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글을 개성적으로 쉽게 쓰는데 목표를 두고 열심히 습작하기...
2017년 09월 26일 23시 22분  조회:2188  추천:0  작성자: 죽림



1. 독서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사실은 마광수 교수님도 공감하실테고 많은 사람들이 강조하고 있는데 독서란 꼭 어릴때부터 습관이 되어야 하는지 혹은 지금이라도 읽으면 늦지 않았는지에 대해 묻고 싶습니다.


---- 어릴 때 독서를 안 했다고 해도 지금 시작하면 됩니다. 사실 어린시절에 읽는 책들은 현실에 맞지 않은 게 많아서 사춘기 이후의 독서가 제일 중요해요.

2. 교수님은 연세대 4년 장학생에 굉장히 젊은 나이에 박사학위를 얻는 엘리트 코스를 밟으셨는데 혹시 공부 비결이라도 있으신지 묻고 싶습니다.


---- 공부의 비결은 '독학'에 있어요. 학원에 나가보았자 멍청하게 남의 강의만 듣다가 끝나지요. 고교시절이든 대학시절이든 학교 수업에 충실하면서 혼자서 예습, 복습을 철저히 하는 게 최고죠.

3. 에로티시즘 문학의 선구자로서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의 성에 대한 인식 혹은 성에 대한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지 묻고 싶습니다.


---- 한국사람들은 성문제에 위선적으로 행동하고 이중적 처신을 하지요. 내가 보면 예술, 남이 보면 외설이 되는 식이죠. 낮에는 신사, 숙녀고, 밤에는 야수, 창녀입니다. 하루속히 표현의 자유가 이루어져, 포르노와 매매춘이 합법화 되어야 합니다. 집창촌은 없애면서 고급 룸살롱의 매매춘은 봐주는 정부에 책임이 있습니다. 성을 음지에서 양지로 끌어내야 해요.

4. <윤동주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셨는데 많은 문학가들 중에서 윤동주 시인을 연구하신 이유가 있으신지. 그리고 윤동주 시인 외에도 높이 평가하는 문학가가 있으신지 묻고 싶습니다.


---- 윤동주는 최고의 시인인데 별로 분석된 게 없어서 내가 처음으로 전 작품을 분석해 세상에 알렸습니다. 윤동주 이외에 한용운, 김소월, 이육사, 유치환, 김영랑 등도 우수한 시인입니다. 이상의 시는 개소리에요.

5. 황석영, 고은 같은 문학가가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오르면서 한국 문학이 발전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현재 한국 문학에 대한 평가를 해주신다면? (저는 개인적으로 교수님의 케이스를 보고서는 아직 다양성을 인정해주지 않는 것 같아서 유감이라고 생각합니다.)


---- 한국문학은 다양성도 없고 획일적이어서 일본문학에도 못 미칩니다. 그리고 교훈주의 일변도구요. 성문학, 추리문학, 에스에프 문학 등 장르 소설도 순문학으로 인정해주어야 해요.

6. 1992년 <즐거운 사라>가 음란하다는 이유로 판금이 되고 그 이후에도 에로티시즘 작품을 쓰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으셨을텐데 혹시 지금이라도 계속 에로티시즘 작품을 쓸 계획이 있으신지 묻고 싶습니다. (저는 에로티시즘 문학에 관심이 많은 학생으로서 계속 써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요샌 검열이 더 심해져서 성문학 작품을 써도 출판 자체가 힘들어요. 애는 쓰지만 주위 여건에 절망하고 있습니다.

7. 교수님이 생각하시는 좋은 글이란?


---- 좋은 글은 우선 문장이 술술 읽히는 글입니다. 한국 작가들의 문장은 어렵고 현학적이지요. 그리고 내용이 개성적이어야 해요.

