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상(賞)에 대한 단상
2017년 02월 11일 17시 44분  조회:2673  추천:0  작성자: 죽림

 

 

상(賞)에 대한 단상

                       이시환(시인/문학평론가)

 

 

상이란 선행(善行) 능력(能力) 공적(功績) 등을 평가(評價) 인정(認定)하고, 칭찬하여 널리 알림으로써 다중(多衆)에게 장려할 목적에서 증서(證書:상장 상패) 물품(物品→賞品) 금전(金錢→賞金) 자격[직책(職責)직위(職位)] 등을 주는 일이다. 따라서 상에는 주는 쪽[授與者]과 받는 쪽[受賞者]과 지켜보는 쪽[觀衆] 등 3자가 전제된다. 상을 주는 쪽과 받는 쪽은 공히 국가(國家)기구(機構)집단(集團)단체(團體)개인(個人) 등이 될 수 있으며, 지켜보는 쪽은 이들 조직(組織)의 구성원들이 된다.

 

상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구체적인 평가 대상에 대하여 평가하여 그 최종결과를 내놓는 과정의 절차(節次)와 방법(方法)에 있다. 바로 이 부분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대개는 전문가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은 그들이 내놓는 결과에 대해서 관중들은 무조건 신뢰하는 경향이 있으나[바로 이 점 때문에 상업주의와의 결탁과 심사과정의 속임수까지 자행된다]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다. 따라서 수상자를 결정하는 절차와 방법은 의당 공정성(公正性)과 합리성(合理性)과 객관성(客觀性) 위에서 투명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실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 그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겉으로는 합리적인 절차를 밟는 듯하고 공정한 심사를 하는 듯 보이지만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속은 고사하고 겉보기에서조차 기본적인 원칙과 절차가 무시되는 경우도 없지는 않다.

 

내가 문학을 하는 사람이므로 우리 문단사회에서 흔히 주고받는 ‘문학상’을 가지고 설명해 보겠다.

 

보통은, 상의 객관적 신뢰도를 높여 그 권위를 인정받으려는 전제하에서 ‘~문학상위원회’를 구성하고, 그 위원회에서 독자적으로 홍보하고 수상후보자(작)들을 직접 추천하거나 받고, 또 심사심의하여 최종 결정하는 방식을 취한다. 또 어떤 경우에는, 그 위원회에서 후보자(작) ‘추천위원’을 위촉임명하고, 그들로부터 정해진 ‘서식(書式)’에 의해서 수상자 후보자(작)들을 추천받는다. 그런 후에 별도의 ‘심사위원’을 위촉임명하여 심사심의하기도 한다. 그러니까, 추천 및 삼사위원을 분리해서 둔다는 뜻이다. 또 다른 경우에는, 상을 주는 쪽에서 수상자(작)를 내정해 놓고 자기 입맛에 맞는 사람들을 심사위원이라 하여 소집한 후에 설명하고 그들로 하여금 심사평이나 적당히 쓰게 하고 그 이름이나 빌려서 올리기도 한다.

 

결국, 어떠한 방식을 취하든, 심사위원들은 비교적 전문가임에는 틀림없지만, 수상자(작)를 전혀 알지도 못하거나 읽어보지도 않은 채 결정하는 경우가 많은 것만은 사실이다. 특히, 수상후보자(작)들을 압축하고 압축하여서 최종 1인으로 결정하는 과정에 심사위원 간 이견(異見)이 있을 때에는 심사위원 모두가 후보작들을 다 읽어보고 재심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그런 경우는 거의 들어보지도 못했고 해보지도 못했다.

 

그렇다면, 추천 및 심사위원을 두고 수상자(작)를 공정하게 심사심의한다고 할 때에 근원적인 한계는 없는가? 물론, 있다. 추천위원들의 출판된 문학도서에 대한 정보력과 독서량과 이해도[분석력], 작품의 가치나 작가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에 결정적 구실을 하는 서식의 신뢰도, 심사위원의 문학적 안목과 심사 과정의 정성[양심], 수여자 내지는 위원회 위원장의 개인적인 의중 등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어쨌든, 문학상은 훌륭한 작품을 창작한 작가를 발굴하여 널리 알림으로써 작가에게는 창작의욕을 북돋아주고 명예를 안겨 주는, 좋은 쪽의 기능도 있지만 관중[독자]들에게는 작가나 작품에 대한 편견을 갖게 하는 좋지 못한 기능도 있다. 그래서 ‘신중히’ 할 필요가 있다. 상이란 주는 쪽과 받는 쪽 공히 영광스러워야 하기 때문이다.

