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는 제천의식(祭天儀式)에서 유래
2016년 07월 05일 20시 09분  조회:3905  추천:0  작성자: 죽림

[1강] 시를 창작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강사/김영천 

시 창작은 근세나 고대에 인간이 필요해서 만들어 낸 예술의 
분야가 아니고 원시시대의 제천의식(祭天儀式)에서 유래된 
것으로 봅니다. 
즉 원시 종합예술에서 소리와 춤으로 나누어졌고 다시 춤은 
무용과 연극으로, 소리는 다시 음악과 가사로 나누어 졌습니다. 
여기 가사가 마침내 시와 소설로 나뉜 것은 비교적 근세의 
일입니다. 

1)시 창작은 자기 마음을 표현하는 것 

사람의 마음은 감정을 생성해내며 사물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우리가 기쁘거나 슬프거나, 또는 분노를 나타내는 것도 다 
마음에 따름인 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사물을 볼 때 그 느낌이 
다른 것은 서로간에 마음이 다른 것이기 때문이구요. 
예를 들면 초생달을 보고 어떤 사람은 조각배와 같다고 하는가 
하면, 또 어떤 사람은 여인의 눈섭과 같다고 합니다. 
여러분은 초생달이 무엇과 같다고 생각하십니까? 

이렇듯 사물을 서로 다르게 보는 것을 그 마음을 언어로 
표현하면 시가 됩니다. 시는 이렇듯 아주 주관적인 예술인 
것입니다. 
마음은 그 순수성에 따라 꿈을 꿀수도 있고, 헛된 욕망을 
품을 수도 있지요. 시를 쓸 때는 전자인 순수한 마음이 
필요합니다. 거기에서 아름다운 꿈을 꾸고 온갖 상상력을 
낳게 함으로서 시를 창작하게 되는 것입니다. 

1930년대 , 지성적 시인을 대표했던 정지용 시인의 
대표작 <유리창> <향수><고향> 등에서 우린 진솔한 
마음을 만나게 되는데, 그의 지성과 감각도 순수한 마음에 
근원을 두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선 우선 그의 시 <유리창>을 
예로 들어볼 터이니 여러분이 쓰신다고 생각하고, 이 시인의 
마음이 한 번 되어 보십시오 


유리에 차고 슬픈 것이 어린거린다 
열 없이 붙어 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 양 연 날개를 파닥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나가고 밀려와 부딪치고, 
물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백힌다.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의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고운 폐혈관이 찢어진 채로 
아아, 늬는 산새처럼 날라갔구나! 
-정지용,<유리창> 전문 

이 시에 대한 조태일의 해설을 옮기면 
" 위 시의 창작 동기가 된 것은 사랑하던 아들의 죽음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자식을 잃은 부모의 애끓는 심정을 표현한 
것이다. 죽은 자식을 앞에 둔 부모의 슬픈 마음이야 
똑 같겠지만, 그 슬픔을 표현해내는 방식은 조금씩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위 시는 두 다리 뻗고 땅을 치며 목놓아 우는 모습 대신 
슬픔을 안으로 삭이는 절제된 행위 속에서 오히려 
한 어버이의 슬픈 마음을 더욱 지극하게 표현하고 있다. 
시인은 얼어 붙은 날개를 애처럽게 파닥이는 새의 영상을 
통해서, 폐혈관이 찢어진 채 죽은 아들의 모습을 보고 있다. 
유리창에 기대어 서서 밤 내내 입김을 불며 유리창을 닦는 것은 
죽은 아들을 향한 어쩌지 못하는 그리운 마음 때문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아마, 누구나 이런 경우를 당하면 망연자실하여 말을 잃거나, 
차마 이기지 못하여 술을 마시고 넉두리를 하거나 할 것입니다. 
더러 그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홧병을 얻기도 하지요. 
옛부터 부모가 죽으면 산에 묻고, 자식이 죽으면 가슴에 
묻는다는 속담이 있듯이 우리네 가슴엔 온갖 슬픔까지도 
묻을 있는 무한한 감정의 창고입니다. 

이 마음은 다른 사람들하곤 전혀 그 색깔이 다르지요. 
천 사람의 지문이 천 가지 이듯 천 사람의 마음이 천 가지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기 마음을 잘 표현하면 독창성과 
개성이 그대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지요. 
우리는 이제 자기만의 마음을 언어로 표현하는 연습을 
해봅시다. 시의 첫 출발은 자기가 생활하며 얻은 마음, 
또는 거기에서 파생하는 수많은 상상력들을 글로써 표현해내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제껏 유명한 시인들이 써 온 시가 꼭 내 마음과 
같다고 해도 그 건 이미 내 마음이 아니고 다른 사람의 
마음이니, 오직 내 눈으로 본 것, 내 마음으로 느낀 것을 
써보도록 해야합니다. 
그럴려면 먼저 사물을 보는 방법에 우리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이든지 무심코 보아 넘겨버리지 말고, 
또한 잡스런 생각을 버리고 맑고 순수한 마음으로 사물을 
보는 습관을 들여야 할 것입니다. 
그 부분은 다음 시간에 강의 하기로 하겠습니다.

