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어떤 시인들은 자기가 갖고 있는 자대를 늘 자랑하는데... ㅉㅉ
2017년 09월 02일 00시 05분  조회:2322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는 가장 위험한 칼



최문자 (시인, 협성대학교 문창과 교수)


벌써 오래 전 얘기다.
시 쓰는 친구가 어느 날 내게 이런 얘기를 하면서 울고불고 하던 얘기가 생각난다.

“그 남자는 날 추억으로 남기고 싶어 하지만 나는 그 남자가 고통으로 남아서 견딜 수 없어, 어떤 칼로도 이걸 잘라낼 수 없다구.”

그때는 대중가요 가사쯤으로 들리던 그 이야기가 나이 들어 다시 생각해보니 깊은 의미가 담긴 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기억해봤자 상처만 깊이 내는 이별의 불행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잘라내지도 못하던 그녀가 아직도 눈에 선하다.

누구나 가슴에 말 안 듣는 칼 하나씩을 품고 살고 있는 것 같다. 자신의 의식대로 움직여주지 않는 칼. 때로는 그 칼이 위기를 몰고 오기도 한다. 그 위험한 칼을 어떤 사람은 무심하게, 어떤 사람은 두려워해 가며 살아가고 있다.

잘 썰리지 않는 칼은 말썽만 부린다. 썰어야 할 물체의 부위 부위 상처만 내고 도마 위에 피만 낭자하게 고이게 만든다. 가끔 젊은 학생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그들이 부러워진다. 그들에게서 잘 썰 수 있는 칼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개인차가 있다고 하겠지만 비교적 그들은 싫증나면 버리고, 더러우면 바로 침 뱉고, 아니다 싶으면 끊고 중지한다. 자기 의식대로 잘 썰어지는, 잘 드는 칼을 자율적으로 사용한다. 

나는 시인이다. 어려서부터 안 드는 칼에 익숙해져 있었다. 내 칼은 아무 힘이 없으며 그 누구의 사용 허락이 가능할 때만이 내 칼은 존재하고 작동할 수 있다고 믿어왔다.

그래서 외로움도, 소외도, 분노도, 싸움도, 심판도 이 모든 고통의 사실을 내 마음대로 썰거나 잘라내거나 수술하는 것에는 지극히 소극적이었다. 그래서 남이 사흘 앓고 일어날 고통도 나는 한 달이 넘도록 끙끙대며 앓아야 했다. 단숨에 잘라내는 성능 좋은 칼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럴 때마다 <라 로쉐루꼬>의 말이 떠올랐다.

‘우리는 우리의 이성을 따라 살만큼 충분한 능력을 소유하지 못하고 있다’는 잠시 위안을 받을 수 있는 말이긴 하지만 오랫동안 나를 설득해내지는 못하는 말이다. 



그 동안 고통의 환부를 바로 수술하지 못해서 받는 고통은 엄청나게 많았다. 때로는 잘 들지 않는 칼로 섣부르게 자르려다, 오히려 환부만 건드려 더 큰 환부를 만드는 일도 자주 겪었다. 그 때마다 뼈를 깎는 수치감, 자괴감을 추스르는데 적지 않은 시간을 보냈다. 

그런데 중요한 문제는 여기에 멈추지 않는데 있다. 주변의 사람들이 내가 잘 안 드는 칼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건드리고 또 건드리고 더 건드릴 수 없을 때까지 건드린다. 폭발 직전까지 일단 건드려 본다.

‘변변치 못한 칼로 뭘 어떻게 하려고?’

‘감히 나 같이 질기고 두꺼운 것을 그 칼로?’

하고 얕잡아 본다.



그 잘 안 드는 칼을 도구로 삼고 그러면서 여기까지 살아왔다. 모든 인간관계, 문단생활, 학문세계, 교회생활, 결혼생활 속에서도 이러한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나는 그 도구를 버릴 생각을 못한다. 그 도구 자체가 내가 갖고 싶어 가진 도구가 아니기 때문이다. 누가 깊이 사고하고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 내 손에 들려준 도구이기 때문이다. 나는 어쩌지 못하고 그걸 사용하며 살아왔다.

그래서 나는 가끔 신에게 이렇게 호소했었다. ‘아예, 제 손에 아무 도구도 들려주시지 않았더라면 저는 이런 어설픈 일을 하지 않아도 되지 않습니까?’ 그러나 다른 한 편, 이런 생각도 해본다. 나에게 아마 잘 드는 칼을 도구로 쥐어주었다면 수많은 것들이 잘려나가고, 또……또…… 생각만 해도 두렵고 소름 끼치기도 한다.



그 동안 크리스쳔이라는 사실, 대학교수라는 사실, 시인이라는 사실들이 내 삶에서 더욱 더 칼날을 무능하게 만들 때가 많았다. 어느 평자가 내 시를 다루면서 월평에 쓴 글이 떠오른다. 

‘날카롭고 잘 드는 칼이 스치고 사라진 곳에 그의 시는 시작된다. 그래서 그의 시 속에는 날카로움이 숨어있고 그래서 그의 시는 흐느적거릴 수 없다. 그는 푸른 날을 수면 위로 나타내 독자에게 보여주지 않지만 그의 시세계 속에는 날선 감각이 번득인다.’

