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인은 시상(詩想), 시정(詩情), 시흥(詩興)을 깨울줄 알아야...
2017년 04월 02일 22시 07분  조회:2453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박종헌 


1. 소재 찾기 

1) 시의 소재는 무한하다 

시의 소재는 시를 쓰고자 하는 이에게 감동을 준 것 -사물, 현상 등-이라면 어느 것이나 좋다. 

그러나 일반적인(평범한) 감동은 시를 쓰고자 하는 이에게 시상(詩想)이나 시정(詩情), 시흥(詩興)을 일으키지 못한 채, 이내 사라져 버린다. 그러나 이 감동을 준 사물이나 작용, 현상 등에 주의를 기울이고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 거기에서 무한히 잠재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으며, 시정과 시적 흥미를 느끼게 된다. 

즉, 시의 소재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 눈에 보이든 보이지 않든 어느 하나 시의 소재가 되지 않는 것이 없다. 다만 그 많은 소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이며, 어떻게 표현하여 자신의 시 속에 용해시키느냐가 문제다. 시는 바로 소재를 어떤 관점과 의식에서, 어떤 가치관을 드러내기 위해 이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소재를 '발견'하는 노력과 의식에 따라 시는 태어난다고 할 수 있다. 

2) 소재의 발견은 의식이다 

불도저가흙을밀었다········· 

불도저가흙을밀었·········다 

불도저가흙을밀·········었다 

불도저가흙을·········밀었다 

불도저가흙·········을밀었다 

불도저가·········흙을밀었다 

불도저·········가흙을밀었다 

불도·········저가흙을밀었다 

불·········도저가흙을밀었다 

·········불도저가흙을밀었다 


밀린 흙은 밀린 쪽의 흙이 되었다 


<불도저> 장원상 


위의 시에서 우리는 놀라움을 발견할 수 있다. 언뜻 보기에는 장난처럼 보이는 이 행위적인 시는 소재의 발견과 동시에 한 편의 시가 완성되었는지 모른다. 아무튼 첫행부터 마지막행까지 모두 다 읽지 않아도 눈에 보이는 시이다. 

이 시를 시로서 자리매김 하려한 시인의 의지는 마지막 행에 있다. 그러나 군더더기에 지나지 않을 이 끝 행으로 해서 시를 시로서 확인시켜 주고 있다. 시인은 어쩌면 시는 소재의 발견만으로 시가 될 수 없다고 믿었는지 모른다. 그래서 <밀린 흙은 밀린 쪽의 흙이 되었다>는 진술을 통해 힘과 권력, 인간의 세상살기가 다 그렇다는 삶의 진리를 드러내고 만 것이다. 어쩌면 많은 독자가 마지막 행으로 인해 시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을지 모른다. 

그러면 장원상이란 시인이 불도저의 작업을 보고 밀린 흙이 밀린 쪽의 흙이 된다는 진리를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어디에서부터 왔을까? 그것은 바로 '의식(意識)이며, 부동산 업자가 불도저의 작업을 보았을 때 땅 값의 상승과 차익을 떠올리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80년대를 살고 있던 시인은 불도저가 흙을 밀어내고 있는 작업광경을 보고 밀리고 밀리는 힘의 이동을 보았으며, 데모대와 전경들의 투석전을 떠올렸을지 모른다. 


2. 시의 소재와 주제의 관계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가듯이 가는 나그네 

『상아탑』 5호 (1946년 4월호)에 실린 박목월 시 <나그네> 


거적장사 하나 산 뒤 옆비탈을 오른다 

아-따르는 사람도 없이 쓸쓸한 길이다 

산가마귀만 울며 날고 

도적갠가 개 하나 어정어정 따라 간다 

이스라치전이 드나 머루전이 드나 

수리취 땅버들의 하이얀 복이 서러웁다 

주물같이 흐린 날 동풍이 설렌다 

시집 『사슴』(1936년)에 실린 백석 시 <쓸쓸한 길> 

두 시의 소재는 다같이 '길'이다. 그러나 시 속에 흐르는 정서는 완전히 정반대이다. 일제치하의 시대적 배경이 같으면서도 시의 소재를 다루는 시각은 정반대의 흐름에 있다. 또한 같은 길을 소재로 하면서도 주제 의식은 시대의식을 도외시한 낭만적 주제가 되었거나(나그네), 시대의 아픔을 사실적으로 고통스럽게 그려내면서도 향토성을 밑바탕에 깔고 있는 시(쓸쓸한 길)가 대조적이다. 

