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아방가르드 영화 3인 감독
2016년 01월 13일 02시 32분  조회:5224  추천:0  작성자: 죽림
 
프랑스 아방가르드 영화를 대표하는
                                    3인의 영화감독

◈ 장 엡스탱 Jean Epstein (1897 - 1953)

장 엡스탱(1897-1953)은 마르셀 레르비에, 루이 델뤽, 장 그레미옹과 더불어 프랑스 아방가르드 영화 최고의 감독으로 꼽히는 거장이다. 루이 델뤽과 더불어 첫 번째 영화이론가이기도 했던 장 엡스탱은 영화와 아방가르드 예술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동시에 프랑스 아방가르드 영화의 주도적인 감독으로 활동했다. 그의 데뷔작인 <파스퇴르>는 파스퇴르의 생애에 리얼리즘적으로 접근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며, 빠른 편집과 독특한 클로즈업의 미학을 보여준 <충실한 마음>은 ‘상징적인 멜로드라마’라는 평과 함께 큰 성공을 거뒀고, 바지선을 배경으로 한 <라 벨 니베르네즈>는 ‘섬의 시네아스트’라는 엡스탱의 별명에 걸맞게 흐르는 물의 아름다운 영상과 함께 독특한 드라마를 선보이는 작품으로, 장 비고의 <라탈랑트>에 큰 영향을 준 영화이다. 또한 알랭 레네의 영화를 떠올리게 하는 황홀한 영화 <삼면 거울>과, 에드가 앨런 포의 원작을 시각적으로 완벽하게 옮겨놓았다고 평가받는 <어셔가의 몰락>은 프랑스 아방가르드 영화의 최고 걸작들이다. 엡스탱은 <세계의 끝>에서는 브르타뉴 섬을 배경으로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미학을 일치감치 선보였고, 1930년대와 40년대에는 <태풍>과 같은 경이적인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기도 했다.

- 파스퇴르 Pasteur 1922년
- 충실한 마음 Coeur fidele 1923년
- 라 벨 니베르네즈 La Belle nivernaise 1923년
- 6 _ _ 11 Six et demi onze 1927년
- 삼면 거울 La Glace a trois faces 1927년
- 어셔가의 몰락 La Chute de la maison Usher 1928년
- 세계의 끝 Finis terrae 1929년
- 태풍 Le Tempestaire 1947년

◈ 장 비고 Jean Vigo (1905 - 1934)

장 비고(1905-1934)는 29세에 요절할 때까지 단편을 포함하여 단지 4편의 영화만을 남겼을 뿐이지만, 그 4편의 영화 모두가 세계영화의 보석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천재감독이다. 그는 태양과 달, 눈, 밤의 이미지들을 마치 언어처럼 다루면서 가장 강렬한 시적 리얼리즘의 영상을 창조했던 영화감독이었다. 전위적으로 매체를 이용하며 신랄한 묘사 속에 서정성을 담은 새로운 영화스타일을 창조했던 장 비고는 장 르누아르를 비롯한 당대의 감독들뿐만 아니라 장 뤽 고다르, 프랑수아 트뤼포 등 누벨바그 작가들과 그 이후의 감독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품행제로>는 트뤼포의 <400번의 구타>와 린제이 앤더슨의 <만약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너무나도 아름다운 영화 <라탈랑트>는 레오스 카락스의 <퐁네프의 연인들>에 영향을 준 것으로도 유명하다.

- 니스에 관하여 A propos de Nice 1930년
- 타리, 물의 왕 Taris, roi de l'eau 1931년
- 품행제로 Zero de conduite 1933년
- 라탈랑트 L'Atalante 1934년

