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진정한 "시혁명"은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안받침되여야...
2016년 11월 15일 00시 23분  조회:3414  추천:0  작성자: 죽림
우리에게도 사조가 받침된 시조가 올가?
2015년 02월 01일 00시 16분                           /작성자: 허동식
    중세기 동방한자문화권의 성세를 대당제국문화번영이라고 말하기를 좋아하는 중국인들이 많아졌다.그러면서 애들에게 무조건 <당시300수>를 공부시키고 암기시키고… 
   <당시300수>는 대당문화의 집약반영이라고 말할수도 있겠다. 그런데 <당시300수>를 죽게죽게 공부한 어느 애가 늘여놓는 말이 <흥,당시300수? 아무것도 아니던데, 그저 궁녀들 궁중생활이 여차여차하게 고독하고 괴롭고, 변강을 지키는 군인들 어떻게 어떻게 힘들고, 친구들이 상봉하고 또 리별하고, 그런 3가지를 내놓고는 아무것도 아니던데!>
    당시가 중문특세를 이용하여 이미지 시작들을 엄청난 고봉에 끌어올린것은 의심할바가 없지만 우에 곁들인 애의 말처럼 <아무것도 아니던데>라는 평을 받을수도 있는 일이다. 적어도 현대인의 시각으로 살펴보면, 당시의 내용이 전반적으로는 어딘가는 빈약하다는 판단이 될수도 있겠다.
   대당문화가 대단하기는 하였지만 필경은 사상문화령역에서 문예부흥과 같은 위대한 업적을 만들지는 못했다.때문에 당시문화는 세계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자리가 크게 오돌차지는 못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현재 우리 시단에서 소위 시혁명을 형식적인 면에서만 지꿎게 추구하는 분들이 계시는듯도 하다.그들이 추구하는 시조(詩潮)는 어딘가 빈약하다.
   진정한 시조는 거대한 사조가 안받침된다.다만 시형식과 관련된 시혁명이라 할지라도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없이는 거품으로 흘러버릴수가 있겠다.
  시가 아름다움을 창출하는 예술이라고는 하지만 시는 어디까지나 인간의 시다. 시는 어디까지나 생각할줄을 아는 인간의 시다. 우리는 거대한 사조의 변두리에도 닿지못하고 있고,지어는 아직도 습관된 사유속에 갇혀 있을수도 있으므로 우리의 시조가 행보가 이처럼 힘든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 <<네오아방가르드>>--~(아이고나 머리가 뗑...) 2015-02-18 0 4535
42 <<최첨단 현대시론(?)>>과 <<아방가르드 시론>> 2015-02-18 0 4252
41 열린 시 운동과 公演詩 2015-02-18 0 3802
40 하이퍼텍스트 시의 지향 2015-02-18 1 4529
39 詩作과 자작시 해설 2015-02-18 0 4718
38 디지털시의 현장성 2015-02-18 0 4783
37 문제 시집, 시와 현대시 동향 및 그 新모색 2015-02-18 0 4362
36 디지털시대와 글쓰기 방법론 2015-02-18 0 4773
35 하이퍼시와 디지털시대 2015-02-18 0 4093
34 詩와 기호(記號) 2015-02-18 1 4441
33 하이퍼시와 젊은 시 운동 2015-02-18 0 4357
32 하이퍼시와 포스트 구조주의 2015-02-18 0 4171
31 하이퍼시와 형이상시 2015-02-18 0 4399
30 하이퍼시와 무의미시 2015-02-18 0 4557
29 문덕수와 심상운 2015-02-18 0 4618
28 하이퍼시는 單線에서 多線에로... 2015-02-18 0 5043
27 하이퍼시에서 상상, 공상 2015-02-18 0 4309
26 하이퍼시와 탈관념과 상상 이미지 2015-02-18 0 4098
25 모더니즘시 고찰 2015-02-18 0 4559
24 시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 2015-02-18 0 4455
23 하이퍼로 가는 문 2015-02-18 0 4396
22 변화하는 詩 2015-02-18 0 4675
21 김파와 김몽 2015-02-17 0 4397
20 하이퍼시와 심상운 2015-02-17 2 5038
19 하이퍼시의 해명 2015-02-17 0 4872
18 중국 시인 시선 2015-02-16 1 4541
17 "시인이란 명칭은 줄곧 있었다... " --- 시인 牛漢 2015-02-16 0 5001
16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2-16 0 5047
15 시작법 1 2015-02-16 0 4725
14 현대시 흐름과 대표시 감상 2015-02-14 0 5292
13 1960년대 녀성시 고찰 2015-02-13 0 5043
12 마광수 시평 2015-02-12 0 4502
11 디지털 시대와 시의 전망 2015-02-11 0 5202
10 90년대 이후 시흐름... 2015-02-11 0 5367
9 재확인하는 시집 2015-02-11 0 5389
8 詩壇과 그 뒷소문... 2015-02-11 0 4654
7 詩의 10개 봉우리 2015-02-11 0 4626
6 동시와 기호학 2015-02-04 0 5250
5 명동시와 그 해설(1, 2, 3, 4) ㅡ최룡관 (시인, 동시인, 평론가) 2015-02-04 0 5612
4 하이퍼시에 대한 탐색 ㅡ 최룡관 (시인, 평론가) 2015-02-04 0 4234
‹처음  이전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