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김일량
2015년 03월 13일 21시 29분  조회:4823  추천:0  작성자: 죽림




향토시인 김일량 제17회 정지용문학상 수상

조글로미디어(ZOGLO) 2013년9월6일 10시41분    


 


한국 옥천문화원 김승룡원장(좌)으로부터 상장을 받고있는 김일량시인(우).
 

5일, 연변작가협회, 한국 충청북도 옥천군청, 한국 옥천문화원에서 공동으로 주최한 제17회 연변지용문학제가 연변대학예술학원에서 마련된 가운데 향토시인 김일량의 련작시 “가을밤”이 제17회 정지용문학상을 수상해 시집으로 출간되였다.

정지용문학상 수상자 김일량은 안도현 량병진 모 촌에서 수십년간 밭농사와 함께 시농사를 지은 시인이다. 

연변작가협회 시가창작위원회 김영건주임은“가을밤”은 참신한 시어로 농촌 가을밤의 풍경과 현실세계를 유기적으로 련결시켜가면서 빈약한 농촌제재를 아름다운 시로 승격시켰다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선정리유를 밝히고나서 “향토시인 김일량은 주변의 삶에 대한 체험을 시적으로 수용하면서 가을이란 총적이미지를 통해 자연과 어우러진 시골의 풍속화를 잘 그려냈다”고 시 “가을밤”을 평가했다.

 



가을빛과 더불어 짙어가고있는 시상
——— 땅과 함께 시를 쓰는 농민시인 김일량선생

 2007/09/22 흑룡강신문
김일량시인과 그의 안해.

길림성 안도현 량병진 고수촌에 자리잡고있는 농민시인 김일량선생의 집은 헐망하기 그지없는 초가집이였다. 부엌을 빼면 정주와 웃방, 가장집물이라야 찬장, 이불장과 궤짝 2개, 그중 한 궤짝에는 귀중한 책들이 들어있었다. 낡은 텔레비전이 정주 한쪽을 차지하고있었고 앉은뱅이상 하나가 웃방구석에 놓여져있었다. 벽에 걸려있는 색다른 액자 하나가 눈길을 끈다. 상장은 1995년 11월 민속학회 백두분회에서 증정한것인데 이런 내용이 적혀있었다. ‘살아서 글로 싸우고 죽어서 글로 남기라’ 필과 함께 인생을 산다는 뜻깊은 글귀였다.

조금 삐뚠 작은 뙤창으로 밖을 내다보면 마당에서 닭들이 모이를 쫓느라고 분주하고 터밭 저쪽은 강뚝이다. 강뚝에 올라서면 맑은 개울이 조잘거리면 흐르는데 김일량시인은 이 뚝을 오르내리면서 수많은 시를 창작했다고 한다. 

새벽이면 목높은 장화를 받쳐신고 소를 멀리 산기슭에 몰아다 매여놓고 낮이면 풀낫을 허리에 차고 논둑을 밟으면서 여물어가는 곡식을 보는것이 요지음 김시인의 재미라고 한다. 금년엔 각별히 벼농사가 풍년이여서 웃음이 얼굴에서 떨어지지 않는 모양이였다. 땡볕에 까맣게 탄 얼굴, 투박한 손, 힘 고인 팔뚝... 어디로 보나 김시인의 몸에서 시인의 풍채를 찾아볼수 없었다. 순수한 토배기농민의 멋이 풍기는 촌사람일뿐이였다. 그러나 그의 그 투박한 손에서 아름답고 멋진 시들이 창작되여 연변일보 ‘해란강문학상’, CJ상, 제1회 ‘송웅컵’아동문학상, 등 수많은 문학상을 수상했다. 김시인은 지금까지 400여수의 시를 발표했고 소설, 수필도 적잖게 발표한 연변문단의 중견시인이였다. 요지음에는 또 첫 시집 ‘남자의 피는 술이다’를 펴내기도 했다.

“어려서부터 문학을 무척 즐겼습니다. 중학시절에 책을 많이 읽었는데 책이 내 손에서 떨어진적 없습니다. 중학시절의 책읽기는 관건입니다. 그때 읽은 책들이 머리속에서 잊혀지지 않습니다. 책이 선생이지요. 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다보니 옆에 선생도 없고 하여 홀로 배우느라 끙끙거렸습니다.”

시가 발표되면서 차츰 마을에서는 수재로, 사회에서는 ‘농민시인’으로 불리게 되였다. 김시인은 창작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문학리론학습도 게을리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 현소재지거나 주에서 꾸리는 통신원강습반, 문학강습반같은데도 부지런히 다니면서 기량을 닦기도 했다고 한다.

