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산문과 산문시의 차이 알아보기
2016년 03월 03일 00시 43분  조회:4944  추천:0  작성자: 죽림
산문과 산문시의 차이는 무엇인가

산문시(散文詩)



현대시를 외형률의 유무와 행의 표기 형태를 기준으로 따져 보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가) 운문형식이며 행 구분이 있는 시
    나) 산문형식이며 행 구분이 있는 시
    다) 운문형식이며 행 구분이 없는 시
    라) 산문형식이며 행 구분이 없는 시

가)와 다)는 운율적인 요소 곧 율격이나 압운 같은 외형률을 지닌 시이고
나)와 라)는 그런 외형률을 갖추지 못한 것이다.
가)는 우리가 흔히 만나는 일반적인 자유시다.
나)는 문체로 볼 때 산문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행 구분이 되어 있다.
김수영(金洙暎)의 「만용에게」라든지 서정주(徐廷柱)의 후기 기행시 같은 작품들이 이에 해당한다.
다)는 운율을 지닌 작품이지만 산문처럼 행 구분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다.
「장미·4」등 박두진(朴斗鎭)의 초기 작품들에서 쉽게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라)는 운율도 없으면서 행 구분도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이상(李箱)의 「지비(紙碑)」같은 작품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가)와 나)를 분행자유시(分行自由詩), 다)와 라)를 비분행자유시(非分行自由詩)라고 구분해 명명키로 한다.
산문시는 바로 이 비분행자유시의 다른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까 산문시는 자유시의 하위 개념이다.

운율의 유무 등 그 내적 구조로 따져 본다면
나)가 다)보다 더 산문성을 지니고 있을 수도 있지만,
산문시를 분별하는 기준을 내적 특성으로 잡는다는 것은 여간 곤혹스런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산문성과 비산문성의 한계를 따지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산문시는 그 외형적인 형태를 기준으로 규정하는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산문시는 분행 의식이 없이 산문처럼 잇대어 쓴 자유시'라고 정의한다.
한용운(韓龍雲)의 자유시들은 행이 산문처럼 길지만 산문시의 범주에서 제외된다.
왜냐하면 한용운의 시는 분행 의식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한용운의 시처럼 그렇게 행이 긴 시들을 장행시(長行詩)라고 달리 부르고자 한다.

그런데 분행 의식을 기준으로 산문시를 규정해 놓고 보아도 역시 문제는 없지 않다.
라)의 산문시와 산문(짧은 길이의)을 어떻게 구분하느냐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즉 산문시와 산문의 한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그것이 산문이 아닌 시로 불릴 수 있는 변별성은 무엇인가.
산문시와 산문의 차이를 논하는 것은 결국 시(詩)와 비시(非詩)를 따지는 것과 궤를 같이 한다.
나는 바람직한 시란 '시정신이 시적 장치를 통해 표현된 글'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그러면 시정신이란 무엇이며 시적 장치는 어떤 것인가가 또한 문제로 제기되지 않을 수 없다.

무릇 모든 글은 작자의 소망한 바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시 또한 예외는 아니다.
그런데 시 속에 담긴 시인의 소망은 보통인의 일상적인 것과는 다르다고 본다.
훌륭한 시작품들 속에 서려 있는 시인의 소망은 세속적인 것이 아니라 격이 높은 것이다.
말하자면 승화된 소망이라고 할 수 있는데 나는 이를 시정신이라고 부른다.
시정신은 진(眞), 선(善), 미(美), 염결(廉潔), 지조(志操)를 소중히 생각하는 초연한 선비정신과 뿌리를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가 되도록 표현하는 기법 곧 시적 장치 역시 단순한 것이 아니어서 이를 몇 가지로 요약해서 제시하기란 여간 곤란한 일이 아니다.
하지만 굳이 지적을 해 보자면, 감춤[상징(象徵), 우의(寓意), 전이(轉移), persona(가화자)], 불림[과장(誇張), 역설(逆說), 비유(比喩)] 그리고 꾸밈[(운율(韻律), 대우(對偶), 아어(雅語)] 등의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나는 이들을 한마디로 '엄살'이라는 말로 집약해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니까 시는 시인의 승화된 소망(시정신)이 엄살스럽게 표현된 짧은 글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리라.
산문시도 그것이 바람직한 시가 되기 위해서는 시정신이 시적 장치를 통해 표현된 글이어야만 한다.


