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
2017년 02월 21일 23시 52분  조회:2844  추천:0  작성자: 죽림
중국조선어규범 ―

명사ㆍ수사ㆍ대명사와 관련한 띄여쓰기
기사 2012-03-10 












조선말맞춤법은 단어에서 뜻을 가지는 매개 부분을 언제나 같게 쓰는 형태주의원칙을 기본으로 한다. 

1. 자모의 차례와 그 이름

1) 자음자(19개) 

ㄱ(기윽)  ㄴ(니은)  ㄷ(디읃)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읏)  ㅇ(이응)  ㅈ(지읒)  ㅊ(ㅊ읓)  ㅋ(키읔)  ㅌ(ㅌ읕)  ㅍ(피읖)  ㅎ(히읗)  ㄲ(된기윽)  ㄸ(된디읃)  ㅃ(된비읍)  ㅆ(된시읏)  ㅉ(된지읒)

자음자의 이름은 각각 다음과 같이 사용할수도 있다.

(그, 느, 드, 르, 므, 브, 스, 으, 즈, 츠, 크, 트, 프, 흐, 끄, 뜨, 쁘, 쓰, 쯔)

2) 모음자(21개)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ㅐ(애)  ㅒ(얘)  ㅔ(에)  ㅖ(예)  ㅚ(외)  ㅟ(위)  ㅢ(의)  ㅘ(와)  ㅝ(워)  ㅙ(왜)  ㅞ(웨)

2. 명사ㆍ수사ㆍ대명사와 관련한 띄여쓰기 

명사에 토가 붙는 경우에는 뒤의 단어와 띄여쓴다. 

례: 정원의 화초는 사람에 의해 자라고 학문은 자기의 노력에 의해 닦아진다. 

하나로 굳어진 단어는 토가 끼여도 붙여쓴다. 

례: 곰의열, 귀에고리…등.

명사들이 토없이 직접 어울리는 경우에는 의미상으로나 발음상으로 하나의 덩이를 이루는 것을 단위로 하여 띄여쓴다. (수사가 섞이여도 단일한 사물의 명칭으로 되는것은 여기에 준한다.)

3. 붙여쓰는 경우

1) 개혁개방, 인민대중, 경제건설, 사회주의나라, 오늘밤, 금년봄, 5개년계획, 100메터선수, 력사적사명, 정보화시대, 흐름식생산, 학생용가방, 가소성물질, 필승불패, 일심전력, 이신작칙, 국제국내정세, 반제반봉건투징, 아침저녁식사…등.

2) 중국공산당,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연변조선족자치주인민정부, 할빈시조선족제2중학교, 심양시공안국, 북경2.7공장, 남경장강대교, 심수경제특별구, 김철호, 박철, 독고길룡…등.

3) 중국인민, 중국정부, 중국청년, 조선손님, 일본제품, 연변특산, 흑룡강일대…등.

4) 장xx동지, 지xx동무, 김xx주임, 권xx국장, 박xx선생, 리xx아바이, 전xx아주머니…등.

4. 띄여쓰는 경우

1) 당조직, 국가기구, 사회단체, 행정구역 등의 명칭은 전체와 부분(또는 급별)의 사이를 띄여쓴다.

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중공중앙)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중공중앙 정치국 상무위원회),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아시아주사, 중국공산당 료녕성위원회 선전부(중공료녕성위 선전부), 연변대학 사범학원 조선어문학부 조선어학과, 연변대학 교무처(연대 교무처), 연길시 하남가두 신원거주민위원회 18조 등.

2) 회의명칭(전람회, 운동회 명칭도 포함함)은 회의의 주최단위를 나타내는 부분, 순차를 나타내는 부분, 범위를 나타내는 부분,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을 각각 띄여쓴다.

례: 중국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

중국공산당 제16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원회의(당중앙 제16기 제1차 전원회의), 연길시 각족각계인민 중화인민공화국 창건 50돐 경축대회, 제1회 전국조선족축구대회 등.

3) 기관이나 부서의 이름과 직무이름(또는 직업, 신분, 칭호), 사람이름 사이는 각각 띄여쓴다.

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조xx(중공중앙위원 조xx), 선전부 부장 김xx(선전부장 김xx), 교육국 국장 장xx(교육국장 장xx), 정치부 주임 리xx, 중국공산당 당원 리xx(공산당 당원 리xx, 공산당원 리xx), 연변대학 교수 리xx(연대 교수 리xx) 등.

4) 국가나 정당, 사회단체 등의 정식이름뒤에 오는 보통명사는 띄여쓴다. 

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성명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각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귀빈, 중화전국체육총회 성명 등.

5) 동격어나 이에 준하는 말은 띄여쓴다.

