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마광수님, 님께서는 생전에 줄담배를 피우셨다면서ㅠ...
2017년 09월 16일 01시 58분  조회:3162  추천:0  작성자: 죽림
양쪽 색깔이 다른 눈동자란 뜻의 ‘오드 아이(odd-eye)’는 한경닷컴 기자들이 새롭게 선보이는 코너입니다. 각을 세워 쓰는 출입처 기사 대신 어깨에 힘을 빼고 이런저런 신변잡기를 풀어냈습니다. 평소와 조금 다른 시선으로 독자들과 소소한 얘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편집자 주>

마광수 교수가 기자에게 선물했던 그의 소설 〈청춘〉. / 출처='네이버 책'

5일 유명을 달리한 마광수 교수를 생전에 두 차례 인터뷰했다. 2007년에 한 번, 2013년에 한 번. 좋은 일로 인터뷰한 건 아니었다. 앞은 동료 교수들 결정으로 강의를 배정받지 못했을 때였고, 뒤는 강의 수강생들에게 자신의 책을 강매한다는 논란이 불거졌을 때였다.

두 차례 모두 서울 동부이촌동 그의 자택을 찾아갔다. 연세대를 대표하는 스타 교수였건만 정작 연구실은 그에게 편한 공간이 아니었다. 작품과 현실의 마광수는 꽤 간극이 컸다. 《가자, 장미여관으로》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즐거운 사라》에서 작가 마광수는 대담해 보였다. 직접 만난 마 교수는 달랐다. 수척하고 피로한 모습이었다. 적어도 2000년대 들어서는 그랬다. 집 서재에서 인터뷰할 때마다 줄담배를 피워 물곤 했다. 

야한 소설의 작가 정도로 알려진 대중적 이미지와 달리, 그는 ‘윤동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20대에 교수가 된 천재형이었다. “성(性)에 솔직해지자”는 지론이 촉망받던 연구자의 인생 항로를 바꿨다. 필화 사건, 해직과 복직, 동료 교수들의 따돌림, 교수 재임용 탈락 통보 등 굴곡이 이어졌다.

해서 말년의 마광수는 쓸쓸하고 우울했다. 그는 《즐거운 사라》 때 섰던 법정을 무서워했다. “재판이라면 이가 갈린다”고 했다. 이혼 후 함께 살던 노모는 재작년 별세했다. 스스로는 지난해 정년퇴임했다. 해직 경력 때문에 명예교수도 되지 못했다. 더 큰 걱정은 생활고였을지도 모른다. 몇 해 전부터 ‘전과자’ 이력 탓에 퇴임 후 연금을 못 받는다며 한숨을 푹 내쉬었다.
마지막 인터뷰 말미에 그는 “날 쫓아낸 동료 교수들을 복도에서 만날까봐 연구실에서 나가는 게 두렵다. 만나면 하루 종일 가슴이 떨린다”고 털어놓았다. ‘아, 정말 심약한 사람이구나.’ 부고를 접하고 그 생각부터 났다. 여린 천성이 풍파를 겪으면서 남은 삶을 조금씩 갉아먹었으리라.

외설 논란으로 기성세대와 불화했던 생전의 마 교수는 늘 신세대에 기대를 걸었다. 학생들도 그가 어려울 때마다 힘이 되어줬다. 필화 사건으로 정규 강의를 하지 못하면 연대생들이 100명씩 몰려와 그의 ‘무학점 강의’를 듣던 시절이 있었다. 졸업을 맞은 국문과 학생들이 “후배들에게 남길 것은 마 교수의 강의뿐”이란 현수막을 걸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그래서인지 마광수에게 어울리는 단어는 ‘청춘’ 같다. 여린 심성이 세심한 감수성으로 빛나고 때로는 자의식 강한 솔직함으로 표출되는, 젊음. 누구나 어느 정도는 그렇겠지만 누구보다도 마광수에게는 그게 삶을 살아내는 원천이었을 것이다. 그의 명복을 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757 [고향사람] - 조선족과 영화... 2019-10-26 0 3366
2756 [그것이 알고싶다] - 단성사와 "아리랑" 영화와 라(나)운규 2019-10-25 0 4176
2755 [그것이 알고싶다] - 한국영화 100 2019-10-25 0 4244
2754 [그것이 알고싶다] - 한국 최초 영화와 단성사 2019-10-25 0 4073
2753 [고향사람] - 가야금과 "결혼한" 총각선생... 2019-10-25 0 3792
2752 [력사속에서] - 한국 최초의 영화관 - 단성사(團成社) 2019-10-24 0 5342
275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24 0 3885
2750 [그때그때] - "단성사" 100 = 한국영화 100 2019-10-24 0 3701
274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살되는 사과배선조나무 구합시다... 2019-10-24 0 3885
2748 [고향사람] - "중국 조선족의 주시경"... 2019-10-24 0 3534
2747 [고향시단] - 시인들의 명절 - "중국조선족시가절" 고고성... 2019-10-23 0 3555
2746 [그것이 알고싶다] - 돌배나무... 2019-10-17 0 5797
27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과배나무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6 0 4163
27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6 0 3821
2743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3대 문학상 中 "공쿠르상"... 2019-10-15 0 4513
2742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3대 문학상 中 "맨부커상"... 2019-10-15 0 4023
2741 [세계문학] - "부커상" - 녀성시대... 2019-10-15 0 3736
2740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상은 어떻게 선정?... 2019-10-13 0 4071
2739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문학상 118... 2019-10-13 0 3720
2738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문학상 116... 2019-10-13 0 4434
2737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평화상" 력대 기록... 2019-10-13 0 3918
273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100 = "노벨평화상"... 2019-10-12 0 4628
2735 [그때그시절] - 졸라 졸라 졸라... 2019-10-12 0 3612
2734 [별의별] - "임신한 다이아몬드"... 2019-10-12 0 3990
2733 [별의별] - 38... 2019-10-12 0 3460
2732 문자가 없으면 력사서도 전통 문학도 없다... 2019-10-11 0 3639
2731 문자가 없으면 력사서도 전통 문학도 없다... 2019-10-11 0 3553
2730 한글 띄어쓰기는 외국인이 처음 도입했다?!... 2019-10-11 0 4567
2729 재밋는 한글 배우기 6... 2019-10-11 0 4514
2728 재밋는 한글 배우기 5... 2019-10-11 0 4202
2727 재밋는 한글 배우기 4... 2019-10-11 0 4904
2726 재밋는 한글 배우기 3... 2019-10-11 0 3472
2725 재밋는 한글 배우기 2... 2019-10-11 0 3985
2724 재밋는 한글 배우기... 2019-10-11 0 3819
272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한글보급",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1 0 3848
2722 [그것이 알고싶다] - 2018, 2019,노벨문학상 2019-10-10 0 4228
2721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상주본"은 어디에?... 2019-10-10 0 4047
2720 [그것이 알고싶다] - "訓民正音" 解例本 2019-10-10 0 4163
271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훈민정음 상주본"아, 너 보고싶다... 2019-10-10 0 3421
2718 [그것이 알고싶다]-"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언제면 해빛??? 2019-10-10 0 3670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