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영화 <<귀향>> 보다...
2016년 02월 26일 05시 55분  조회:7249  추천:0  작성자: 죽림

2월 24일, 개봉.

이틑날 25일,

영화 <<귀향>>을 보다...

 

"무엇이 소녀들을 지옥으로 보냈나"

 

"언니야 이제 집으로 가자"

20만여명의 소녀들이 끌려갔고,

238명만이 돌아왔다.

그리고 이제,

46명(며칠전 2명 사망)만이 남아있다.

 

력대 최고로 세계 각지 75,270명의 시민 참여한 국민의 영화.

2002년부터 시작된 "위안부" 피해자 고발, 어려운 14년의 제작기.

 

 

 

 

이 영화의 제작비 대부분이 국민 성금과 기부를 통해 마련된 영화이기에 그 의미가 더 크다.

조정래 감독은 강일출 할머니의 태워지는 처녀들이라는 그림을 통해서 이 영화를 만들겠다고 결심했다 한다...

너무 가슴 아프고 치욕스러운 력사, 꼭 잊지말고 기억해야 할 일.
영화 귀향은 과거의 일제강점기 때 아픈 력사를 다시 한번 더 기억나게 해주는 것.

 

 
 
 

 

 

 

 

 

 

 처녀애들이 마을에서 천진란만히 공기돌놀이를 하는 장면.

 

 

 

이 영화를 통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께 조금이나마

 

마음의 위로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영화 귀향이 미국에서 상영했을 때

 

미국인들이 머리가 아플 정도로

 

엄청나게 울었다고 조정래 감독은 밝힌다.

 

 

 

또한 일본 와세다 대학 학생이

 

조정래 감독에게

 

이 영화를 일본인들도 보았으면 좋겠다고 말해서

 

큰 감동을...

 

 

 

 

 

 

"여기가 지옥이다 야"
1943년, 천진난만한 열네 살 정민(강하나)은,ㅡㅡㅡ

 영문도 모른 채 일본군 손에 이끌려 가족의 품을 떠난다.

딸을 잃은 부모들 원통 뼈에 사뭇친다...

정민은 함께 끌려온 영희(서미지),
그리고 수많은 아이들과 함께 기차에 실려 알 수 없는 곳으로 향한다.

제2차 세계대전,
차디찬 전장 한가운데 버려진 정민과 아이들...
그곳에서 그들을 맞이한 것은
일본군만 가득한 끔찍한 고통과 아픔의 현장이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실화를 바탕으로 한
우리의 아픈 이야기!



2002년, 미술심리치료과정에서 그리셨던
강일출 할머니의 그림이 바로 "태워지는 처녀들"이다.

영화 <귀향>은 일본 군국주의가 활개를 치던
1940년대에 성노예로 끌려간 강일출 할머니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

1928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신 강일출 할머니는
1943년 일본이 광기의 전쟁을 치르고 있을
16살의 나이에 보국대를 뽑는다고
집에 순사가 찾아와 납치되듯 끌려갔다 한다.

그렇게 중국 심양을 거쳐 장춘, 그리고 목단강 위안소에서 말로 형언할 수 없는 고통을 당하며
일본군 성노예 생활을 했다.

(영화에서는 끌려간 쳐녀애들이 기차에 실려 가다가 목단강역에서 내리는 장면이 나온다.)

 


전쟁이 끝나갈 무렵 장티푸스를 심하게 앓아 부대 밖으로 이송되어 다른 병든 소녀들과 함께
불구덩이에 던져 지려할 때,
조선 독립군들의 도움으로 극적으로 탈출,
이후 중국에서 생활 하시다가 2000년 영구 귀국하셔서 지금까지 나눔의 집에서 생활하고 있다.

<귀향>의 조정래 감독님은 2002년 경기도 퇴촌에 있는 나눔의 집에 계신 위안부피해자 할머니를 위해
봉사공연활동을 하던 차 이러한 위안부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한다.

그 때 무려 20만명(일본교수가 계산한 수치-최고 50만명이 끌려갔다는 추정도 있음)이 넘는 어린 여성들이 강제로 납치되거나
취업을 미끼로 끌려가서 모진 생활을 견디다 못해 대부분 죽어갔다...

