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인은 시를 오랫동안 삭힐줄 알아야...
2017년 04월 20일 20시 28분  조회:2122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를 삭히는 법/이섬



음식을 만드는 과정 중에 ‘삭힌다’는 말이 있다. 김치나 젓갈, 식혜 등을 제맛이 나도록 익히는 것인데 중요한 건 인위적으로 익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적당한 온도와 바람, 햇빛 등 자연적인 요소로 숙성시켜야만 잘 삭혀진다고 하겠다. 전문적인 용어로 말한다면 음식물 속에 있는 효모나 박테리아같은 미생물에 의해서 유기 화학물이 분해·산화·환원하여 유기산이나 탄산가스 등이 생겨서 발효되는 것이다.
잘 익고 맛있게 삭은 고추장만 해도 그렇다. 메주가루와 고추가루, 엿기름가루, 소금물 등을 골고루 섞어 버무린다. 이것을 항아리에 담아 통풍이 잘 되고 양지바른 곳에서 낮에는 햇빛을 쪼이고, 밤에는 뚜껑을 꼭 덮어 물기가 스미지 않게 해서 두 달 이상이 지나야만 제대로 삭혀져서 맛이 나게 된다. 
또 한 가지 예를 든다면, 내가 좋아하는 반찬 중에 가자미 식해라는 것이 있다. 함경도가 고향인 어머니가 해 주시던 음식인데 잘 삭혀진 가자미 식해의 맛은 ‘입에 살살 녹는다’라고밖에 표현할 수가 없다. 
겨우내 먹을 김장을 끝내놓고 나면 꼭 가자미 식해를 담그시는데 노르스름한 색깔이 도는 참가자미를 결대로 썰어 놓고, 고슬고슬하게 지은 좁쌀밥에 채로 썬 무와 엿기름가루를 섞은 다음 고추가루를 듬뿍 넣어 갖은 양념으로 버무린다. 버무린 것을 키작은 항아리에 꼭꼭 눌러 담은 다음 웃소금을 살짝 쳐서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 두었다가 열흘쯤 지난 뒤에 꺼내 먹는다.
요즘 들어서 건강에 신경들을 쓰다보니까 이처럼 발효된 음식이 항암 효과가 있다고 환영을 받기도 하는 듯하다. 폐일언하고, 앞의 예를 든 조리 과정을 보건대 ‘삭힌다’는 건 지적한 것과 같이 열을 가하는 등의 인위적인 방법으로 익힐 수가 없다는 점, 그리고 또 한 가지는 한두 시간이나 하루이틀에 빨리빨리 완성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음식마다 다르지만 오랜 시간이 걸려야만 맛이 숙성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멸치젓갈같은 경우는 몇 달간의 낮과 밤이 지나야만 소금에 버무린 생멸치의 살과 뼈가 녹아서 잘 익은 젓국이 우러나는 것이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겠다. 나의 두번째 시집 『향기나는 소리』를 읽어 본 친구한테서 전화가 왔다. 
“이섬 씨 삭힌다는 말을 좋아하나 봐.” 
그랬었구나! 내가 ‘곰삭은’ 말을 좋아했었구나. 시집을 펼쳐 보았다. ‘상원사 종루에서 나무공이로 두들겨 삭아져서’ ‘우묵한 오지 뚝배기에 노랗게 삭은’ 등등.
이왕 내친 김에 덕담 한 마디 해야겠다. 잘 익어서 맛있게 삭은 시를 쓰고 잘 삭아져서 감칠맛나게 사는 삶, 좋지 않겠는가!

대전을 오가기 위해서 경부고속도로나 중부고속도로를 자주 다닌다. 어느 비 오는 날 오후 중부고속도로 매표소 지하도를 건너가게 되었다. 도로가 16차선이나 되는 꽤 긴 편인 시멘트 동굴같은 델 들어갔는데, 바로 머리 위 길에서 엉엉 우는 소리가 났다.
“아니, 아니! 길이 울다니….” 
비가 오기 때문이었는지, 차가 달리는 소리가 동굴에 울림을 주었기 때문이었는지 모르지만, 머리 위쪽 길에서 엉엉 우는 소리가 났다. 사람 하나 없는 흐릿한 불빛 아래에서 그것은 굉장한 놀라움이고 떨림이었다. 
며칠이 지난 뒤 나는 「길도 울 때가 있더라」라는 제목으로 책상 앞에 앉았다. 대부분 시를 먼저 쓰고 제목을 붙이는 평소의 습관과는 달리 제목이 쉽게 튀어 나왔다. 그때 들었던 울음소리가 무엇 때문에 그렇게 큰 울림으로 내게 닿았을까?