 

흔히, 상의 객관적 신뢰도와 권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금을 높이고,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진 심사위원들을 동원하려는 쪽으로 노력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그보다는 후보자(작) 추천기준과 범위 및 이유, 심사방법과 과정, 추천 및 심사위원들의 명단, 수상자(작) 최종 결정 사유 등이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하고, 동시에 추천 및 심사 과정에 동원된 사람들을 제외한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이 덧붙여진다면 더욱 좋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학잡지에 수상자(작)와 그 작가 작품에 대한 문학평론가들의 분석적인 평문들이 특집으로 꾸며질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이 그 작가 작품세계가 있는 그대로 조명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의 진정한 권위와 의미가 부여될 줄로 믿는다.

 

따라서 상의 겉치레만 요란스럽게 치장할 것이 아니라 그 속을 맑고 투명하게 드러내는 쪽으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바로 그 노력이야말로 문학적 진실에 가까워지게 할 뿐 아니라 그에 부합되는 합리적인 절차라고 나는 생각한다.

 

-2015. 12. 23.

 

*나는 2015년 12월에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주최 제35회 ‘올해의 최우수 예술평론가상’을 장석용 동 협의회 회장과 이유식 원로문학평론가, 심종숙 문학평론가 등의 심사위원의 추천으로 받게 되었음을 알고 있다. 상장의 내용으로 보아 내가 쓴 최근의 특정 예술평론에 제한하여 준 것이 아니라 그간의 평론활동에 따른 전반적인 실적에 대해 준 것으로 보인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90 시는 산문적 운문(韻文)으로서 문학의 가장 핵심 장르이다... 2017-05-22 0 2542
489 윤동주론 / 김호웅 2017-05-20 0 2801
488 [그것이 알고싶다]-윤동주 비석에 새겨진 비문을 알아보다... 2017-05-20 0 3014
487 시인 윤동주의 녀동생 윤혜원녀사는?... 2017-05-20 0 2909
486 [그것이 알고싶다] - 윤동주 사진 살펴보다... 2017-05-20 0 2794
485 시인은 일상적 시각으로부터 탈피해야... 2017-05-20 0 2193
484 "어머니,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2017-05-20 0 2587
483 시작할 때 남의 글을 흉내내지 말아야... 2017-05-20 0 2460
482 [작문써클선생님들께]-(자료) 중고생들과 문학 대화하고싶다... 2017-05-20 0 4003
481 시는 극점에 달한 미적 언어이다... 2017-05-19 0 2813
480 훌륭한 시작품은 부단한 습작에서 얻은 시행착오의 결과물... 2017-05-17 0 2584
479 시를 통하여 시인의 마음을 읽어내는 지름길을 찾아라... 2017-05-17 0 2425
478 [쉼터] - 우리 말의 가치와 그리고 그 반성... 2017-05-15 0 2527
477 시어란 일상적 언어가 시작품의 재료로 선택될 때 일컫는 말... 2017-05-15 0 2987
476 시의 목표는 언어의 순수성과 일관성이다... 2017-05-13 0 3075
475 시는 찰나, 비극적 불확정적인 하나의 세계이다... 2017-05-13 0 3141
474 시인은 자화자찬에 빠지지 말아야... 2017-05-12 0 2752
473 "윤동주앓이" 2017-05-11 0 2750
472 시인의 특권은 감정의 표현을 누리는것이다... 2017-05-11 0 2722
471 시인은 습작에 습작을 거듭하는 아픈 작업을 련속 걸쳐야... 2017-05-11 1 2784
470 시인은 그 어떠한 령혼을 흔들수 있는 시를 써야... 2017-05-11 1 2683
469 시는 쉽고 군더더기 없는 시어로 다듬어야... 2017-05-11 1 2493
46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마음을 다스리는 글귀들... 2017-05-06 0 3965
46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파스칼 명언... 2017-05-06 0 3754
466 시인은 시의 구절구절 섬세한 언어적 쾌감을 줄줄 알아야... 2017-05-06 1 2593
465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7) 2017-05-06 0 2581
464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6) 2017-05-06 0 2530
463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5) 2017-05-06 0 3266
462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4) 2017-05-06 0 2844
461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3) 2017-05-05 0 2219
460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2) 2017-05-05 0 2867
459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1) 2017-05-05 0 2675
458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0) 2017-05-05 0 2653
457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9) 2017-05-05 0 2771
456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8) 2017-05-05 0 2552
455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7) 2017-05-05 0 2577
454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6) 2017-05-05 0 2532
453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5) 2017-05-05 0 2706
452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4) 2017-05-05 0 3519
451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3) 2017-05-05 0 2704
‹처음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