017-10-30 0 4032
812 천년의 그리움이 만년의 강 따라 흐르고... 2017-10-30 0 3169
81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세아인 최초로 노벨상을 탄 시인 2017-10-30 0 4443
‹처음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