길도 울 때가 있더라

중부 고속도로 매표소 지하도를 건너는데
바로 머리 위 길이 엉엉 우는 소리를 냈어
눈물을 흘리면서 울더라니까①
마음밭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검불들을
쥐어뜯는 그런 울음이었어 검고 진했어
숨도 안 쉬고 맥박도 안 뛰는 줄 알았는데
아픔도 눈물도 없는 줄 알았는데②
심장 안쪽에 피가 돌고 있었어③
끓고 있었어④
살아서 꼬물거리던 작은 생명체들이
길속에 또하나의 길을 만들고 있는 중이야
살아 있음의 생생한 기억들을 불러내고
있는 중이었어
여러 겹으로 포장된 뇌사의 길이
비 오는 날이면 엉엉 소리를 내며
울고 있었어

다 드러내놓고 쓰기로 했다. 내가 겪었던 체험은 내 의식 주변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연결되었다. 내가 알지 못하고 상상할 수 없는 곳에서도 있을 수 있는 갈등과 아픔 그들을 치유하고자 화해의 손을 내밀었다. ①행을 좀 더 강조해야겠고, ②행과 ③행의 연결고리가 너무 느슨했다. 갈등을 화해로 전환하는 데 좀더 탄력있게 조여줄 수 있는 연장을 찾아보기로 했다.
시를 쓰고 고치는 것도 성격대로인가? 서두르지 않았다. 석 달쯤 지난 후 작품들을 정리하면서 다시 그와 마주했다. 그를 한 등급 높여서 예우해 주기로 했다. 의인화시켜서 그에게 더운 피가 돌게 하고, 다시 ④행을 수정하여 맑은 공기를 흠뻑 들어마시게 해 주었다. 잘 삭혀진 것일까? 고른 숨소리가 들리는 듯했다.

길도 울 때가 있더라

중부 고속도로 매표소 지하도를 건너는데
바로 머리 위 길이 엉엉 우는 소리를 냈어
정말이야 눈물을 흘리면서 울더라니까
마음밭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검불들을
쥐어뜯는 그런 울음이었어 검고 진했어
숨도 안 쉬고 맥박도 안 뛰는 줄 알았는데
시멘트에 방수에 겹겹이 포장된 심장 안쪽에
아직도 더운 피가 돌고 있었어
펄펄 끓어서 맑아지게 하고 있었어
살아서 꼬물거리던 작은 생명체들이
길 속에 또 하나의 길을 만들고 있는 중이야
살아 있음의 생생한 기억들을 불러내고
있는 중이었어
여러 겹으로 포장된 뇌사의 길이
비 오는 날이면 엉엉 소리를 내며
울고 있었어

나는 시에서 운율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읽으면서 걸리는 구절이나 어색한 부분은 없는지 몇 번씩 읽어보곤 한다. 또한 탄탄한 집을 지어주고자 한다.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어도 끄떡없는 구조가 탄탄한 집, 거기에 유산균이 풍부한 잘 삭은 맛깔스런 시의 국물까지 곁들인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 (이 섬)


93년 『문학과 의식』 등단. 시집 『누군가 나를 연다』 『향기나는 소리』가 있다. 96년 국민문학상 시 부문 이천만원 고료 당선

------------------------------------------------------------------------------------

 

 

그리움 
―아이헨도르프(1788∼1857)

별들이 아름답게 반짝이고 있다.
나는 홀로 창가에 기대어
고요한 마을
멀리서 들리는 역마차 피리소리를 들었다.
어쩐지 가슴이 타오르듯 뜨거운
이렇게 아름다운 여름밤
저렇게 함께 여행할 사람이라도 있다면 좋겠네.
그런 생각을 슬쩍 하기도 했다.

젊은이 두 사람이
산비탈 길을 걸어가고 있었다.
걸어가면서 노래하는 소리가
고요한 산자락을 따라 멀어져간다.
살랑살랑 속삭이는 숲을 맴돌고
현기증 나는 바윗길을 맴돌아
낭떠러지를 뚝 떨어져서
숲의 어두움 속에 사라지는 샘물을 맴돌고 간다.

그들은 대리석 조각에 대해 노래하고 있었다.
어두컴컴하게 우거진 갈퀴덩굴 속의
바위 있고 잔디밭 있는 정원과
달그림자에 떠오르는 궁전을 노래했다.
아름다운 여름밤
아가씨들이 그 창가에 기대어
아련한 샘물의 속삭임 소리에 귀 기울이며
칠현금 소리 울리기를 기다린다고.

 

 

화자는 한적한 시골마을에 산다. 어느 맑은 여름밤, 창가에 기대어 하늘 가득 반짝이는 별들을 바라보고 있는데 멀리서 ‘역마차 피리소리’가 들려온다. 지금이라면 기차소리일 테다. 그렇잖아도 아름다운 여름밤, ‘어쩐지 가슴이 타오르듯 뜨거운’ 참인데 마음이 싱숭생숭해진다. 이 시간 저 역마차에는 여름여행을 떠난 사람들이 즐겁게 웅성거리겠지. 아, 나도 저 역마차를 타고 어디론가 떠나고 싶구나. 혼자서는 말고, 누군가 사랑하는 이와 함께. 그러면 얼마나 좋을까! 친구와 함께 도보여행을 하던 젊은 날이 그립게 떠오른다. 산비탈도 바윗길도 숲길도 발이 부르트도록 걸었지. 날이 저물도록 노래를 흥얼거리며. 그 노래 가사는 대리석 조각에 대해서였지. 또 잔디밭이 있는 정원의 궁전, 달 밝은 여름밤이면 궁전에 사는 아가씨들이 창가에 기대어 아련한 샘물의 속삭임에 귀 기울인다고도 노래했지. 아, 아가씨들이여, 알지 못할 먼 곳들이여, 내 젊은 날이여!

