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기활
http://www.zoglo.net/blog/wujihuo 블로그홈 | 로그인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홈 > 전체

전체 [ 540 ]

220    '박태하'호에 건의한다 댓글:  조회:4659  추천:0  2017-07-31
《심생즉 종종법생,. 심멸즉 종종법멸》(心生則 種種法生,.心滅則 種種法滅)이란 경언이 있다. 즉 마음이 생겨나면 갖가지 사건들이 생겨나고 마음이 사라지면 모든 사실들이 사라진다는 말이다.   어느 독일학자의 말이다.   “배가 불러서 병이나 죽는 사람이 많지 배가 고파서 병이 나거나 죽은 사람이 적다.”   사람의 참마음(本心)은 무심이다. 무심은 부동심(不動心)이며 평상심(平常心)이며 여여심(如如心)이다.   그렇다고 무심이 소극적인 마음이 아니다. 어떤 일이건 찌꺼기를 마음에 남기지 않고 흠이 없이 만사를 처리하는 큰 마음이며 끝없는 마음이다.   어느 한 바둑선수가 시합에 나가게 되니 마음이 하도 긴장하기에 바둑을 잘 두는 선배를 찾아 승리의 비결을 물었더니 “시합한다는 생각을 말고 구경하는 마음으로 시합을 하라”고 했다.   구경꾼의 마음(무심)으로 보아야 바둑 자리가 잘 보인다는 것이다. 아니면 시합한다는 마음이면 긴장과 초조로 바둑과 내가 합일할 수가 없단다. 바둑과 바둑을 두는 내가 둘로 분렬되면 주객이 대립된다는 것이다.   대상과 하나가 되여야 마음에 갈등과 대립이 사라진다. 특히 정신집중을 필요로 하는 공부나 체육운동은 무심입신(無心入神)의 경지에 이르러야 제대로 기량을 발휘할 수 있다.   일본 바둑계를 천하통일한 세계적인 바둑기사 조치훈 기성(棋聖)에게 바둑을 잘 두는 비결을 물으니 “무심”이라고 했다. 승부에 집착하거나 시간에 얽매여 조급한 마음을 내면 오히려 승리를 놓친다는 것이다.   즉하무심(卽下無心)이란 말이 있다.   어떤 일이건 그것이 끝난 즉시 무심해 버리라는 말이다.   병은 마음으로 온다. 무심하지 못한 유심 때문에 병이 생기고 일이 낭패로 끝난다. 무정을 유지 못한 유정(有情) 때문에 정서가 불안하고 걱정한다.   그래서 필자는 “박태하”호가 지난 2년간의 열렬한 박수와 환성에 비춰 오늘에 궁지와 압력으로 말과 마음이 필요 없는 곳을 향해 가지 않는가를 걱정하게 된다.   무심은 지혜로운 삶의 자세로서 무심이면 모든 것이 제자리에 서게 된다.   별도로 한국 국가대표 피겨수케이팅선수 김연아의 어록을 추천한다.   ㅡ훈련을 하다보면 근육이 터져버릴듯한 순간, 숨이 턱까지 차오르는 순간, 주저 앉아 버리고 싶은 순간…에 가슴속에서 “이 정도면 됐어”, “다음에 하자”, “충분해”…는 속삭임이 들려온다.   이런 유혹으로 문뜩 포기해버리고 싶었지만 이때 포기하면 안한것과 다를바 없다.   온도를 열심히 99도까지 올려 놓고 마지막 1도를 넘기지 못하면 물이 끓지 않는다. 물을 끓이는 마지막 1도, 포기하고 싶은 바로 그 1분을 참아내는 것이다.   이순간을 넘어야 다음 문이 열리고 내가 원하는 세상으로 갈수 있다.   ㅡ 그저 꿈꾸는 것만으로 행복할 수가 없다. 그래서 나는 그 꿈을 이루고 싶었다. 승부욕이 강한 나는 1등을 하는것을 나의 꿈을 이루는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나의 경쟁대상이 바로“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음껏 먹고 실컷 자며 친구들과 자유로운 시간을 보내며 놀고 싶은 나, 아무 간섭도 안 받는 나, 하루라도 연습을 좀 안 했으면 하는 나, 내가 극복하고 이겨내야 할 대상은 다른 누가 아니라 내 안에 존재하는 무수한“나”였던 것이다.   이런 나를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래 즐겁게 하자, 피할수 없으면 즐기라고 하지 않았던가. 길림신문 2017-7-29
