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空手來空手去 - 독서가 만권에 달하여도 律은 읽지 않는다
2015년 10월 13일 21시 20분  조회:4863  추천:0  작성자: 죽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和子由憫池懷舊(화자유민지회구)
                           
                                    /蘇軾(소식)

(子由(소식의 아우)의 시<澠池懷舊>에 화답하여 (민지(澠池)=하남성의 땅이름)

 

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踏雪泥

인생도처지하사 응사비홍답설니

 

泥上偶然留指爪 鴻飛那復記東西

니상우연류지조 홍비나부기동서

 

老僧已死成新塔 壞壁無由見舊題

로승이사성신탑 괴벽무유견구제

 

往日崎嶇還知否 路長人困蹇驢嘶

왕일기구환지부 로장인곤건려시

 

사람의 인생이 무엇과 같은가

기러기가 땅에 내려섰음 같은 것.

진흙위에 발자국 남겼으로되

기러기 하늘을 날음에 어찌 동서를 가렸으랴.

노승은 이미 죽어 새로 탑하나 생겼는데

무너진 벽에는 옛 글귀를 찾아볼 길 없네.

예전의 기구했던 때를 아직 기억하느냐?

길은 멀고 사람은 지쳤는데 당나귀 절름거리며 그리도 울던 것을

 

우리 인생이란 마치 기러기가 땅에 내려앉다가 가는 것과 같다고 했다.(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踏雪泥) 날아가던 기러기가 잠시 내려앉아 눈밭에 발자국을 남기나 그 기러기가 다시 날아가는 기러기는 꼭 정해놓은 방향으로 가는 것은 아니리라.

그때그때 東으로도, 또는 西로도 갈 수 있을 것이다. 기러기가 날아간 뒤 눈 위에 남아있던 발자국마저도 눈이 녹으면 흔적(痕迹)도 없이 사라지게 되는 것과 같은 것이 바로 人生인데.

 

원래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인 것이 인생인데 먹을 것과 입을 것만 있으면 그것만으로 만족(滿足)할 줄 모르고 무언가 흔적을 남기려고 애를 쓰지만 결국 세월(歲月)과 시간 속에 묻혀 버리는 것도 우리 인생인데

 

이 시대 지성인(知性人)이라고 자부하는 이들 특히 위정자(爲政者)들 자기만은 무엇을 남겨야겠다는 지나친 욕심(慾心)으로 진실(眞實)하지 못하고 남을 헐뜯고 없는 것을 만들어 남을 짓밟는 것은 인생을  욕(慾)되게 사는 것이다. 가장 아름다운 인생이 되려면 욕심을 버리고, 진실(眞實)한 마음으로 살아가면서 자신의 양심에 자신을 비쳐 보아도 한점 부끄럽지 않은 人生, 그것이 참다운 삶이 아니겠는가?

 

 

소동파 [蘇東坡, 1036.~1101]

메이산(眉山:지금의 四川省) 출생. 자 자첨(子瞻), 호 동파거사(東坡居士), 애칭(愛稱) 파공(坡公) ·파선(坡仙), 이름 식(軾). 소순(蘇洵)의 아들이며 소철(蘇轍)의 형으로 대소(大蘇)라고도 불리었다. 송나라 제1의 시인이며, 문장에 있어서도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22세 때 진사에 급제하고, 과거시험의 위원장이었던 구양 수(歐陽修)에게 인정을 받아 그의 후원으로 문단에 등장하였다.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이 실시되자 구법당(舊法黨)’에 속했던 그는 지방관으로 전출되었다.

 

천성이 자유인이었으므로 기질적으로도 신법을 싫어하였으며 “독서가 만 권에 달하여도 율(律)은 읽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 일이 재앙을 불러 사상 초유의 필화사건을 일으켜 서울로 호송되어 어사대(御史臺)의 감옥에 갇히게 되었으며, 이 때 나이 44세였다. 심한 취조를 받은 뒤에 후베이성[湖北省]의 황주(黃州)로 유배되었으나, 50세가 되던 해 철종(哲宗)이 즉위함과 동시에 구법당이 득세하여 예부상서(禮部尙書) 등의 대관(大官)을 역임하였다.

