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마광수님, 님께서는 생전에 줄담배를 피우셨다면서ㅠ...
2017년 09월 16일 01시 58분  조회:3155  추천:0  작성자: 죽림
양쪽 색깔이 다른 눈동자란 뜻의 ‘오드 아이(odd-eye)’는 한경닷컴 기자들이 새롭게 선보이는 코너입니다. 각을 세워 쓰는 출입처 기사 대신 어깨에 힘을 빼고 이런저런 신변잡기를 풀어냈습니다. 평소와 조금 다른 시선으로 독자들과 소소한 얘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편집자 주>

마광수 교수가 기자에게 선물했던 그의 소설 〈청춘〉. / 출처='네이버 책'

5일 유명을 달리한 마광수 교수를 생전에 두 차례 인터뷰했다. 2007년에 한 번, 2013년에 한 번. 좋은 일로 인터뷰한 건 아니었다. 앞은 동료 교수들 결정으로 강의를 배정받지 못했을 때였고, 뒤는 강의 수강생들에게 자신의 책을 강매한다는 논란이 불거졌을 때였다.

두 차례 모두 서울 동부이촌동 그의 자택을 찾아갔다. 연세대를 대표하는 스타 교수였건만 정작 연구실은 그에게 편한 공간이 아니었다. 작품과 현실의 마광수는 꽤 간극이 컸다. 《가자, 장미여관으로》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즐거운 사라》에서 작가 마광수는 대담해 보였다. 직접 만난 마 교수는 달랐다. 수척하고 피로한 모습이었다. 적어도 2000년대 들어서는 그랬다. 집 서재에서 인터뷰할 때마다 줄담배를 피워 물곤 했다. 

야한 소설의 작가 정도로 알려진 대중적 이미지와 달리, 그는 ‘윤동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20대에 교수가 된 천재형이었다. “성(性)에 솔직해지자”는 지론이 촉망받던 연구자의 인생 항로를 바꿨다. 필화 사건, 해직과 복직, 동료 교수들의 따돌림, 교수 재임용 탈락 통보 등 굴곡이 이어졌다.

해서 말년의 마광수는 쓸쓸하고 우울했다. 그는 《즐거운 사라》 때 섰던 법정을 무서워했다. “재판이라면 이가 갈린다”고 했다. 이혼 후 함께 살던 노모는 재작년 별세했다. 스스로는 지난해 정년퇴임했다. 해직 경력 때문에 명예교수도 되지 못했다. 더 큰 걱정은 생활고였을지도 모른다. 몇 해 전부터 ‘전과자’ 이력 탓에 퇴임 후 연금을 못 받는다며 한숨을 푹 내쉬었다.
마지막 인터뷰 말미에 그는 “날 쫓아낸 동료 교수들을 복도에서 만날까봐 연구실에서 나가는 게 두렵다. 만나면 하루 종일 가슴이 떨린다”고 털어놓았다. ‘아, 정말 심약한 사람이구나.’ 부고를 접하고 그 생각부터 났다. 여린 천성이 풍파를 겪으면서 남은 삶을 조금씩 갉아먹었으리라.

외설 논란으로 기성세대와 불화했던 생전의 마 교수는 늘 신세대에 기대를 걸었다. 학생들도 그가 어려울 때마다 힘이 되어줬다. 필화 사건으로 정규 강의를 하지 못하면 연대생들이 100명씩 몰려와 그의 ‘무학점 강의’를 듣던 시절이 있었다. 졸업을 맞은 국문과 학생들이 “후배들에게 남길 것은 마 교수의 강의뿐”이란 현수막을 걸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그래서인지 마광수에게 어울리는 단어는 ‘청춘’ 같다. 여린 심성이 세심한 감수성으로 빛나고 때로는 자의식 강한 솔직함으로 표출되는, 젊음. 누구나 어느 정도는 그렇겠지만 누구보다도 마광수에게는 그게 삶을 살아내는 원천이었을 것이다. 그의 명복을 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957 ... 2020-06-15 0 2322
2956 ... 2020-06-15 0 2588
295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축구선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6-15 0 2560
295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축구선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6-15 0 2487
2953 [세상만사] - 연주는 계속 되고지고... 2020-06-01 0 4396
295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농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31 0 4069
295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28 0 4262
2950 [그것이 알고싶다] - "미술계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28 0 4431
294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대기오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17 0 4013
294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는 력사로 존중해야... 2020-05-14 0 4032
294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기후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09 0 4115
294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메돼지병",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09 0 4494
29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보호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03 0 4472
29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음료수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5-03 0 4611
294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황새야, 별탈없이 잘 자라거라... 2020-04-26 0 3950
294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인간들 문제", 애매한 꽃들만 탈... 2020-04-24 0 4290
294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원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22 0 4343
2940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 2020-04-22 0 4059
293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벌레문제", 심중하게 처리해야... 2020-04-22 0 4476
2938 [잊혀진 민속] - 담뱃대 2020-04-21 0 4707
2937 [그것이 알고싶다] - 지구의 날 2020-04-21 0 4222
293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매연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20 0 4172
2935 [우리의 것] - 활쏘기 2020-04-20 0 4075
293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먼지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20 0 3948
293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방사능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18 0 4196
2932 [민속] - 인절미(찰떡) 2020-04-15 1 6399
2931 [잊혀진 민속] - 뻥튀기 2020-04-13 0 4380
2930 [잊혀진 민속] - 짚신 2020-04-13 0 4894
2929 [잊혀진 민속] - 미투리 2020-04-13 0 5095
292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대기오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13 0 4130
292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11 0 3769
292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메뚜기 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10 0 4018
2925 [민속] - 담배쌈지 2020-04-10 0 5092
292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히말라야, 계속 같이 놀쟈..." 2020-04-10 0 4185
2923 [세계속에서] - 원주민들과 비상사태... 2020-04-10 0 3722
2922 [별의별] - "거리두기" 2020-04-10 0 3983
2921 [세계속에서] - 봉쇄령길에 피여난 "모성애꽃" 2020-04-10 0 3285
2920 [세계속에서] - 인간들 때문에 욕보는 꽃들... 2020-04-10 0 3705
2919 [민속] - 통발 2020-04-07 0 4191
2918 [민속] - 뚝배기 2020-04-07 0 3740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