8. 마지막으로 조언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 쉬운 글을 쓰는 데 목표를 두고 열심히 습작하세요.
@@ 한 고교생과 마광수교수와의 대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5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란 "어린이"라고 해요... 2017-11-13 0 3375
84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쓰기에 최고가 될수 있어요... 2017-11-13 0 3054
84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요 동시를 자꾸 써봐야해요... 2017-11-13 0 2858
847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요 동시에 "꼬까옷" 입히기... 2017-11-13 0 3144
84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야기 시"란?... 2017-11-13 0 3298
84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유아들에게 읽어줘야 할 동시류형... 2017-11-13 0 3484
844 동시야, 동시야, 어디에 숨었니... 머리꼬리 보인다야... 2017-11-13 0 3206
843 [노벨문학상과 시인]-"20세기후반 영어권에서 추앙"되는 시인 2017-11-13 0 3116
84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설교하지 않는" "언어봉사" 교수 시인... 2017-11-13 0 3148
84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프리카인과 유럽인"을 넘나든 시인 2017-11-13 0 3426
840 윤동주눈 "나"를 고백한 시, "너머"를 상상한 시를 쓰다... 2017-11-13 0 2563
839 시작할때 형이상학적 이미지들 언어로 시적성채를 빚어야... 2017-11-13 0 3152
838 우리가 전혀 몰랐던 지구 반대편 아메리카의 시단 알아보기... 2017-11-13 0 2290
837 [노벨문학상과 시인] - 라틴아메리카 대표적인 "외교관"시인... 2017-11-13 0 3529
836 시야, 시야, 넌 도대체 무엇이니?!... 2017-11-13 0 2440
835 시는 "경계의 눈"을 가진 비평가를 만나는것이 즐거운 일이다... 2017-11-13 0 2219
834 시작은 하찮은것에서 소중한것을 길어내야... 2017-11-13 0 2411
833 [노벨문학상과 시인] -"서정적 비가"시인, "학교중퇴생" 시인... 2017-11-13 0 2392
83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초현실주의적 "외교관" 시인... 2017-11-13 0 2312
83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인민시인"으로 추대되였던 시인... 2017-11-13 0 2068
830 시의 령혼이 빛나고 있는 곳은 실재계, 상징계, 영상계에 있다 2017-11-10 0 2219
829 [노벨문학상과 시인] - 력사를 "시적인 론문"으로 쓴 시인... 2017-11-06 0 4649
828 [노벨문학상과 시인]젊은이들속 "음유시인"으로 알려진 시인... 2017-11-06 0 3871
82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자유시의 대가"인 시인... 2017-11-05 0 3601
82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음악가로부터 문학의 길을 택한 시인 2017-11-05 0 4040
825 [노벨문학상과 시인]소설가인 년상(年上) 녀인과 재혼한 시인 2017-11-05 0 4384
824 문인들 컴퓨터의 노예가 되다... 2017-11-03 0 3658
823 "가짜 詩"와 "진짜 詩"... 2017-11-03 0 5065
822 [노벨문학상과 시인]"유대인 민족의 비극을 대변한" 녀류시인 2017-11-03 0 3593
82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촉망되는, 촉망받은" 외교관 시인 2017-11-02 0 3582
820 [노벨문학상과 시인] - 고향을 "서사적인 힘"으로 노래한 시인 2017-11-02 0 3536
819 [그것이 알고싶다] - 일본 녀고생들은 윤동주를 어떻게 볼가?... 2017-11-02 0 2393
818 "배추잎같은 엄마의 발소리 타박타박"... 2017-11-01 0 2958
81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중국 상하이, 베이징 주재 외교관 시인 2017-10-31 0 3806
81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모더니즘 시인들 운동"의 지도자 시인 2017-10-31 0 3882
815 [노벨문학상과 시인] "벌거벗은 시"로 리행과 리정표가 된 시인 2017-10-31 0 3436
814 시인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메달 출시되다... 2017-10-31 0 2214
813 시성 타고르의 시와 그리고 오해, 진실... 2017-10-30 0 4200
812 천년의 그리움이 만년의 강 따라 흐르고... 2017-10-30 0 3213
81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세아인 최초로 노벨상을 탄 시인 2017-10-30 0 4498
‹처음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