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오늘도 밥값을 했씀둥?!
2016년 02월 14일 03시 15분  조회:4842  추천:0  작성자: 죽림

 

 

밥값/ 정호승

 

어머니

아무래도 제가 지옥에 한번 다녀오겠습니다

아무리 멀어도

아침에 출근하듯이 갔다가

저녁에 퇴근하듯이 다녀오겠습니다

식사 거르지 마시고 꼭꼭 씹어서 잡수시고

외출하실 때는 가스불 꼭 잠그시고

너무 염려하지는 마세요

지옥도 사람 사는 곳이겠지요

지금이라도 밥값을 하러 지옥에 가면

비로소 제가 인간이 될 수 있을 겁니다

 

- 시집『밥값』(창비, 2010)

................................................................................................................................................

 

 정호승 시인은 열 번째 시집『밥값』을 내면서 “침묵의 절벽 끝에 한 채 서 있는 작은 수도원처럼 시는 묵언의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그 무엇임을 새삼 깨닫는다.”고 하였습니다. 시를 써본 사람은 대개 경험해본 일이겠는데, 처음 시를 쓸 때는 쓸 것이 없어서 고민되어 시가 짧아지는 경우보다는 감정과잉으로 주절주절 말이 많아지고 이것저것 갖다 붙이는 통에 시가 대책 없이 길어질 때가 더 많습니다. 스스로 깨닫기는 뒷전이고 섣불리 남을 깨우치려는 생각이 앞설 수도 있겠고요. 그러니 가슴이 아니라 입과 손끝으로 쓰는 시가 되는 것이지요.

 

 정호승 시인의 말은 ‘말씀 언(言)’에 ‘절 사(寺)’가 합쳐 <詩>가 된 것임을 다시 환기시켜줍니다. 말로 절을 짓는다는 의미이지요. 시 쓰는 일도 용맹정진하는 구도자의 정신으로 치열하게 하라는 뜻입니다. 그렇기에 그 묵언의 상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는데, 그 수행이 제대로 되지 않아 내 경우 어쩌다 시를 한 편 쓰려고 해도 시정잡배 수준의 마구잡이 언어가 곁을 떠나지 않습니다. '창피하지만' 시를 쓰서 밥을 얻어먹어본 기억은 별로 없기에 시에 대한 밥값에 미안한 마음은 없습니다만 총체적 삶에서 내가 밥값은 제대로 하고 사는지에 대한 미심쩍음은 늘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시인은 왜 어머니께 고하고 지옥에 한번 다녀와 봐야겠다고 했을까요. 이승에서 밥값 못하고 살다 죽으면 지옥행이란 생각 때문이겠지요. 바로 밥값의 여부가 선악의 기준이어서 아무리 생각해도 자신이 밥값이나 제대로 하고 사는지 모르겠기에 지옥에 다녀오겠다는 것일 겁니다. 가서 지옥을 눈으로 직접 보고 반면교사라도 삼을 작정이었나 봅니다. 하지만 ‘지옥도 사람 사는 곳이겠지요’ 밥값을 하고 못하고의 분별이 어려울 정도면 지옥도 그다지 흉악한 범죄자들만 득실대는 곳은 아닐 것입니다.

 

 그렇다면 시인이 꿈꾸는 모두가 밥값 하는 세상이란 어떤 모습일까요. 여전히 비루하고 비극적인 상황에서 그걸 확실히 모르겠기에 지옥에 다녀온다는 것인데, 이것 하나만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가령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에서 인간의 생명력과 희망을 생각하며, 그 사랑이 곧 밥값이라는 사실 말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83 詩作은 온몸으로 하는 것 2016-05-29 0 4641
1482 노래하듯이 詩 랑송하기 2016-05-29 0 4313
1481 동시 지도안 2016-05-29 0 4917
1480 동시 지도 요령 2016-05-29 0 4139
1479 동시 지도하는 방법 2 2016-05-29 0 4194
1478 동시 지도하는 방법 2016-05-29 0 4461
1477 엄마도 동시를 지도할수 있다... 2016-05-29 0 3628
1476 동시랑송법 2 2016-05-29 0 4191
1475 동시랑송법 2016-05-29 0 4222
1474 랑송문화는 글자가 없던 오랜전부터 있어 왔다... 2016-05-29 0 3899
1473 랑독과 랑송의 차이점 2016-05-29 0 4209
1472 詩랑송 아름답게 잘하는 법 3 2016-05-29 0 4254
1471 詩랑송 아름답게 잘하는 법 2 2016-05-29 0 4601
1470 詩랑송 아름답게 잘하는 법 2016-05-29 0 4836
1469 詩 랑송하는 법 2 2016-05-29 0 4190
1468 詩 랑송하는 법 2016-05-29 0 4495
1467 청(靑)은 현(玄)과 흑(黑)과 통한다... 2016-05-29 0 5041
1466 프랑스 시인 - 라포르그 2016-05-28 0 4961
1465 詩人의 머리속은 하얗게 비어 왔었고... "그 불빛" 2016-05-28 0 4174
1464 소리하지 않는 바위가 되라... 2016-05-27 0 4359
1463 詩作에서 관념은 가고 이미지만 남아라... 2016-05-27 0 4513
1462 시선과 시선 마주치기 2016-05-27 0 4595
1461 꼬맹이들의 동시모음 2016-05-27 0 4603
1460 <한글> 시모음 ///윤동주 년보 2016-05-26 0 4949
1459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2016-05-26 0 5124
1458 詩를 쓸 때 마무리에도 신경 써야... 2016-05-25 0 4546
1457 <책> 시모음 2016-05-25 0 4214
1456 미국 녀성 시인 - 에밀리 디킨슨 << 1775 : 7>> 2016-05-25 0 6568
1455 두 시인의 애틋한 사랑이야기 2016-05-25 0 4659
1454 오누이 詩碑 2016-05-24 0 4688
1453 청마 유치환 시인과 정운 이영도 시조시인와의 사랑詩 2016-05-24 0 5511
1452 詩作에서 끝줄을 쓰고 붓을 놓을 때... 2016-05-24 0 4723
1451 詩는 뜸을 잘 들여야 한다... 2016-05-24 0 4525
1450 [비 추적추적 오는 아침 詩]- 련쇄 사랑사건 2016-05-24 0 5116
1449 詩공부는 꽃나무에 물을 주는 격... 2016-05-21 0 4510
1448 세상의 모든 뿌리는 젖어 있다... 2016-05-20 0 4658
1447 우리는 귀향선을 모른다... 2016-05-20 0 4763
1446 진짜 시인, 가짜 시인, 시인다워야 시인 2016-05-19 0 4249
1445 천재 녀류시인 - 옥봉 / 詩가 내게... 2016-05-19 0 5393
1444 [화창한 초여름 아침 詩 한컷] - 졸업 2016-05-19 0 4481
‹처음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