◈ 장 콕토 Jean Cocteau (1889 - 1963)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 문학비평가이면서 화가, 조각가로 모든 예술방면에서 천재적인 재능을 과시했던 장 콕토는 40대에 영화작업을 시작했다. 장 콕토는 1930년대에 앙드레 브르통, 루이스 부뉴엘 등과 함께 초현실주의 운동을 주도하며 시와 영상을 결합하는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영화의 세계에 입문하였다. 그의 영화 데뷔작 <시인의 피>는 환상적인 이야기를 사실적인 다큐멘터리처럼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장 콕토는 이 작품에 이어 <오르페>, <오르페의 유언>으로 이어지는 ‘시인 삼부작’을 만들었다. 이 세 편의 영화는 시인의 내적인 영감과 보이지 않는 창조 과정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로, 콕토는 자신의 영화에서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화할 수 있는 영화 테크놀로지의 창조적인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시인의 고통스런 창작 과정과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시인 삼부작’은 이후 마야 데런이나 캐네스 앵거 등 미국의 아방가르드 영화감독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 시인의 피 Le Sang d'un poete 1930년
- 미녀와 야수 La Belle et la bete 1946년
- 쌍두 독수리 L'Aigle a deux tetes 1947년
- 무서운 부모들 Les Parents terribles 1948년
- 오르페 Orphee 1949년
- 오르페의 유언 Le Testamanet D'Orphee 1960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23 [또 詩공부]- 틀에 박힌 시선으로 바라보지 말기 2016-04-08 0 7282
1322 [한밤중 詩 한컵 드리꾸매]- 동물의 왕국 2016-04-08 0 4609
1321 <악기> 시모음 2016-04-07 0 5019
1320 ... 2016-04-07 0 5339
1319 ... 2016-04-07 0 4834
1318 [머리 뗑하게 하는 詩공부]- 詩作 첫줄 어떻게 쓰나 2016-04-07 0 4639
1317 [싱숭생숭 진달래 피는 봄날 詩 한송이]- 진달래 2016-04-07 0 4868
1316 [추적추적 봄비 내리는 아침, 詩 한송이]- 철쭉 2016-04-07 0 4527
1315 그는 늘 왼쪽에 앉는다... 2016-04-07 0 4818
1314 詩의 씨앗 2016-04-07 0 4785
1313 멕시코 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6-04-06 0 4902
1312 꽃과 그늘 사이... 2016-04-06 0 4892
1311 詩人의 손은 어디에... 2016-04-06 0 4562
1310 詩지기가 만났던 <남도의 시인> - 송수권 타계 2016-04-05 0 4890
1309 [한밤중 詩 한쪼박 드리매]- 보리가 팰 때쯤 2016-04-05 0 4674
1308 [화창한 봄날, 싱숭생숭 詩 한꼭지]-나는 아침에게... 2016-04-05 0 5104
1307 아시아의 등불 - 인도 詩聖 타고르 2016-04-05 0 5157
1306 한국 詩人 김억 / 인도 詩人 타고르 2016-04-04 0 7382
1305 인도 詩人 타고르 / 한국 詩人 한용운 2016-04-04 0 5042
1304 [봄비가 부슬부슬 오는 이 아침 詩 읊다]- 쉼보르스카 2016-04-04 0 4946
1303 [이 계절의 詩 한숲 거닐다]- 사려니 숲길 2016-04-04 0 4931
1302 [월요일 첫 아침 詩 한잔 드이소잉]- 하루 2016-04-04 0 4412
1301 [청명날 드리는 詩 한컵]- 황무지 2016-04-04 0 4887
1300 <작은 것> 시모음 2016-04-04 0 4744
1299 詩와 思愛와 그리고 그림과... 2016-04-03 0 5614
1298 詩, 역시 한줄도 너무 길다... 2016-04-03 0 6390
1297 詩, 한줄도 너무 길다... 2016-04-03 0 4928
1296 [이 계절 꽃 詩 한다발 드리꾸매]- 벚꽃 시묶음 2016-04-03 0 5756
1295 <할머니> 시모음 2016-04-02 0 4704
1294 {童心童詩}- 텃밭에서(詩를 쉽게 쓰라...) 2016-04-02 0 5134
1293 {童心童詩} - 꽃이름 부르면 2016-04-02 0 4469
1292 <발> 시모음 2016-04-02 0 4993
1291 도종환 시모음 2016-04-02 0 5613
1290 [이 계절의 꽃 - 동백꽃] 시모음 2016-04-02 0 5702
1289 이런 詩도 없다? 있다!... 2016-04-02 0 4374
1288 [한밤중 아롱다롱 詩한컷 보내드리꾸이]- 모란 동백 2016-04-02 0 4888
1287 [머리를 동여매고 하는 詩공부]- 자연, 인위적 언어 2016-04-02 0 4550
1286 [머리가 시원한 詩공부]- 죽은자는 말이 없다... 2016-04-01 0 4559
1285 [머리 아픈 詩 공부]- 문학과 련애 2016-04-01 0 5858
1284 [싱숭생숭 봄날 아롱다롱 봄, 풀꽃 詩 한 졸가리] - 풀꽃 2016-03-31 0 4187
‹처음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