우리의 삶이란 모든 사물과 직·간접으로 관련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길에 생쥐 한 마리가 등장해도 그것을 무심코 바라보면 그만이지만, 그것에서 의미를 찾으려면 한없이 많은 의미를 찾을 수 있다(구상 <현대시 창작 입문>). 

< 생략> 

쥐는 점점 납작해졌고 
평평해지면서 
쥐는 쥐도 아니고, 한 마리도 아니어서 
그 죽음의 그림자마저 스러져버렸다. 

그저 납작한 것이 한 장 
햇빛을 받으며 젖혀져 있었다. 
오노 도사브로 <쥐> 


위의 시는 누구나 경험했을 길바닥에 깔려 죽은 쥐의 모습을 통해 현대문명을 비판하고 있다. 현대문명의 냉혹함과 비정을 늘 염두에 두던 시인의 눈에 차 바퀴에 깔려 납작해진 종이장 같은 쥐의 시체는 더러움 이전에 현대문명의 희생자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는 시인의 인식 세계가 어떠하냐에 따라 소재를 달리 해석해내고 있음을 보여 준다. 평범한 사람이면 그냥 지나칠 수 있는 쥐의 흔적을 보면서 무심할 수 없던 건 시인의 의식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

 

 

바람
―신경림(1935년∼ )

산기슭을 돌아서 언 강을 건너서 기름집을 들러 떡볶이집을 들러 처녀애들 맨살의 종아리에 감겼다가 만화방도 기웃대고 비디오방도 들여다보고

큰길을 지나서 장골목에 들어서서 봄나물 두어 무더기 좌판 차린 할머니 스웨터를 들추고 마른 젖가슴을 간질이고 흙먼지를 날리고 종잇조각을 날리고

가로수에 매달려 광고판에 달라붙어 쓸쓸한 소리로 축축한 소리로 울면서 얼어붙은 거리를 녹이고 팍팍하게 메마른 말들을 적시고



‘시인 신경림’ 하면 시 ‘농무(農舞)’를 떠올리는 독자가 많을 테다. 특히 ‘민족문학권’ 후배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농무’를 비롯한, 기층 서민들의 한과 애환을 ‘우리끼리 퍼질러 앉으면 삶은 편하고/더러는 훈훈하기도 해서’(시 ‘진도 아리랑’에서)의 정조로 꽹꽹 울리는 농악 리듬이나 남도민요 가락에 담은 선생의 시편들은 ‘원한도 그리움이 되던가?’(시 ‘연어’에서), 그 삶을 지긋지긋하게 잘 아는 이들에게는 물론이고 모르는 이들에게도 가슴 시큰하거나 아련한 향수를 불러일으켰다.
 

 

바람은 안 가는 데 없겠지만 시인의 바람은 나지막하고 허름하고 흔한 곳, 이름 없는 곳으로 간다. 시인의 마음 가는 곳 따라, 돌아서, 건너서, 들러, 감겼다가, 기웃대고, 들여다보고, 지나서, 들어서서, 들추고, 간질이고, 날리고…. 종결 어미 없는 동사(動詞)들로 이어지는 바람의 행로에 재개발이 되려다 만 우리 동네같이 친근한 풍경이 펼쳐진다. 오래도록 비어 있는 점포 유리문에는 지금도 ‘비디오’라는 글자가 적혀 있지. 윤기 없이 까칠한 거리를 ‘흙먼지를 날리고 종잇조각을 날리고’ 달리는 바람. 그러나 봄바람이다. ‘봄나물 두어 무더기 좌판 차린 할머니 스웨터 들추고 마른 젖가슴을 간질이는.’