219    신독(慎独)은 자신을 보호하는 마음의 보초 댓글:  조회:4667  추천:1  2017-07-27
습근평동지는 제18기 제5차 중앙정치국 집단학습시 한 연설에서 “우리 나라의 부패척결 및 청렴창도 관련 력사를 연구하고 우리 나라 고대의 렴정문화를 료해하며 력사의 지혜를 살려 부패척결 및 청렴창도건설을 추진하자.”고 호소했다. 우리 나라 고대 렴정문화의 대표적인 일례를 들어보자. 춘추시대 로나라의 재상 공의휴(公議休)는 법도를 준수하고 원칙에 따라 일을 하며 뢰물을 안 받고 목적이 있는 인간관계를 만들지 않은데서 모든 관리들이 그를 존중하며 그의 품행을 본받았고 백성들로부터‘하늘이 보낸 천사’로 불리웠다. 공의휴가 생선을 특별히 좋아 하였다. 그는 기분이 상할 때 밥상에 생선이 오르면 활짝 핀 웃음으로 불쾌했던 마음을 풀군 했다. 어느날 지나가던 길손이 북방에서 잡은 물고기라며 물고기 한마리를 그에게 드리려고 했다. 공의휴는 한사코 거절하였다. “생선을 하도 좋아 한다기에 드리려는데 어찌하여 안받으십니까?”,“내가 생선을 좋아하기 때문에 그대의 호의를 안받아들입니다. 나는 재상으로 지금의 록봉으로 얼마든지 생선을 사 먹을 수 있습니다.” 공의휴는 그토록 좋아하는 생선이였지만 스스로 마음을 자제하며 원칙에 위배되는 일을 하지 않았다. 나쁜 일을 하는가 안하는가는 그 사람 신독(慎独)의 여하에 달렸다. 신독이란 남이 알지 못하는 자신의 마음속에서 인욕(人欲), 물욕(物欲)에 빠지지 않는 사람의 수양과 실천덕목을 말한다. 남송 때 주희(朱熹)는 신독의 독(獨) 을 자기 혼자만이 아는 곳, 또는 여러 사람과 함께 있더라도 남들이 모르는 자신의 마음으로 선과 악을 가르는 신중한 처리라고 하였다. 이에 류소기동지도 “사람은 혼자 일하거나 누구의 감독도 안받을 때 각종 나쁜 일을 할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다. 옛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아는 자는 지혜롭고 자신을 아는 자는 현명하다.”고 했다. 관리들의 제1생명은 청렴이다. 당중앙은 당정간부들이‘부자로 되려면 관리를 하지 말라’고 하였다. 관리들이 먹이를 목적으로 사는 참새신세가 되면 ‘불감부(不敢腐)’의 덫에 맞고 ‘불능부(不能腐)’의 초롱에 갇히게 된다. 신독은 사람들의 잡념과 욕망를 없애고 호의로 화의 초래를 막는 예지의 처세로 관리들이 자기를 보호하는 마음의 제1보초병이다.  길림신문 2017-7-26
218    추천하고 싶은 “김호림 주도” 댓글:  조회:4684  추천:0  2017-07-13
필자는 애주가다. 필자의 글 “술 만세 만만세!”, “50년의 주사와 나만의 주도”, “나는 띠띠지죠(滴滴計較)다”가 필자가 애주가임을 대변한다. “담배는 페를 상하고(烟傷肺) 술은 간을 상하며(酒傷肝) 무주는 마음을 상해 적량이 유익하다(無酒伤心 适量有益) ”. 이는 필자가 늘 하는 술상 미사려구다. 술의 관건은 “적량”이다. 음주자에 따라 술이 좋다, 나쁘다가 구분된다. “적량”이란 당신의 해주능력에 따른 몸피해가 없을 정도의 주량을 말한다. 술상에서의 문제는 “술은 뜻으로 마신다”, “권하는 멋에 마신다”는 선제로 마이는 “강권 술”, “억질 술”,  “대장부 술”이다. “익”이 아닌 “해”를 주는 “강권 술”, “억질 술”, “대장부 술”로 하여 “연변에 가면 술이 겁나다”, “모모와 마시면 흙이 된다”며 만날 사람도 감히 찾지 못(않)하고 청하는 술상을 꺼리게 된다. 