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인은 위대한 상상력의 소유자이다...
2017년 05월 05일 00시 22분  조회:2744  추천:0  작성자: 죽림

중국 연변 연길시 소영진 하룡촌 "천년송"

시는 말로 그린 그림이다.

 

조성연(월간 시사문단 편집위원)

 

위대한 시인은 위대한 상상력의 소유자다.
남이 못 보는 것을 보고, 남이 못 듣는 것을 듣는 사람이다.
그런 이유로 중세에는 시인이 신과 대화하는 매개자(媒介者)라는 말이 생겨났다.

그리스  시대 시신(詩神)이 시관(詩觀)은 `신은 시를 통하여 인간과 통화한다`고 보았다. 신이 영감(靈感)으로 시인을 부르고, 시인은 그것을 영감으로 느끼며, 신의 부름에 답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 쓰기에 대해서 세계를 모방하는 모방설을 말했다. 어떤 모상(模像)을 재창조하는 일로 본 것이다. 이것을 전적으로 인정할 수는 없지만 시인은 무의식 속에 묻혀 있는 체험들을, 시로 창작하기 위해서 이미지를 만든다.

C.D 루이스는 이미지(image)란 말에 대해서 `말로 그린 그림`이 라고 보았다. 시인은 이러한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이다. 하나의 이미지가 되기 위해서는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지각이 결합하여서 만들어진다. 여기서 말하는 이미지는 시의 형식적 정의이다.

과학적 언어는 이해는 언어이며 논리적인 언어다. 과학적 언어의 가장 훌륭한 표본은 수식(數式)이다. 모든 과학의 법칙은 수식으로 요약되고 이해된다. 피타고라스의 삼각형을 구하는 공식에서처럼. 수식으로 그것을 명쾌하게 우리을 이해하게 한다. 그러나 숫자는 모양은 있으나 이미지를 보여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시 쓰기가 숫자처럼 모양을 그리는 일은 아니다.

시적 감성이나 표현은 명료해야 한다. 독자들에게 적확(的確)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다. 좋은 시를 쓰기 위해서는 새로움을 추구해야 한다. 과거는 우리에게 익숙하고 편안함을 주지만. 그 반대로 과거로 복귀하려는 퇴행성(退行性)을 가져다준다. 혼자만의 추억이 아니라 독자와 같이 공감하기 위해서는, 나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모두가 공유(共有)할 수 있는 시를 써야 한다.

전제한 것처럼 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창시(創詩)가 어렵지만. 이 시각에도 수많은 시들이 책과 인터넷 공간에서 난무한다. 시다운 시를 발견하기도 쉽지 않다.

 

시 쓰기에서도 산문 쓰기처럼 줄거리(story), 테마(theme), 아이러니(irony),음미하는 즐거움(詩減)이 있어야 좋은 시가 된다.

전제한 시들 중에는 형상화나 이미지화는 만들어졌지만, 메세지가 약하고, 건너뛰기가 머무 심해서, 의미전달이 취약한 시가 있다. 또한 시 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형상화와 이미지즘화가 되지 못한 시도 있다. 작가가 가지고 있는 상상의 세계를 너무 형이상하학적으로, 너무 단조롭게, 너무 부드러운 점들이 한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치면, 좋은 시가 되지 못한다. 작가가 일정한 선을 유지하고, 시를 쓰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작자의 `응축`과 독자의 `음미`가 동질의 시감(詩感)으로 함께 공유 될 때. 상호교감의 공감대가 높게 형성됨으로써 좋은 시가 된다.

 

///시사문단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50 시는 식물과 동물이 말을 걸어 올때 써라... 2017-08-18 0 2347
649 동시로 엮는 어린 시절 색깔들... 2017-08-18 0 2498
648 시는 바람을 그리는 작업이다... 2017-08-17 0 2354
647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는 시간의 증언이며 자아의 확인이다... 2017-08-17 0 1972
646 "풍랑, 아무도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2017-08-17 0 2199
645 나이테야, 나와 놀자... 2017-08-17 0 2051
644 좋은 시는 개성적인 비유와 상징성에서 환기된다... 2017-08-17 0 2223
643 제재를 잘 잡으면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7-08-17 0 2006
642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기 위하여... 2017-08-17 0 2590
641 "한마디 시어때문에 몇달간 고민 고민해야"... 2017-08-17 0 2195
640 시인은 올바른 시어의 선택에 신경써야... 2017-08-17 0 1940
639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08-17 0 2041
638 문학하는 일은 "헛것"에 대한 투자, 태양에 기대를 꽂는 일... 2017-08-17 0 2106
637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08-17 0 2206
636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08-17 0 2332
635 좋은 음악은 시를 쓰는데 령혼의 교감적 밑바탕이 된다... 2017-08-17 0 1985
634 사람들 놀라게 시를 써라... 2017-08-17 0 2100
633 보여주는 시와 말하는 시... 2017-08-17 0 2091
632 소통 불능의 시는 난해한 시가 될수밖에... 2017-08-17 0 1930
631 산이 태양을 삼키다... 2017-08-17 0 2158
630 남자를 돌려주고... 녀자를 돌려다오... 2017-08-17 0 2126
629 문학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08-17 0 2244
628 시와 산문은 다르다... 2017-08-17 0 2484
627 글쓰는 재주는 비정상과 불당연에서 나온다... 2017-08-17 0 2146
626 하이퍼시 창작론 / 최룡관 2017-08-17 0 2147
625 "죽은 개는 짖어댄다"/ 박문희 2017-08-17 0 1971
624 안개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334
623 시를 찾아가는 아홉갈래 길이 없다...? 있다...! 2017-07-27 0 2100
622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275
621 련금된 말과 상상과 이미지화된 말과 만나 만드는 시세계... 2017-07-27 0 2083
6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새야, 나와 놀쟈... 2017-07-25 0 2334
619 5 + 7 + 5 = 17자 = 3행 2017-07-24 0 2368
618 나팔꽃아, 어서 빨리 띠띠따따 나팔 불며 나와 놀쟈... 2017-07-24 0 2284
617 "이 진흙별에서 별빛까지는 얼마만큼 멀까"... 2017-07-24 0 2215
616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2017-07-24 0 2657
615 시인은 자아를 속박하고 있는 억압을 끊임없이 해방시켜야... 2017-07-24 0 2185
614 나무야, 네 나이테 좀 알려주렴... 2017-07-24 0 2434
613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07-24 0 2321
612 여름아, 네가 아무리 더워봐라 내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가... 2017-07-24 0 2700
611 모든 비유는 다 시가 될수는 있다?... 없다!... 2017-07-24 0 2186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