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당나귀 시인"을 사랑했던 시인들
2017년 04월 19일 01시 12분  조회:3432  추천:0  작성자: 죽림
 
 
릴케 소설 《말테의 수기》에서 청년 말테가 반한 시인은 누구였을까. 당대 최고 명성의 베를렌이 아니었다. 문학의 마천루 파리에 사는 시인도 아니었다. 그는 ‘맑은 공기 속에 울려퍼지는 종소리 같은 시인’이자 ‘자기 집 창문이나 아련히 먼 곳을 비추는 책장의 유리문 이야기를 해 주는 행복한 시인’ 프랑시스 잠이었다. 프랑스 남부 피레네 산맥에서 평생 사랑과 생명을 노래한 전원시인.

그를 좋아한 건 릴케만이 아니었다. 식민치하 조선의 백석과 윤동주도 그를 사랑했다. 둘은 거의 비슷한 시기에 프랑시스 잠과 릴케의 이름을 시에 녹여냈다. 백석은 시 ‘흰 바람벽이 있어’에 ‘초생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그리고 또 프랑시스 잠과 도연명과 라이너 마리아 릴케가 그러하듯이’라고 썼다.

프랑시스 잠 시어에 릴케도 반해 

동주도 ‘별 헤는 밤’에 ‘벌써 애기 어머니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 봅니다’라고 썼다.

이들이 그토록 그리워한 프랑시스 잠은 세기말 프랑스 문학의 퇴폐적인 요소를 씻어낸 자연주의의 대가다. 프랑스 대혁명 후 ‘온갖 것에 대한 불만족’으로 술이나 마약에 탐닉하며 어디로든 도피하려던 세태와는 달랐다. 그는 달아나기보다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을 껴안고 어루만지는 포용과 모성의 시인이었다.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당나귀 이미지도 같은 맥락이다. 그는 온유하고 겸손하며 순박함의 상징인 당나귀를 좋아해서 자주 타고 다녔다. ‘나는 당나귀가 좋아’ ‘당나귀와 함께 천국에 가기 위한 기도’ 같은 시를 썼고 별명도 ‘당나귀 시인’이었다. 백석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미명계’ ‘연자간’ ‘귀농’에 당나귀가 나오고, 동주 시 ‘밤’ ‘곡간’에도 당나귀가 등장한다. 

이들과 프랑시스 잠을 잇는 당나귀는 무엇을 상징하는가. 백석이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고 할 때 당나귀는 연인과 함께 산골마을로 가는 꿈의 매개다. 동주가 ‘밤’에서 한밤중 당나귀에 여물짚을 주는 아버지와 아이에게 젖을 물리는 어머니 모습을 겹친 것도 사랑과 생명과 희망의 메타포다. 

증오사회 치유하는 '삼종의 기도' 

한편으로는 생의 무게를 말없이 견디는 존재가 당나귀다. 프랑시스 잠은 시집 《새벽의 삼종에서 저녁의 삼종까지》에서 ‘장난꾸러기들의 조롱을 받으며 고개를 숙이고 무거운 짐을 진 당나귀처럼 길을 가고 있다’며 ‘당신이 원하시는 때에 당신이 원하시는 곳으로 가겠다’고 했다. 

이들이 살던 시대는 냉엄했다. 프랑시스 잠은 유럽 열강의 식민지 쟁탈기에 태어났다. 백석은 105년 전 청나라가 망한 해에 나서 평생을 변방인으로 살았다. 동주는 100년 전 러시아 혁명기에 나 2차대전이 끝나기 6개월 전 옥사했다. 제국주의와 국수주의가 충돌하던 역사의 격변기에 인간과 삶의 근본을 되새기던 시인들….

 
지금도 다를 게 없다.  ...국세는 급변하고 ...열강의 패권 다툼은 치열하다. 그런데도 싸움에 정신이 없다. 분노와 증오, 경멸과 힐난의 ‘팔매질 사회’를 껴안을 희망의 언어는 어디에 있는가. 비관보다 낙관, 슬픔보다 사랑을 노래한 그 시절 시인들처럼 지금 우리 삶은 얼마나 깊이 있고 성찰적이며 엄숙한가.

고두현 논설위원·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03 강릉출생 민족시인 심연수 육필원고 고향에서 품다... 2017-01-27 0 3681
2002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4) 2017-01-25 0 4315
2001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3) 2017-01-25 0 4982
2000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2) 2017-01-25 0 4337
1999 저항시인, 아동문학가 윤동주 재조명되다... 2017-01-25 0 3871
1998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 2017-01-25 0 4791
1997 [자료] - 윤동주 하숙집 옛터 2017-01-24 0 3720
1996 [쟁명] - 윤동주 리해조명돕기 2017-01-24 0 5889
1995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2)... 2017-01-24 0 4751
1994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 2017-01-24 0 5403
1993 [쟁명] - 불멸의 영원 - "윤동주 현상"... 2017-01-24 0 3672
1992 [쟁명] - 윤동주 한민족 시인... 2017-01-24 0 3977
1991 [쟁명] - 윤동주 조선족 是是非非... 2017-01-24 0 3436
1990 [쟁명] - 윤동주의 조선족 시인설... 2017-01-24 0 3668
1989 정지용과 윤동주 2017-01-22 0 4039
1988 윤동주 탄생 100주년 계기로 "동주"를 재다시 바로알기 2017-01-22 0 3796
1987 현대시의 아버지, 민족과 우리 말 수호자 - 정지용시인 2017-01-22 0 5017
1986 "윤동주 연구가" ㅡ 오무라 마스오 日本人 학자 2017-01-22 0 3799
1985 윤동주 탄생 100주년에 붙여... 2017-01-22 0 4376
1984 암울한 시대에 묵묵히 위대한 문학을 이루어낸 시인 윤동주 2017-01-22 0 4279
1983 그 언제나 늙지 않는 그 이름 "동주" 2017-01-22 0 3724
1982 "윤동주시인은 결코 죽지 않았다..." 2017-01-22 0 4173
1981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01-21 0 3708
1980 2017년, 윤동주 탄생 100주년!... 2017-01-09 0 4005
1979 불러도 대답없을, 헛되나마 다시 부르고싶은 동주! 몽규!... 2017-01-09 0 4698
1978 윤동주 시집 제목을 워낙 "병원"이라 붙일가 했단다... 2017-01-09 0 6144
1977 "서정시 동서고금 속마음 모두 하나" 2017-01-08 0 4281
1976 시인은 시대와 력사의 고통을 노래해야... 2017-01-06 0 4063
1975 대가, 천재, 명인, 그리고 病이 명작 만들다... 2017-01-06 0 4190
1974 리투아니아 음유시인 - 마이로니스 2017-01-02 0 4316
1973 칠레 시인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2017-01-02 0 4508
1972 이탈리아 시인 - 단눈치오 2017-01-02 0 6503
1971 영국 시인 - 에디스 싯웰, o. 싯웰, s. 싯웰 2017-01-01 0 5787
1970 "반디불" 저자 조룡남 원로시인 "반디불나라"로 가다... 2016-12-27 0 4086
1969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6-12-27 0 5689
1968 몽골 시인 - 째.바트바타르 2016-12-26 0 4158
1967 대통령, 총통, 그리고 시인 2016-12-26 0 4789
1966 뿌리는 중국, 줄기는 대만, 가지와 잎은 미국 2016-12-25 1 5385
1965 "중국의 솔제니친" - 北島 시인 2016-12-25 0 4192
1964 중국 가장 전위적인 예술가 - 최건(음유시인) 2016-12-25 0 4818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