초경도 안한 소녀들이 하루에 이삼십 명의
병사들을 상대하면서 병으로,
또는 구타 고문 등으로 죽어갔으며 일본군은 퇴각하기 전에 소각명령에 의해 불태워지거나 처형되었고
퇴각한 후에는 그대로 현지에서 버려져 죽음에 이르렀다고 한다.

 

조정래 감독은 시나리오를 제작했을 때 당시 투자사 등도 없어 어려웠다 한다.

투자 유치가 힘들었기에 크라우드 펀딩을 도입해 세계 각지의 시민들이였던 총 75,270명의 후원
받아 12억원의 제작비가 모아졌고,
손숙, 오지혜, 정인기 등의 배우들로 재능기부이루어져 출연 했으며 그렇게 14년 만에 빛을 발해 완성 되어진 영화.

력사는 력사,
력사를 잊지말자...

 

영화 끝머리에는 생존 위안부피해자 할머니들이 그림과 함께 기부 참여자들이 명단 75,270명 이름이 일일이 거명되는데

한 10여분 걸린다. 일반적으로 영화 뒷자막이 나오면 궁둥이를 툭툭 털며 자리를 뜨지만

이번 영화 귀향은 자막이 길어도 끝까지 다 보고 영화관문을 나섰다. 여직껏 영화 뒷자막을 다 보기는 이번이 난생처음이였다...

영화관 정문을 나서니 석양노을이 붉게붉게 물드리고 있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37 인생 황금률 2015-07-25 0 6717
236 姓氏의 비밀 2015-07-17 0 5784
235 특이한 姓氏 2015-07-17 0 5627
234 新體詩란? 2015-07-12 0 5289
233 할만할 때 우리 문학을 살리자... 2015-07-04 0 5677
232 언제면 언어의 규법화가 될런지... 2015-07-01 0 7664
231 愛... 2015-06-28 0 5763
230 퍼포먼스 = 행위예술 2015-06-26 0 5413
229 표절과 모방 2015-06-26 0 5539
228 다시 읽는 우리 문학 3 2015-06-22 0 5129
227 최삼룡 평론가 저서 출간 2015-06-22 0 6486
226 假眞 오랜만에 장편 출간 2015-06-22 0 5680
225 휘파람 작곡가 2015-06-21 0 5841
224 우리 말 어디서 왔지??? 2015-06-20 0 5397
223 단오(端午節) 2015-06-20 0 5235
222 시만들기 프로그램과 현대시 곤혹 / 삼박자 독서법 2015-06-20 0 6915
221 년령명칭 및 결혼기념별 명칭, 나이 명칭... 2015-06-16 0 5522
220 최남선시인 시집부터... 쭈 욱... 2015-06-16 0 10557
219 사투리 시번역 2015-06-14 0 5263
218 시 번역 구글 번역기로... 2015-06-14 0 6677
217 신화 7... 2015-06-10 0 5317
216 단군신화 2015-06-10 0 5661
215 檀君王儉 2015-06-09 0 6449
214 檀君 2015-06-09 0 5234
213 사투리(문경지방) 2015-06-08 0 7022
212 할매 할배 얘기... 2015-06-08 0 4864
211 계영배(戒盈杯) = 절주배(節酒杯) 2015-06-07 0 13674
210 12초 2015-06-07 0 5528
209 세상 다르게 보기 - 자연과 하나되는 자유 2015-05-31 0 5436
208 재밋있는 월남어(베트남어) 2015-05-30 0 5968
207 아름다운 우리 말 잘 알고 쓰기 2015-05-30 0 5035
206 세계 명언 (클릭...) 2015-05-21 0 7374
205 시쓰기에 수사법 리용하기 2015-05-17 1 5988
204 시의 표현법 - 修辭法 2015-05-17 0 7286
203 진짜 수사법 알기 2015-05-17 0 5185
202 시에서 수사법 알기 2015-05-17 0 7215
201 치매를 돕는 명언 한트럭 기억하기 2015-05-16 0 8067
200 중, 고등학교 학생들;- 대학입시 론설문쓸 때 꼭 필요한 명언과 속담들. 2015-05-16 0 6217
199 비속어의 例 2015-05-03 0 7018
198 미국 <<욕>> 종류 2015-05-03 0 6233
‹처음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