낮에 찾아두었던 시종자를 싹틔우면서 웃방구석에서 끙끙거릴 때면 안해는 옆에 슬그머니 다가앉아 어떤 시를 쓰느라고 그러는가 하면서 기웃거린다. 그럴 때면 김일량선생은 희죽이 웃으면서 원고를 내밀어주기도 한다.  김시인의 첫 독자는 언제나 안해였고 안해가 좋다고 하는 시면 어디에 투고해도 합격이였다고 한다.

“시인남편 만난것이 행복입니다.” 라는것이 그의 부인의 속심이였다. 시 잘 쓰고 일 잘 하는 남편에 대한 믿음은 각별했다. 남들은 다 땅을 버리고 도시로 간다고 하지만 김시인은 평생을 흙과 함께 살거라는것이였다. 

김시인의 시는 “소박하면서도 현대시풍이 넘치며 아름다우면서도 매력적이다. 시구는 장황하지 않고 단일하지만 시의 저변에 생활의 철리가 깔려있다. 해독이 쉽고 랑송도 가능해 애독자가 많다.”는것이 전문가들의 평이였다.

“가을이면 시가 잘 씌여집니다. 올 가을에도 좋은 시를 많이 써야겠는데...”

황금물이 들기 시작하고있는 논을 바라보면서 시인은 벌써부터 흥분하고있었다. 시에 대한 그의 애착은 이제 가을빛과 더불어 더욱 짙어질것이다.

/리련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 <<네오아방가르드>>--~(아이고나 머리가 뗑...) 2015-02-18 0 4532
42 <<최첨단 현대시론(?)>>과 <<아방가르드 시론>> 2015-02-18 0 4252
41 열린 시 운동과 公演詩 2015-02-18 0 3799
40 하이퍼텍스트 시의 지향 2015-02-18 1 4529
39 詩作과 자작시 해설 2015-02-18 0 4716
38 디지털시의 현장성 2015-02-18 0 4778
37 문제 시집, 시와 현대시 동향 및 그 新모색 2015-02-18 0 4360
36 디지털시대와 글쓰기 방법론 2015-02-18 0 4772
35 하이퍼시와 디지털시대 2015-02-18 0 4092
34 詩와 기호(記號) 2015-02-18 1 4439
33 하이퍼시와 젊은 시 운동 2015-02-18 0 4356
32 하이퍼시와 포스트 구조주의 2015-02-18 0 4169
31 하이퍼시와 형이상시 2015-02-18 0 4399
30 하이퍼시와 무의미시 2015-02-18 0 4554
29 문덕수와 심상운 2015-02-18 0 4613
28 하이퍼시는 單線에서 多線에로... 2015-02-18 0 5042
27 하이퍼시에서 상상, 공상 2015-02-18 0 4307
26 하이퍼시와 탈관념과 상상 이미지 2015-02-18 0 4096
25 모더니즘시 고찰 2015-02-18 0 4557
24 시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 2015-02-18 0 4453
23 하이퍼로 가는 문 2015-02-18 0 4396
22 변화하는 詩 2015-02-18 0 4671
21 김파와 김몽 2015-02-17 0 4393
20 하이퍼시와 심상운 2015-02-17 2 5035
19 하이퍼시의 해명 2015-02-17 0 4872
18 중국 시인 시선 2015-02-16 1 4537
17 "시인이란 명칭은 줄곧 있었다... " --- 시인 牛漢 2015-02-16 0 4999
16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2-16 0 5043
15 시작법 1 2015-02-16 0 4722
14 현대시 흐름과 대표시 감상 2015-02-14 0 5289
13 1960년대 녀성시 고찰 2015-02-13 0 5008
12 마광수 시평 2015-02-12 0 4500
11 디지털 시대와 시의 전망 2015-02-11 0 5200
10 90년대 이후 시흐름... 2015-02-11 0 5365
9 재확인하는 시집 2015-02-11 0 5386
8 詩壇과 그 뒷소문... 2015-02-11 0 4652
7 詩의 10개 봉우리 2015-02-11 0 4626
6 동시와 기호학 2015-02-04 0 5245
5 명동시와 그 해설(1, 2, 3, 4) ㅡ최룡관 (시인, 동시인, 평론가) 2015-02-04 0 5609
4 하이퍼시에 대한 탐색 ㅡ 최룡관 (시인, 평론가) 2015-02-04 0 4227
‹처음  이전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