독일 낭만파 시인 아이헨도르프는 만년을 전원에서 살며 시를 썼단다. 이 시는 그 시절에 쓴 듯한데 대체 몇 살부터 ‘만년’이라는 걸까. 아직 그리움이 펄펄 작동하누나. 시골생활은 때로 외로울 테지만, 그래서도 마음에 그리움이 들어찰 여유가 생길 테다. 생각해 보니 나는 그리움에 가슴 조인 지 오래다. 그리움이 그립다! 200년 전이나 지금이나 청춘남녀를 들썽거리게 하는 여름밤이다. 아름다운 여름 보내시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50 시와 이미지는 쌍둥이 2017-02-19 0 2284
249 "자화상"으로 보는 낯설음의 미학 2017-02-19 0 2777
248 사랑의 서정시에서 사랑을 풀다... 2017-02-18 0 2736
247 "아리랑꽃" 우리의 것과, 타민족 타지역의 것과, 가슴 넓히기... 2017-02-18 0 2551
246 "매돌"과 "한복"을 넘어서 우주를 보여주다... 2017-02-18 0 2851
245 서정시, 낯설게 하기와 보기 2017-02-18 0 4431
244 시인은 언어라는 무기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할수 있다... 2017-02-18 0 2951
24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기괴하다" = "괴기하다" 2017-02-18 0 5184
242 [시문학소사전] - "르네상스"란?... 2017-02-18 0 2654
24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께하다"의 띄여쓰기는?...(우리 중국 조선어문 문법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2017-02-18 0 2821
240 백명의 시민, 백년의 시인을 노래하다... 2017-02-17 0 2890
239 시조 한수는 마흔 다섯자안팎의 언어로 구성돼 있다... 2017-02-17 0 2994
238 시조문학의 지평선을 더 넓히자... 2017-02-16 0 3228
237 저기 폐지수레 끄는 할배할매들이 저희들의 친지입니다... 2017-02-15 0 2877
236 현대시 100년 "애송 동시" 한 달구지 2017-02-15 0 4175
235 "부끄럼"은 완숙된 시에서 우러나온 맛이다... 2017-02-15 0 2965
234 시는 만들어지는것이 아니라 몸을 찢고 태여나는 결과물이다 2017-02-15 0 2576
233 아일랜드 시인 - 사뮈엘 베케트 2017-02-14 0 4037
232 국어 공부 다시 하자, 시인들을 위하여!... 2017-02-14 0 2779
231 미국 신문 편집인, 발행인 - 퓨리처 2017-02-14 0 4167
23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방방곳곳"이냐? "방방곡곡"이냐!... 2017-02-13 0 4399
229 시작에서 좋지 못한 버릇에 길들면 고치기가 힘들다... 2017-02-13 0 3046
228 방방곡곡으로 못가지만 시로써 아무 곳이나 다 갈수 있다... 2017-02-13 0 3289
227 당신의 도시는 시속에 있어요... 친구의 시인이여!... 2017-02-13 0 2904
226 추천합니다, 노벨문학상 관련된 책 50 2017-02-13 0 2847
225 저항시인 윤동주에게 "명예졸업장"을... 2017-02-13 0 2831
224 동요동시 대문을 열려면 "열려라 참깨야"라는 키를 가져야... 2017-02-11 0 3508
223 동시를 낳고싶을 때에는 동시산실에 가 지도를 받으라... 2017-02-11 0 2673
222 동시인이 되고싶을 때에는 그 누구인가의 도움을 받고싶다... 2017-02-11 0 2946
221 상(賞)에 대한 단상 2017-02-11 0 2668
220 젊은 조선족 문학도 여러분들에게... 2017-02-11 1 3436
219 시란 "자기자신이 만든 세계를 깨부시는" 힘든 작업이다... 2017-02-11 0 2720
21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 우리 애들도 발음 좀 정확히... 2017-02-10 0 2980
217 시와 삶과 리듬과 "8복" 등은 모두모두 반복의 련속이다... 2017-02-10 0 2622
216 혁명이 사라진 시대, 혁명을 말하는것이 어색한 시대... 2017-02-09 0 3223
215 세계 47개 언어로 엮어서 만든 "인터내셔널가" 2017-02-09 0 3042
214 시인 백석 한반도근대번역문학사에 한획을 긋다... 2017-02-09 1 3853
213 불후의 명곡 "카츄샤"는 세계만방에 울러 퍼지다... 2017-02-09 0 3885
212 "카츄샤"는 떠나갔어도 "카츄샤"의 노래는 오늘도 불린다... 2017-02-09 0 4323
211 시의 형태는 시가 담겨지는 그릇과 같다... 2017-02-09 0 2706
‹처음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