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2016 신춘문예 童詩 당선작
2016년 01월 21일 22시 37분  조회:4397  추천:0  작성자: 죽림

 

[2016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

 

 

 

  모내기

 

                김종훈

 

 

 

 

 

 

 

모내기 하는 날은

 

세상에서 제일 큰

 

밥상보를 만드는 날입니다

 

 

 

 

 

황새가

 

이리저리

 

훨훨 날아다니며

 

치수를 잽니다

 

 

 

 

 

아빠는

 

이앙기로

 

탈탈탈탈

 

초록 천을 펼칩니다

 

 

 

 

 

엄마는

 

못짐을 들고

 

논둑을 따라

 

시침질이 한창입니다

 

 

 

 

 

때마침 내리는 비가

 

은침으로 박음질을 끝내면

 

들판은 세상에서

 

가장 큰 밥상보입니다

 

 

 

 

 

한 여름 땡볕을 견디고

 

가을 햇살이 익을 무렵

 

저 큰 밥상보를 가만히 들추면

 

푸짐한 밥상이

 

들판 가득 차려지겠지요

 

 

 

 

 

[2016 경상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

 

 

 

 

 

  콧구멍에 낀 대추씨

 

 

 

                      안안미

 

 

 

 

 

 

 

우리 할머니 집 세탁기는

 

 

 

 

 

덜커덩덜커덩

 

 

 

 

 

참 요란스럽게도 일한다

 

 

 

 

 

명절 때마다

 

 

 

 

 

할머니 집 수리기사가 되는

 

 

 

 

 

우리 아빠

 

 

 

 

 

두리번두리번

 

 

 

 

 

세탁기 한 쪽 받칠 만한 걸 찾는다

 

 

 

 

 

-쪼매만 있어봐라잉

 

 

 

 

 

창고에 다녀온 할머니 손에는 내 손바닥만한 장판 한 조각

 

 

 

 

 

-콧구멍에 낀 대추씨도 다 쓸 데가 있제잉

 

 

 

 

 

한 번 접고 두 번 접어

 

 

 

 

 

세탁기 밑에 끼어 넣었더니

 

 

 

 

 

수평이 딱 맞는다

 

 

 

 

 

세탁기에 낀 장판 조각

 

 

 

콧구멍에 낀 대추씨

 

 

 

 

 

 

 


[2016 한국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 

 

 

 

 

 

 

  털장갑

 

 

 

            윤형주

 

  

 

 

 

 

 

 

 

 

 

 

 

오래 기다렸어요.

 

 

 

깜깜하고 답답한 곳에서.

 

 

 

 

 

 

 

 

 

 

 

다른 친구들이 바깥 구경을 하고

 

 

 

이야기 한 보따리 안고 올 때면

 

 

 

슬펐어요.

 

 

 

날 잊은 게 아닌가 걱정도 했구요.

 

 

 

 

 

 

 

 

 

 

 

오늘 나를 찾아온 걸 보니

 

 

 

첫 눈이 왔군요.

 

 

 

손에 잡힐 만큼 펑펑.

 

 

 

 

 

 

 

 

 

 

 

손을 내밀어요.

 

 

 

따뜻하게 해 드릴게요.

 

 

 

마음껏 만져요.

 

 

 

너무 신나서 차갑지도 않아요.

 

 

 

 

 

 

 

 

 

 

 

눈싸움도 하고,

 

 

 

손도장도 찍고,

 

 

 

눈사람도 만들고,

 

 

 

내 이야기에 모두들 부러워 하겠죠?

 

 

 

 

 

 

 

 

 

 

 

하지만 내일 들려주어야 겠어요.

 

 

 

지금은 눈사람 아저씨 손을

 

 

 

따뜻하게 감싸고 있거든요.

 

 

 

 

 

 

[2016 대전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

 

 

 

  엄마의 마음

 

    

 

 

 

                  김대성

 

  

 

 

 

 

 

 

 

 

 

나사못이

 

 

 

나무를 뚫고

 

 

 

 

들어갑니다

 

 

 

한 바퀴

 

 

 

두 바퀴

 

 

 

빙글빙글 돌다가

 

 

  

더는 돌 수 없어

 


 

 

딱, 멈춘 곳에서

 

 

 

나무가

 

 

 

 

나사못을 안아줍니다

 

 

 

꼬옥

 

 

 

안아줍니다

 

 

 

 

 

[2016 강원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


 

 

  숙제 안 한 날

 

 

 

                      박미림

 

 

 

 

 

 

 

 

 

 

 

친구랑 둘이 남아 벌 청소 한다

 

 

 

하늘을 나는 대걸레

 

 

 

배는 점점 고파오고

 

 

 

대걸레 휘휘 돌리니

 

 

 

아하,

 

 

 

대걸레가 몽땅 짜장면이다

 

 

 

꿀꺽, 침 삼키고 바라보니

 

 

 

세 그릇쯤 된다

 

 

 

색종이로 오이 송송

 

 

 

단무지 한 쪽

 

 

 

후루룩 쩝쩝

 

 

 

하하하

 

 

 

일기 안 쓴 예찬이 한 그릇

 

 

 

나 한 그릇

 

 

 

에라, 모르겠다

 

 

 

선생님도 드리자.

