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령혼을 깨우는 천재시인의 향기 - 2천여편 : 23편
2016년 02월 08일 19시 25분  조회:4803  추천:0  작성자: 죽림

13인의 아해들이 도로로 질주하는 李箱의 시 제1호는

자아를 모르는 채 세상을 사는 사람들에게,
자아의 세계가 있음을 알려주는 시입니다.


 


육신이 죽으면 끝(막다른 골목)인 것처럼 보이지만,
자아는 육신의 죽음 후에도 계속된다는 것(뚫린 골목)을 알려줍니다.

그는 또한 세상 사람들을 두 부류로 분류했는데, 자아를 찾으려 노력하는 사람들(무서운아해)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무서워하는아해)로 나누었습니다.

자아체득을 삶의 유일한 목표라 생각한 그에게 다른 분류는 아무런 의미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렇게뿐이'모였다고 말합니다.

또한 자아를 깨달은 사람에게는 이미 생과 사의 구별이 큰 의미가 없으므로,
뚫린 골목이라고 해도 좋고, 질주하지 않아도 좋은 것입니다.


 


깨달은 그가 까마귀의 눈으로 육신의 현실만이 모든 것이라 여기며
사는 사람들을 굽어보면서 쓴 시입니다.

그는 사람들에게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묻고있는 것입니다...

 

고도의 지적 능력을 가진 인간으로 태어난 의미가 무엇일까요?

오직 남보다 잘 먹고 사는 것일까요?

종족 유지에 기여하는 것일까요?

그렇게 살다 죽는다면 동물과 다른 것이 무엇일까요?

 


李箱시인이 2,000여편의 시 중에서 23(30)편을
'땀을 흘리며' 오감도로 묶은 까닭이 무엇이었을까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들을 추려 뽑느라 그랬을까요? 아닙니다...

그것은 23편의 시를 관통하여 흐르는 주제가 있다는 명백한 증거입니다.

그 주제는 바로 자아입니다.

오감도 23편은 자아에 관한 이야기로 일맥상통합니다...


 


오감도의 해설이 일맥상통하는 주제가 없이 횡설수설한다면,
그 해석은 오감도를 제대로 해설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83 풍유시로 사회를 고발한 백거이 2016-02-10 0 4451
1082 그 누구에게나 가슴속엔 詩가 가득듬뿍... 2016-02-10 0 5650
1081 묘비명 한졸가리 2016-02-10 0 4899
1080 남미주 칠레 민중시인 네루다를 다시 만나다 2016-02-09 0 4379
1079 詩人은 풍경속을 걷는 者 2016-02-08 0 4571
1078 령혼을 깨우는 천재시인의 향기 - 2천여편 : 23편 2016-02-08 0 4803
1077 <새해> 시모음 2016-02-08 0 4315
1076 <설날> 시모음 2016-02-08 0 4619
1075 동시는 童詩 2016-02-07 0 4007
1074 詩쓰기에서 상징, 알레고리를 리용하기 2016-02-07 0 4916
1073 동시창작론 2016-02-07 1 4457
1072 동요창작론 2016-02-07 0 3963
1071 세계기행詩 쓰기 2016-02-06 0 4354
1070 소설가로만 알았던 포석 조명희, 시인으로 만나다... 2016-02-06 0 5197
1069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이용악 2016-02-06 0 4876
1068 젊은 나이에 요절한 시인 오장환을 기리며 2016-02-06 0 4303
106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오장환 2016-02-05 0 4286
1066 산문시를 확실하게 알아보기 2016-02-05 1 5390
1065 참 재미있는 산문시 2016-02-05 0 4361
1064 산문시를 다시 알아보기 2016-02-05 0 4870
1063 산문시를 아십니까... 2016-02-05 0 4789
1062 詩창작의 최고의 교과서는 詩와 詩集 2016-02-05 0 4865
1061 散文詩이냐 산문(수필)이냐 2016-02-05 0 4324
1060 산문시 쓰기전 공부하기 2016-02-05 0 5070
1059 동시야 동시야 나와 놀자... 2016-02-05 0 4246
1058 우리도 산문시 써보자... 2016-02-05 0 5044
1057 산문시를 공부하기 2016-02-05 0 4431
1056 詩와 산문시, 수필의 차이점 2016-02-05 0 4806
1055 무감각해진 詩의 하체를 톡톡 건드려봅시다 2016-02-05 0 5280
1054 散文詩에 대하여 2016-02-05 0 6501
1053 은유에 관한 보고서 2016-02-05 0 4419
1052 詩쓰기와 자아찾기 2016-02-05 0 4858
1051 풍경이 곧 시인의 재산 2016-02-03 0 4373
1050 "스물여덟 삶" ㅡ 영화 "동주" 이달 18일 개봉 2016-02-03 0 4378
1049 詩의 언어운용에 관하여 2016-02-03 0 5621
1048 겁없이 쓰는 詩와 겁먹으며 씌여지는 詩 2016-02-03 0 5140
1047 태양아래 새로운 것 없다?!... 있다?!... 2016-02-03 0 4822
1046 生态詩 공부하기 2016-02-02 0 4355
1045 "생태시" 시론을 공부하고 생태시 쓰자... 2016-02-02 0 4252
1044 유교사회 조선시대 녀류시인들 2016-02-01 0 5620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