 

============================================

그리고매우멀어바다같아요
―성기완(1967∼ )

그리고매우멀어바다같다던
당신이떠난그곳이어딘지
알수없어

매우멀어바다같아요
당신이남겨놓으신흔적들
파도에씻긴조가비같은것들
함께바다에여행갔을때당신이
무릎접고고개숙이고줍던
그시간이

매우멀어바다같아요

당신이나를버린이유
알수없어걷고또걷던새벽에얻은
몽유의버릇
주머니에가득한물음표
아이가쏟아놓은퍼즐조각처럼
그이유가망망(茫茫)해서대해(大海)같아요

 

 

언젠가부터긴긴잠을자고있어요
당신이어디사는지알지도못하는
그냥내가한참미워밤바다같아요
그리고너무멀어
오늘이

망망(茫茫)큰바다같아요
 

 
 

성기완은 밴드 3호선버터플라이 멤버다. 즉 뮤지션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그의 시들은 리드미컬하다. 이 시에서도 아련한 그리움과 상실감을 아름답게 노래했다. 실연은 쓰디쓴 것이나 실연의 노래는 달콤한 것.

어느 날 갑자기 연인이 종적을 감춘다. 왜? 도대체 왜? ‘당신이나를버린이유/알수없어’. 그런데 곰곰 생각하니 언젠가 그녀가 한 말이 생각난다. ‘그리고매우멀어바다같다던’. 그랬나? 그랬어! 화자는 그녀의 말을 되뇌며 추억과 회한을 곱씹는다. 애달프구나, 사나이 순정. 세상의 연인들이여, 떠날 때는 말이나 하고 떠나시라. 문자라도 보내시라! 남은 사람 가슴 터지게 할 셈이 아니라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 <<네오아방가르드>>--~(아이고나 머리가 뗑...) 2015-02-18 0 4640
42 <<최첨단 현대시론(?)>>과 <<아방가르드 시론>> 2015-02-18 0 4300
41 열린 시 운동과 公演詩 2015-02-18 0 3878
40 하이퍼텍스트 시의 지향 2015-02-18 1 4639
39 詩作과 자작시 해설 2015-02-18 0 4757
38 디지털시의 현장성 2015-02-18 0 4845
37 문제 시집, 시와 현대시 동향 및 그 新모색 2015-02-18 0 4511
36 디지털시대와 글쓰기 방법론 2015-02-18 0 4825
35 하이퍼시와 디지털시대 2015-02-18 0 4135
34 詩와 기호(記號) 2015-02-18 1 4533
33 하이퍼시와 젊은 시 운동 2015-02-18 0 4381
32 하이퍼시와 포스트 구조주의 2015-02-18 0 4309
31 하이퍼시와 형이상시 2015-02-18 0 4496
30 하이퍼시와 무의미시 2015-02-18 0 4592
29 문덕수와 심상운 2015-02-18 0 4691
28 하이퍼시는 單線에서 多線에로... 2015-02-18 0 5110
27 하이퍼시에서 상상, 공상 2015-02-18 0 4369
26 하이퍼시와 탈관념과 상상 이미지 2015-02-18 0 4167
25 모더니즘시 고찰 2015-02-18 0 4646
24 시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 2015-02-18 0 4515
23 하이퍼로 가는 문 2015-02-18 0 4431
22 변화하는 詩 2015-02-18 0 4701
21 김파와 김몽 2015-02-17 0 4516
20 하이퍼시와 심상운 2015-02-17 2 5138
19 하이퍼시의 해명 2015-02-17 0 4886
18 중국 시인 시선 2015-02-16 1 4619
17 "시인이란 명칭은 줄곧 있었다... " --- 시인 牛漢 2015-02-16 0 5133
16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2-16 0 5148
15 시작법 1 2015-02-16 0 4815
14 현대시 흐름과 대표시 감상 2015-02-14 0 5369
13 1960년대 녀성시 고찰 2015-02-13 0 5083
12 마광수 시평 2015-02-12 0 4538
11 디지털 시대와 시의 전망 2015-02-11 0 5251
10 90년대 이후 시흐름... 2015-02-11 0 5472
9 재확인하는 시집 2015-02-11 0 5444
8 詩壇과 그 뒷소문... 2015-02-11 0 4724
7 詩의 10개 봉우리 2015-02-11 0 4664
6 동시와 기호학 2015-02-04 0 5422
5 명동시와 그 해설(1, 2, 3, 4) ㅡ최룡관 (시인, 동시인, 평론가) 2015-02-04 0 5682
4 하이퍼시에 대한 탐색 ㅡ 최룡관 (시인, 평론가) 2015-02-04 0 4328
‹처음  이전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