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사전에 없는 말, 장난처럼 꺼낸 말...
2016년 01월 20일 21시 10분  조회:4407  추천:0  작성자: 죽림

젊은 문인들이 만든 문예지 '후장 사실주의' 1호

이달 초 열린 독립출판물 축제 ‘언리미티드 에디션’에 수상한 문예지 한 권이 출품됐다. 양장본에 사진 한 장 없는, 외양은 영락 없는 단행본이지만 표지엔 ‘analrealism vol.1’이라고 쓰여 있다. 소설가 정지돈, 박솔뫼, 오한기, 이상우, 평론가 강동호, 서평가 금정연, 편집자 황예인, 홍상희씨 등 젊은 문인 8인이 자비를 털어 출간한 문예지 ‘후장 사실주의’ 1호다.

후장(後腸)사실주의는 사전에 없는 말이다. 정지돈 작가가 3년 전 장난처럼 꺼낸 말이 언젠가부터 문학상 심사 자리 등에서 마치 비평 용어처럼 쓰이더니, 채 뜻이 정립되기도 전에 잡지가 나온 것이다. 책 안쪽은 한층 더 모호하고 수상쩍다. 문학평론가 신형철, 소설가 백가흠씨 등이 희곡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소설가 백민석씨와 한 인터뷰는 마치 검열을 당한 양 상당 부분이 공란으로 비워져 있다. 칭찬연구소 소장 신형철씨가 미셸 우엘벡에게 납치 당해 죽는 바람에 세상에서 칭찬이 사라지자 미래 사회에서 전사를 급파, 그를 살려낸다는 희곡은 대체 무슨 의도로 쓰인 것일까.

8인은 서면 인터뷰에서 “후장사실주의는 로베르토 볼라뇨의 소설에 등장하는 문예사조 ‘내장(內裝)사실주의’를 패러디한 것이지만 그 자체로는 아무 의미도 없다”며 “모인 사람들끼리 통일된 이념이나 공유하는 철학은 없고 그저 서로를 한눈에 알아”보고 뜻을 같이 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의미를 채워 넣지 않은 단어는 그 자체로 집단의 성격을 암시한다. 역사상 수많은 전위그룹이 의미 없는 ‘미친 짓’을 통해 기존의 세계를 비웃은 것처럼, 후장사실주의도 진지한 비판과 그에 따른 방향 제시보다는 익살스런 패러디를 통해 기성 질서를 조롱하거나 모른 척 한다. 그러나 백민석 작가와 8인의 대화 속에서 나온 “문학하는 애들이 길들여졌다” “모든 출판사가 (…) 서사 위주의 소설에만 상을 주고 히트작을 내고 싶어서 안달이 난 상태” 같은 발언에는 이들이 기성 문단에 대해 갖고 있는 문제의식이 직ㆍ간접적으로 드러난다.