황태후(皇太后)의 죽음을 계기로 신법당이 다시 세력을 잡자 그는 중국 최남단의 하이난섬[海南島]으로 유배되었다. 그곳에서 7년 동안 귀양살이를 하던 중, 휘종(徽宗)의 즉위와 함께 귀양살이가 풀렸으나 돌아오던 도중 장쑤성[江蘇省]의 상주(常州)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폭넓은 재능을 발휘하여 시문서화(詩文書畵) 등에 훌륭한 작품을 남겼으며 좌담(座談)을 잘하고 유머를 좋아하여 누구에게나 호감을 주었으므로 많은 문인들이 모여들었다. 당시(唐詩)가 서정적인 데 대하여 그의 시는 철학적 요소가 짙었고 새로운 시경(詩境)을 개척하였다. 대표작인 적벽부(赤壁賦)는 불후의 명작으로 널리 애창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 <<네오아방가르드>>--~(아이고나 머리가 뗑...) 2015-02-18 0 4696
42 <<최첨단 현대시론(?)>>과 <<아방가르드 시론>> 2015-02-18 0 4362
41 열린 시 운동과 公演詩 2015-02-18 0 3947
40 하이퍼텍스트 시의 지향 2015-02-18 1 4723
39 詩作과 자작시 해설 2015-02-18 0 4796
38 디지털시의 현장성 2015-02-18 0 4896
37 문제 시집, 시와 현대시 동향 및 그 新모색 2015-02-18 0 4603
36 디지털시대와 글쓰기 방법론 2015-02-18 0 4882
35 하이퍼시와 디지털시대 2015-02-18 0 4174
34 詩와 기호(記號) 2015-02-18 1 4596
33 하이퍼시와 젊은 시 운동 2015-02-18 0 4444
32 하이퍼시와 포스트 구조주의 2015-02-18 0 4369
31 하이퍼시와 형이상시 2015-02-18 0 4542
30 하이퍼시와 무의미시 2015-02-18 0 4632
29 문덕수와 심상운 2015-02-18 0 4778
28 하이퍼시는 單線에서 多線에로... 2015-02-18 0 5222
27 하이퍼시에서 상상, 공상 2015-02-18 0 4411
26 하이퍼시와 탈관념과 상상 이미지 2015-02-18 0 4226
25 모더니즘시 고찰 2015-02-18 0 4712
24 시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 2015-02-18 0 4582
23 하이퍼로 가는 문 2015-02-18 0 4486
22 변화하는 詩 2015-02-18 0 4882
21 김파와 김몽 2015-02-17 0 4591
20 하이퍼시와 심상운 2015-02-17 2 5192
19 하이퍼시의 해명 2015-02-17 0 4958
18 중국 시인 시선 2015-02-16 1 4641
17 "시인이란 명칭은 줄곧 있었다... " --- 시인 牛漢 2015-02-16 0 5179
16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2-16 0 5198
15 시작법 1 2015-02-16 0 4864
14 현대시 흐름과 대표시 감상 2015-02-14 0 5421
13 1960년대 녀성시 고찰 2015-02-13 0 5123
12 마광수 시평 2015-02-12 0 4582
11 디지털 시대와 시의 전망 2015-02-11 0 5323
10 90년대 이후 시흐름... 2015-02-11 0 5596
9 재확인하는 시집 2015-02-11 0 5569
8 詩壇과 그 뒷소문... 2015-02-11 0 4779
7 詩의 10개 봉우리 2015-02-11 0 4723
6 동시와 기호학 2015-02-04 0 5528
5 명동시와 그 해설(1, 2, 3, 4) ㅡ최룡관 (시인, 동시인, 평론가) 2015-02-04 0 5730
4 하이퍼시에 대한 탐색 ㅡ 최룡관 (시인, 평론가) 2015-02-04 0 4384
‹처음  이전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