례: 수도 북경, 텔레비죤드라마 “사랑이 뭐길래”, 잡지<연변문학>, 1년 열두달, 여름 삼복때, 동서남북 사방…등.

6) 반점(,)을 찍어서 렬거되거나 토 “-과”, “-와 ”, 접속부사 “및” 등에 의하여 렬거된 명사의 앞뒤에 공통적으로 어울리는 단어는 띄여쓴다. 

례:  학교 교원과 학생, 당과 인민 앞에, 현대적 공업과 농업, 20세기 초엽과 중엽. 아시아, 아프리카 및 라틴아메리카 인민들 등.

7) 장소적의미를 나타내는 고유명사뒤에 오는 명칭은 띄여쓴다.

례: 할빈시 흑룡강신문사, 연길시 연변인민출판사, 중국 북경 등.

8) 관형사적으로 쓰이는 “각급, 각종, 각항, 력대, 매개, 소수, 전체, 해당, 일부, 일체, 각계각층…” 등 명사는 뒤의 명사와 띄여쓴다.

례: 각급, 당조직, 각종 활동, 각항 정책, 매개 기업소들, 력대 통치배들, 소수 농민들, 전체 로동자들, 해당 기관, 일부 학교, 일체 문제, 각계각층 대표…등.

9) 앞의 명사를 다시 받는다고 할수 있는 명사 “자신, 자체”는 앞의 단어와 띄여쓴다. 

례: 학생 자신이 만든것이다. 지구 자체도 돈다.

10) 사람의 이름뒤에 오는 “작곡, 작사, 안무, 각색, 목각, 시…” 등 명사는 띄여쓴다.

례: 김xx작곡, 리xx작사, 문xx안무, 박xx각색, 최xx목각, 안xx시…등.

11) 학술용어는 원칙적으로 붙여쓴다.

례: 염알칼리성토양, 고속도전자계산기, 거센소리, 꿩의바람꽃, 1원2차방정식, 직각2등변삼각형…등.

12) 불완전명사는 앞의 단어에 붙여쓴다.

례: 것-아는것이 힘이다, 나위-더 말할나위가 없다, 따위-사과배따위의 과실.(김, 나름, 녘, 둥, 대로, 데, 리, 만, 무렵, 바, 번, 법, 분, 사, 상 수, 시, 자, 적, 줄, 즈음, 지, 짓, 척, 채, 체, 터, 턱, 폭, 따름, 때문, 뿐, 쪽, 양, 이…등)

다음과 같은 한자어도 앞의 단어에 붙여쓴다.

례: 상-사상상, 정치상…, 중-회의중, 학습중…, 부-3일부<연변일보>…등. (내, 외, 전, 후, 초, 말, 차, 발, 행, 경, 래, 착, 당, 별, 급, 측, 분, 여….)

13) ”등, 대, 겸”은 띄여쓴다.

례: 극, 음악, 무용 등 각종 예술형식, 복무원 겸 선전원(“ㄹ겸-볼겸, 할겸….” 은 붙여쓴다), 2중 대 3중 축구시합.(”2대1”은 붙여쓴다.)

14) 시간이나 공간의 뜻을 나타내는 “앞, 뒤, 안, 밖, 우, 아래, 속, 가운데, 밑, 옆, 곁, 끝, 곳, 사이, 동안, 다음, 때, 날, 달, 해, 이래, 초엽, 말엽, 초순, 중순, 동쪽…,” 등 명사들이 토가 붙지 않은 단어뒤에 올 경우에는 붙여쓴다. 

례: 앞-문화궁전앞ㆍ뒤-대렬뒤, 그뒤에ㆍ사이-둘사이, 그사이, 어느사이ㆍ동안-그동안, 한동안ㆍ날-이날,그날, 어느날ㆍ때-어느때, 여느때 등.

15) 일부 경우에는 뜻의 리해에 따라 띄여쓰기를 할수 있다.

ㄱ 단어의 맞물림관계에 따라.

례: 당의 민족정책 관철, 우리 나라 경제발전, 새 농촌 건설, 학교와 집 사이에 공장이 있다.

ㄴ 토없이 결합된 단위가 너무 길 때 뜻단위에 따라 띄여쓸수 있다.

례: 중증 급성 호흡기증후군, 세가지 대표사상 선전활동 권기모임 참가자들.

16) 수사는 아라비아수자로 적는것을 원칙으로 하되 조선문자로 단위를 달아줄 경우거나 순 조선문자로 적을 경우에는 “만, 억, 조”, 등의 단위에서 띄여쓴다.

례: 9억8,765만 4,321 등.

구억 팔천칠백륙십오만 사천삼백스물하나

17) 수사가 완전명사와 어울리는 경우에는 띄여쓴다.