이들은 서면 인터뷰에서 “확실히 체감되는 건 한국문학이라는 용어에 대해 반응해온 독자들의 퓨즈가 완전히 꺼져버렸다는 것”이라고 단언했다. 기성 문단의 무엇을 부정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후장사실주의는 아무 것도 부정하지 않고 또는 모든 것을 부정하지만, 사람들이 기존의 것들을 부정하거나 비웃는 데 이 말을 사용한다면 굳이 반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꺼져버린 독자들의 ‘퓨즈’를 되살리겠다는 친절한 약속도 없이, 잡지는 초판 1,000부 중 언리미티드 에디션에서만 250부가 팔렸다. 후장사실주의자들은 책에 실린 희곡을 영화로 만들기 위해 내년 여름 삼척이나 훗카이도로 촬영을 떠날 예정이라고 했다. 또 “마음 내킬 때” 2호를 출간할 계획이며 인터뷰이로 김기덕 감독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젊은 문인들의 도발이 문단에는 어떤 신선함을 몰고 올까. 이들은 ‘후장 사실주의’가 문학권력 논쟁 이전부터 기획된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올해 신경숙 표절 논란 이후 쏟아져 나온 전복적 움직임의 첫 줄에 이 잡지가 놓이지 않을 수 없다. 한 중견 평론가는 “2000년대 초반 시단에 등장했던 미래파 시인들처럼 새롭고 실험적인 움직임에는 늘 찬반이 갈리게 마련”이라며 “자본에서 완전히 독립된 젊은 작가들이 기존 세계를 불신하고 새로운 현실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는 점에서 상당히 기대되는 잡지”라고 말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83 詩作은 온몸으로 하는 것 2016-05-29 0 4507
1482 노래하듯이 詩 랑송하기 2016-05-29 0 4174
1481 동시 지도안 2016-05-29 0 4761
1480 동시 지도 요령 2016-05-29 0 4035
1479 동시 지도하는 방법 2 2016-05-29 0 4069
1478 동시 지도하는 방법 2016-05-29 0 4266
1477 엄마도 동시를 지도할수 있다... 2016-05-29 0 3504
1476 동시랑송법 2 2016-05-29 0 3989
1475 동시랑송법 2016-05-29 0 4005
1474 랑송문화는 글자가 없던 오랜전부터 있어 왔다... 2016-05-29 0 3750
1473 랑독과 랑송의 차이점 2016-05-29 0 4089
1472 詩랑송 아름답게 잘하는 법 3 2016-05-29 0 4057
1471 詩랑송 아름답게 잘하는 법 2 2016-05-29 0 4187
1470 詩랑송 아름답게 잘하는 법 2016-05-29 0 4611
1469 詩 랑송하는 법 2 2016-05-29 0 4096
1468 詩 랑송하는 법 2016-05-29 0 4337
1467 청(靑)은 현(玄)과 흑(黑)과 통한다... 2016-05-29 0 4857
1466 프랑스 시인 - 라포르그 2016-05-28 0 4752
1465 詩人의 머리속은 하얗게 비어 왔었고... "그 불빛" 2016-05-28 0 4047
1464 소리하지 않는 바위가 되라... 2016-05-27 0 4145
1463 詩作에서 관념은 가고 이미지만 남아라... 2016-05-27 0 4375
1462 시선과 시선 마주치기 2016-05-27 0 4407
1461 꼬맹이들의 동시모음 2016-05-27 0 4432
1460 <한글> 시모음 ///윤동주 년보 2016-05-26 0 4815
1459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2016-05-26 0 4985
1458 詩를 쓸 때 마무리에도 신경 써야... 2016-05-25 0 4466
1457 <책> 시모음 2016-05-25 0 4132
1456 미국 녀성 시인 - 에밀리 디킨슨 << 1775 : 7>> 2016-05-25 0 6400
1455 두 시인의 애틋한 사랑이야기 2016-05-25 0 4481
1454 오누이 詩碑 2016-05-24 0 4556
1453 청마 유치환 시인과 정운 이영도 시조시인와의 사랑詩 2016-05-24 0 5307
1452 詩作에서 끝줄을 쓰고 붓을 놓을 때... 2016-05-24 0 4550
1451 詩는 뜸을 잘 들여야 한다... 2016-05-24 0 4385
1450 [비 추적추적 오는 아침 詩]- 련쇄 사랑사건 2016-05-24 0 5034
1449 詩공부는 꽃나무에 물을 주는 격... 2016-05-21 0 4404
1448 세상의 모든 뿌리는 젖어 있다... 2016-05-20 0 4568
1447 우리는 귀향선을 모른다... 2016-05-20 0 4621
1446 진짜 시인, 가짜 시인, 시인다워야 시인 2016-05-19 0 4123
1445 천재 녀류시인 - 옥봉 / 詩가 내게... 2016-05-19 0 5298
1444 [화창한 초여름 아침 詩 한컷] - 졸업 2016-05-19 0 4394
‹처음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