라고 했다. 부분적으로는 잘 짚은 얘기라고 보았다. ‘자기 이성이 사라진 곳에서 바로 신앙이 시작된다’라고 말한 키에르케고르의 말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박노해 시인의 시 「부드러운 페니스로」라는 시에서 ‘착한 사람도 화날 때 보면/성난 무처럼 뿔 속으로 들어간다’라는 행이 새롭게 기억된다. 가장 부드러운 부분은 언제라도 뿔이 될 수 있는 용기를 품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쇠처럼 강해 보이지 못하기 때문에 이중의 치열한 전쟁과 고통을 치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 무딘 칼 때문에 슬픔과 절망을 통해 정화를 거치는 힘이 생성되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가 갖고 있는 칼에 대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홍보전략을 갖는 21세기의 시점에서 나는 늘 위기를 느낀다. 요즘도 어이없게 시달리고 있다. 피만 흥건하게 괸 기분이다.

이 맘에 안 드는 보잘 것 없는 도구 때문에……. 잘 안 드는 칼은 가장 위험하다. 그래서 나는 늘 위험하지만, 주눅들지는 않는다. 뿔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새파란 무를 키우고 있기 때문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5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란 "어린이"라고 해요... 2017-11-13 0 3375
84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쓰기에 최고가 될수 있어요... 2017-11-13 0 3054
84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요 동시를 자꾸 써봐야해요... 2017-11-13 0 2859
847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요 동시에 "꼬까옷" 입히기... 2017-11-13 0 3144
84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야기 시"란?... 2017-11-13 0 3298
84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유아들에게 읽어줘야 할 동시류형... 2017-11-13 0 3484
844 동시야, 동시야, 어디에 숨었니... 머리꼬리 보인다야... 2017-11-13 0 3210
843 [노벨문학상과 시인]-"20세기후반 영어권에서 추앙"되는 시인 2017-11-13 0 3117
84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설교하지 않는" "언어봉사" 교수 시인... 2017-11-13 0 3148
84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프리카인과 유럽인"을 넘나든 시인 2017-11-13 0 3427
840 윤동주눈 "나"를 고백한 시, "너머"를 상상한 시를 쓰다... 2017-11-13 0 2564
839 시작할때 형이상학적 이미지들 언어로 시적성채를 빚어야... 2017-11-13 0 3152
838 우리가 전혀 몰랐던 지구 반대편 아메리카의 시단 알아보기... 2017-11-13 0 2290
837 [노벨문학상과 시인] - 라틴아메리카 대표적인 "외교관"시인... 2017-11-13 0 3529
836 시야, 시야, 넌 도대체 무엇이니?!... 2017-11-13 0 2440
835 시는 "경계의 눈"을 가진 비평가를 만나는것이 즐거운 일이다... 2017-11-13 0 2219
834 시작은 하찮은것에서 소중한것을 길어내야... 2017-11-13 0 2412
833 [노벨문학상과 시인] -"서정적 비가"시인, "학교중퇴생" 시인... 2017-11-13 0 2392
83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초현실주의적 "외교관" 시인... 2017-11-13 0 2312
83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인민시인"으로 추대되였던 시인... 2017-11-13 0 2068
830 시의 령혼이 빛나고 있는 곳은 실재계, 상징계, 영상계에 있다 2017-11-10 0 2219
829 [노벨문학상과 시인] - 력사를 "시적인 론문"으로 쓴 시인... 2017-11-06 0 4649
828 [노벨문학상과 시인]젊은이들속 "음유시인"으로 알려진 시인... 2017-11-06 0 3873
82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자유시의 대가"인 시인... 2017-11-05 0 3601
82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음악가로부터 문학의 길을 택한 시인 2017-11-05 0 4041
825 [노벨문학상과 시인]소설가인 년상(年上) 녀인과 재혼한 시인 2017-11-05 0 4384
824 문인들 컴퓨터의 노예가 되다... 2017-11-03 0 3658
823 "가짜 詩"와 "진짜 詩"... 2017-11-03 0 5065
822 [노벨문학상과 시인]"유대인 민족의 비극을 대변한" 녀류시인 2017-11-03 0 3593
82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촉망되는, 촉망받은" 외교관 시인 2017-11-02 0 3582
820 [노벨문학상과 시인] - 고향을 "서사적인 힘"으로 노래한 시인 2017-11-02 0 3538
819 [그것이 알고싶다] - 일본 녀고생들은 윤동주를 어떻게 볼가?... 2017-11-02 0 2394
818 "배추잎같은 엄마의 발소리 타박타박"... 2017-11-01 0 2963
81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중국 상하이, 베이징 주재 외교관 시인 2017-10-31 0 3806
81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모더니즘 시인들 운동"의 지도자 시인 2017-10-31 0 3882
815 [노벨문학상과 시인] "벌거벗은 시"로 리행과 리정표가 된 시인 2017-10-31 0 3438
814 시인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메달 출시되다... 2017-10-31 0 2214
813 시성 타고르의 시와 그리고 오해, 진실... 2017-10-30 0 4200
812 천년의 그리움이 만년의 강 따라 흐르고... 2017-10-30 0 3214
81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세아인 최초로 노벨상을 탄 시인 2017-10-30 0 4498
‹처음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