례: 두 사람, 일곱 학생, 다섯 나라, 13억 중국인민…등.

70 평생, 30 나이, 20명 정도, 30도 이상, 100% 담보…등.

그러나 단위명사와 어울리는 경우에는 붙여쓴다.

례: 한개, 1개, 세마리, 3마리, 열장, 10장, 일년, 1년, 1949년 10월 1일, 11시 23분 5초, 
95퍼센트(95%) 등.

완전명사가운데서도 단위명사적으로 쓰이는 “그릇, 병, 통, 뽐, 자, 책…”, 등도 수사에 붙여쓴다.

례: 열그릇, 열병, 두통, 세뽐, 다섯자, 일곱책…등.

18) “손, 발, 귀, 눈, 입, 어깨, 몸….” 등 명사도 수사에 붙여쓴다.

례: 한손에, 두발로, 두눈으로, 한입으로, 두어깨, 한몸으로, 열손가락…등.

대명사는 아래 단어와 원칙적으로 띄여쓴다.

례: 우리 나라, 내 나라, 이 책, 그 사람, 누구 모자, 여기 있다. 

그러나 명사 또는 부사와 어울려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것은 붙여쓴다.

례: 제노릇, 제몸, 내남, 제아무리…등.

뜻이 같거나 비슷한 명사, 수사, 대명사가 겹쳐쓰이여 강조 혹은 여럿의 뜻을 나타내는것은 붙여쓴다.

례: 집집, 골목골목, 고개고개, 조목조목, 누구누구, 무엇무엇, 이것저것, 이집저집, 한마음한뜻…등.

///연변통보 2012-03-10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10 윤동주는 왜... 2019-09-17 0 3062
1409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09-16 0 3286
1408 [시공부] - ... 2019-08-04 0 2776
1407 [시공부] - ... 2019-08-04 0 2946
1406 시는 무용이다... 2019-07-09 0 3007
1405 [그것이 알고싶다] - 백서 "도덕경" 2019-06-29 0 4172
1404 [문단소식] - 림금산시인 "달을 만나고" 시집 낳다 ... 2019-06-16 0 2988
1403 100년 뒤... 뒤...뒤... 2019-05-26 0 3447
1402 [평, 評, 평, 評] - 작품과 상과 인간과 그리고... 2019-05-13 0 3417
1401 윤동주를 알리는 골수팬 일본인- 야스코 2019-04-23 0 3541
1400 시를 암송하면 삶이 더 즐겁다... 2019-04-23 0 3253
1399 "또 다른 고향"을 찾아가는 미완의 려정... 2019-04-23 0 3809
1398 인도주의는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2019-03-23 0 3586
1397 윤동주, 그는 절대로 "문약한" 학생이 아니었다... 2019-03-23 0 3567
1396 시인은 떠났어도 희망은 "낡지 않"았다... 2019-03-07 0 3808
1395 [그것이 알고싶다] - "옥중가"와 100여년... 2019-03-02 0 3406
1394 "한글,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2019-02-16 0 3796
1393 [동네방네] - "윤동주", 실시간 알리기... 2019-02-16 0 3702
1392 [명작 쟁명] -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2019-02-15 0 4888
1391 "풀꽃" 2019-02-06 0 3583
1390 윤동주 시 또 중국어로 번역되다... 2019-01-27 0 4609
1389 윤동주와 "아리랑" 2019-01-27 0 3876
1388 윤동주와 명동, 룡정, 평양, 서울, 도쿄, 교토... 2019-01-24 0 3606
1387 윤동주 시를 지켜준것은 "우정"이였다... 2019-01-24 1 3374
1386 윤동주 유고 시집과 시인 정지용 "서문",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4 0 3777
1385 윤동주 시집과 여러 사람들... 2019-01-24 0 3756
1384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01-24 0 4334
1383 정지용과 윤동주 2019-01-24 0 3814
1382 윤동주는 시를 들고 일제와 싸웠다... 2019-01-22 0 3818
1381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3 2019-01-22 0 3360
1380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2 2019-01-22 0 3983
1379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1 2019-01-22 0 3177
1378 "서시" 일본어 번역본에 오류가 있다??? 2019-01-22 1 4803
1377 서시(윤동주)와 서시 영어 번역본 2019-01-22 0 5840
1376 [매일(끝)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2019-01-22 0 4084
1375 윤동주와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0 0 3941
1374 윤동주와 정지용 2019-01-20 0 3557
1373 윤동주, 시 한수가 씌여지기까지... 2019-01-20 0 3252
1372 {자료} - 윤동주 시의 무궁무진한 힘과 그 가치... 2019-01-20 0 3527
1371 연세대의 건물들은 기억하고 있다... 2019-01-20 0 4172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