삶의 모든 습기 다 거둬가 먼지처럼 가벼이 말라가게 하는 바람, 언젠가부터 선생 시에서 종종 만나는 바람이다. 허무가, 따뜻한 허무가 깃든 바람…. 그러나 인생무상이거나 말거나 삶은 무상하지 않다고, 선생의 시는 그침 없이 거침없이 ‘쓸쓸한 소리로 축축한 소리로’ 우는 바람처럼 ‘팍팍하게 메마른’ 세상을 적신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0 시인은 작품속에 삶의 몸부림과 고통을 버무려야 한다... 2017-04-03 0 2746
369 당신은 왜 시인의 험난한 길을 걸어가려 하십니까?... 2017-04-03 0 2398
368 시는 누구나 쓸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것은 아니다... 2017-04-03 0 2564
367 시인은 시상(詩想), 시정(詩情), 시흥(詩興)을 깨울줄 알아야... 2017-04-02 0 2453
366 시인은 시상이라는 "낚시 찌"에 전신전령을 기울려야... 2017-04-02 0 2878
365 시인은 詩나무그루터에 오줌을 싸고 있었다... 2017-04-02 0 2484
364 형이상시에서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폭력조합시켜라... 2017-03-29 0 3003
363 형이상시는 불협화음속에서 기상천외의 조화로운 분위기를... 2017-03-29 0 2794
362 시인은 언어를 잘 다룰줄 아는 고급동물이다... 2017-03-29 0 2597
361 형이상시는 즉물시와 사물시를 포괄한 제3류형의 시이다???... 2017-03-29 0 2883
360 형이상시에서 객관적 상관물의 발견으로 통합된 감수성을... 2017-03-29 0 2439
359 형이상詩는 21세기의 시운동의 모델이라고???... 2017-03-29 0 2619
358 시인은 자연과 타인의 생을 기웃거리는 촉매자이다... 2017-03-29 0 2735
357 시에서 아방가르드 정신을 꿈꾸는 자는 늘 고독하다... 2017-03-29 0 2620
356 [시문학소사전] - 시쓰기에서 알아야 할 용어들 2017-03-29 0 3122
355 현대시는 탈관념의 꿈꾸기이며 언어적 해체인것이다... 2017-03-29 0 2685
354 후기산업혁명사회의 현대인들의 병을 시로 치료하라... 2017-03-29 0 2549
353 시란 희노애락을 부르짖는 소리이다... 2017-03-29 0 2950
352 "전통시인"이나 "실험시인"이나 독자를 외면하면 안된다... 2017-03-29 0 2463
351 현대시쓰기 전 련상단어 100개 쓰기부터 하라... 2017-03-29 0 3196
350 현대시의 실험적 정신은 계속 진행형이다... 2017-03-29 0 2469
349 현대시의 흐름을 알고 시작(詩作)을 시작(始作)하자... 2017-03-29 0 2401
348 현대시는 "단절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2017-03-29 0 2617
347 시는 추상적인 표현과 원쑤지간이다... 2017-03-29 0 2928
346 시심의 모든 밑바탕은 지, 정, 의를 근본으로 한다... 2017-03-29 0 2332
345 시가 "디지털혁명시대"와 맞다들다... 2017-03-27 0 2560
344 프랑스 시인 - 폴 엘뤼다르 2017-03-27 0 3485
343 시어는 삶과 한 덩어리가 된, 육화적인 언어로 련금술해야... 2017-03-27 0 2501
342 시는 한점의 그늘 없이 화창해야 한다... 2017-03-27 0 2638
341 시인아, 어쨌든 있을 때 잘해야지...그리고...상투는 없다... 2017-03-24 0 2207
340 시인의 "적막한 키스"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할것인가... 2017-03-23 0 2533
339 시와 련관성이 없는 "무의미시"의 낱말로 제목화할수도 있어... 2017-03-22 0 2601
338 이순신 장군 시 모음 2017-03-21 0 3203
337 저 밑에는 날개도 없는것들이 많단다... 2017-03-21 0 2697
336 류시화 시 모음 2017-03-21 0 6212
335 새가 나무가지를 못떠남은?!ㅡ 2017-03-21 0 2708
334 <새(鳥)> 시 모음 2017-03-21 0 2897
333 시제는 그 시의 얼굴로서 그작품의 질과 수준을 예감할수도... 2017-03-21 0 2978
332 시의 제목을 첫행이나 끝행으로 할수도 있다... 2017-03-20 0 2653
331 시의 제목에 의하여 시의 탄력이 생긴다... 2017-03-18 0 2736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