    伐木丁丁(벌목정정) 이랬거니 아람도리 큰솔이 베허짐즉도 하이 골이 울어 맹아리 소리 찌르릉 돌아옴즉도 하이 다람쥐도 좇지 않고 묏새도 울지 않어 깊은산 고요가 차라리 뼈를 저리우는데 눈과 밤이 조히보담 희고녀! 달도 보름을 기달려 흰 뜻은 한밤 이골을 걸음이랸다? 웃절 중이 여섯판에 여섯 번 지고 웃고 올라간 뒤 조찰히 늙은 사나히의 남긴 내음새를 줏는다? 시름은 바람도 일지 않는 고요에 심히 흔들리우노니 오오 견듸랸다 차고 兀然(올연)히 슬픔도 꿈도 없이 長壽山(장수산) 속 겨울 한밤내ㅡ ―정지용(鄭芝溶) 「장수산(長壽山)·1」전문

「장수산·1」에 담긴 정지용의 소망은 무엇인가.
무구적요(無垢寂寥)한 자연 속에 들어 세속적인 시름을 씻어 버리고 청정한 마음을 되찾고자 하는 것이리라.
그러니 이 작품에 담긴 시정신은 '친자연(親自然) 구평정(求平靜)'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일상적인 욕망을 넘어선 승화된 정신이라고 아니 할 수 없다.
또한 이 작품에서의 주된 시적 장치는 대구의 조화로운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맨 앞의 '∼하이'로 종결되는 두 문장이 대우의 관계에 있고,
짐승인 '다람쥐'와 새인 '묏새'의 관계가 또한 그러하며,
'달'과 '중'을 서술하는 두 문장 역시 그러하다.
또한 의도적인 의고체(擬古體)의 구사로 우아하고 장중한 맛을 살리고 있다.
「장수산·1」은 일반적인 산문과는 달리 시정신과 그런 대로 시적 장치를 지닌,
시의 자격을 갖춘 글이라고 할 만하다.

산문시는 운율을 거부한 시로 잘못 생각해서는 곤란하다.
산문시도 율격이나 압운 등을 얼마든지 담을 수 있고,
그런 외형률이 아니더라도 내재율에 실려 표현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여타의 시적 장치들 역시 산문시 속에 어떻게 적절히 구사되느냐에 따라
그 글을 시의 반열에 올려놓기고 하고 그렇지 못하기도 한다.
산문시는 외형상 산문의 형태를 지니고 있을 뿐이지 결코 시에 미달한 글이어서는 곤란하다.―『엄살의 시학』(태학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03 詩와 자연의 축복 2016-05-06 0 6153
1402 연변작가협회에서 회원들 작품집 출간 전력 2016-05-05 0 4277
1401 [한밤중 詩 읊다]- 詩 몇쪼가리 2016-05-05 0 4870
1400 정호승 - 별들은 따뜻하다 2016-05-01 0 4842
1399 강은교 - 우리가 물이 되어 2016-05-01 0 4780
1398 박인환 - 목마와 숙녀 2016-05-01 0 4248
1397 문정희 - 한계령을 위한 연가 2016-05-01 0 4610
1396 기형도 - 빈집 2016-05-01 0 4661
1395 박용래 - 저녁눈 2016-05-01 0 4628
1394 최승호 - 대설주의보 2016-05-01 0 4796
1393 노천명 - 사슴 2016-05-01 0 4500
1392 오규원 - 한잎의 여자 2016-05-01 0 5098
1391 곽재구 - 사평역에서 2016-05-01 0 4916
1390 서정주 - 동천 2016-05-01 0 4615
1389 김춘수 - 꽃 2016-05-01 0 4795
1388 황동규 - 즐거운 편지 2016-05-01 0 4831
1387 이성복 - 남해 금산 2016-05-01 0 4504
1386 김수영 - 풀 2016-05-01 0 4425
1385 박두진 - 해 2016-05-01 0 4263
1384 김삿갓 竹詩 2016-05-01 0 4122
1383 나래를 펴는 엉뚱한 상상 2016-05-01 0 4178
1382 詩作은 온몸으로 하는것... 2016-05-01 0 3997
1381 [밤중 詩를 읊다]- 詩 몇토리 2016-05-01 0 4608
1380 소월 시 음미해보기 2016-04-26 0 4873
1379 내 문학의 고향, 어머니의 詩心 2016-04-25 0 4320
1378 [출근족들 왁짝지껄 하는 이 시각, 詩 한컷]- 늦봄 2016-04-25 0 4442
1377 [詩 미치광이]- 메아리 2016-04-25 0 4092
1376 [기온차가 심한 아침, 詩 한컷]- 문신 2016-04-25 0 3721
1375 [詩로 여는 월요일 아침]- 아이의 질문에 답하기 2016-04-25 0 4242
1374 공룡아~ 발자국을 가져가거라... 2016-04-23 0 4080
1373 한 <단어>앞에 문득 멈춰서게 하는... 2016-04-23 0 3541
1372 흑과 백, 문밖과 문안 2016-04-23 0 3827
1371 [詩와 詩評으로 여는 토요일]- 봄 셔츠 2016-04-23 0 3671
1370 김수영 시인 대표작 시모음 2016-04-22 0 6544
1369 다시 떠올리는 전위시인 - 김수영 2016-04-22 0 4329
1368 [밤에 올리는 詩 한컷]- 아이가 무릎에 얼굴을 묻고 있다 2016-04-22 0 4422
1367 [詩로 여는 금요일]- 앞날 2016-04-22 0 3649
1366 [안개 푹 낀 아침, 詩놈팽이 한컷]- 명함 2016-04-22 0 4085
1365 자루는 뭘 담아도 슬픈 무게로 있다... 2016-04-21 0 4244
1364 詩는 쓰는것이 아니라 받는것 2016-04-21 0 4517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