 

 

 

에궁에궁

 

 

 

신기한 짜장면, 배는 안 부르고

 

 

 

예끼

 

 

 

선생님이 주신 짜장면 값

 

 

 

꿀밤 한 알

 

 

 

미소 한 접시.

 

 

 

[2016 조선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

 

 

  엄마 생각

 

               이상윤

 

 

 

 

 

 

오늘도

 

 

 

엄마는 오지 않는데

 

 

잠들기 전

 

 

엄마에게 편지를 써

 

 

 

발자국이라 쓰고

 

 

 

귀를 대면

 

 

엄마의 구두 굽 소리가 들려

 


 

쓰다만 편지를

 

 

아침에 다시 펼쳐 보면

 

 

엄마에게로 가는

 

 

길 하나가 나 있을 것 같아

 

 

내 발자국이란 글자를

 

 

두 손가락으로

 

 

살며시 집어 들어

 

 

문밖에다 내다 놓으면

 

 

 

또각또각

 

 

엄마에게로

 

 

걸어갈 것 같은 밤이야

 

 

 

[2016 매일신문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 <<네오아방가르드>>--~(아이고나 머리가 뗑...) 2015-02-18 0 4532
42 <<최첨단 현대시론(?)>>과 <<아방가르드 시론>> 2015-02-18 0 4249
41 열린 시 운동과 公演詩 2015-02-18 0 3799
40 하이퍼텍스트 시의 지향 2015-02-18 1 4522
39 詩作과 자작시 해설 2015-02-18 0 4714
38 디지털시의 현장성 2015-02-18 0 4773
37 문제 시집, 시와 현대시 동향 및 그 新모색 2015-02-18 0 4359
36 디지털시대와 글쓰기 방법론 2015-02-18 0 4772
35 하이퍼시와 디지털시대 2015-02-18 0 4092
34 詩와 기호(記號) 2015-02-18 1 4439
33 하이퍼시와 젊은 시 운동 2015-02-18 0 4356
32 하이퍼시와 포스트 구조주의 2015-02-18 0 4168
31 하이퍼시와 형이상시 2015-02-18 0 4399
30 하이퍼시와 무의미시 2015-02-18 0 4551
29 문덕수와 심상운 2015-02-18 0 4613
28 하이퍼시는 單線에서 多線에로... 2015-02-18 0 5042
27 하이퍼시에서 상상, 공상 2015-02-18 0 4307
26 하이퍼시와 탈관념과 상상 이미지 2015-02-18 0 4096
25 모더니즘시 고찰 2015-02-18 0 4557
24 시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 2015-02-18 0 4453
23 하이퍼로 가는 문 2015-02-18 0 4396
22 변화하는 詩 2015-02-18 0 4670
21 김파와 김몽 2015-02-17 0 4393
20 하이퍼시와 심상운 2015-02-17 2 5035
19 하이퍼시의 해명 2015-02-17 0 4871
18 중국 시인 시선 2015-02-16 1 4537
17 "시인이란 명칭은 줄곧 있었다... " --- 시인 牛漢 2015-02-16 0 4999
16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2-16 0 5043
15 시작법 1 2015-02-16 0 4722
14 현대시 흐름과 대표시 감상 2015-02-14 0 5283
13 1960년대 녀성시 고찰 2015-02-13 0 5008
12 마광수 시평 2015-02-12 0 4500
11 디지털 시대와 시의 전망 2015-02-11 0 5200
10 90년대 이후 시흐름... 2015-02-11 0 5365
9 재확인하는 시집 2015-02-11 0 5386
8 詩壇과 그 뒷소문... 2015-02-11 0 4652
7 詩의 10개 봉우리 2015-02-11 0 4625
6 동시와 기호학 2015-02-04 0 5245
5 명동시와 그 해설(1, 2, 3, 4) ㅡ최룡관 (시인, 동시인, 평론가) 2015-02-04 0 5609
4 하이퍼시에 대한 탐색 ㅡ 최룡관 (시인, 평론가) 2015-02-04 0 4227
‹처음  이전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