그래서 술상에서 “와 줘서 감사하다”는 인사까지 오간다. “술상이 겁나다”는 이런 “공포”속에서 그래도 늦게나마 “김홍림 주도”를 배우게 된 것이  필자로는 다행이다.  필자는 월전에 서로간 전화로만 알던 김호림(중국 국제방송국 기자)선생이 연길서 마련한 술상에 초대되였다. 김선생이 첫잔술을 부어 올리며 하는 말이다. “처음 만나니 정말 반갑습니다. 이 잔은 내가 축배술로 올리고 다음 잔부터는 저마다 부으며 권하지 말고 자기의 요구대로 기분 좋게 알아서 마십시다” 한마디로 뷔페술을 하자는 것이다. 하여 저마다 자기의 소원과 주량에 따라 흰술, 맥주, 작은 잔, 큰잔. 조금씩, 굽을 내는 등 허물이 없고 부담이 없는 “자유 술”을 마시며 이야기와 웃음으로 술상을 꽃피웠다. 그 후부터 필자도 몇번이나 “김호림 주도”로 술상을 진행하니 모두가 강권도 부담도 없는 “좋은 술상”이라며 매우 좋아 했다.  그로부터 필자는“김호림주도”를 “적량유익”의 버팀목이라고 칭했다 호림씨는 북경친구들이 자기의 술법을 “김호림주도”라고 작명했다며 작명 배경을 재밋게 들려주었다. 오기활
217    90대 고령이 읊는 '구멍난 양말' 례찬 댓글:  조회:4630  추천:1  2017-06-26
“아마도 박선생이 지구촌의 ‘해당화대통령’으로 불릴 것 갔습니다. 지금부터 품위 있게 ‘대통령걸음’을 련습하세요… 허 허 허” 지난 5월 7일 아침 식사 때 조선족의 “리시진” (김수철. 93세, 연변농학원 교수, 식물박사)이  40년하제자(박영호, 54)에게 술을 권하며 하는 유모아이다. 훈춘시 농업방송학교부교장 박영호(정교수급 농업기술추광연구원)는 연변농학원을 졸업하자 바람으로 훈춘국영농장에 터를 잡고30여 년간을 한눈 팔지 않고 열심히 원예사업에  충성하면서 20여 종의 우수한 과수품종을 육종, 그가 육종한 사과, 복숭아, 해당화는 관상성이 좋은데서 시장전망이  밝고 특히 그가 육종한 “훈춘해당화”과일은 아주 훌륭한 건강식품으로 독일이나 이딸리아의 해당화(과일)를 초과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2003년에 김수철교수는 박영호더러 “경신해당화에 신경을 쓰라”는 건의, 그에 따라 박영호는 “경신해당화”(훈춘해당화)육종사업을 시작, 10여 년간의 알찬육종성과로 그의 육종과업이 국가계획과 성급 과학연구항목으로 선정 되였다. 계속하여 김교수는 박영호를 “미츄린”에 비하며(당자는 ‘원예애호자’로 자칭)박영호가 신고 있는 “구멍난 양발”을 절찬한다. ㅡ 어제 점심식사 때 보니 박선생의 양말에 큰 구멍이 났더군요. 이는 그만큼 박선생이 많이 걸었음을 증명합니다. 박영호는 신은 양말이 구멍이 난 것을 모를 수도 있고 아니면 알면서도 시간이 없어서 바꿔 신지 못할 수도 있지요. 만약 몰랐다면 박선생이 일상생활에서 데면함을 말하고 만약 알고도 바꿔 신지 못했다면 박선생의 사업이 그만큼이나 분망함을 설명합니다. 박선생의 구멍이 난 양말에서 부인의 넉넉한 심성을 볼수 있습니다. 사시장철 산을 찾고 흙과 싸우는 남편을 부인이 탓하면서 바가지를 긁었다면 박선생의 업적을 운운도 못하지요. ㅡ 박선생이 돈이 없어 양말을 못 삿을가요? 지금은 10원이면 양말 네 컬을 사는데 어제 점심에 박선생이 우리를 대접한 돈(326원)이면 아마도 130여 컬레의 양말을 살수 있지요…허 허 허 ㅡ사람이 명성을 날리면 “관리”로 등용될수 있습니다. 만약에 관리로 된다면 일반적으로 자기의 삶이 아닌 남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이자리에서 제자에 대한 바람은 머리를 숙이고 골똘히 생각을 하면서 자기의 삶을 살았으면 합니다. ‘해당화대통령’자리가 박선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우리 말에 “과부 사정은 과부가 안다”는 속담이 있듯이 “미츄린”의 사정을 “리시진”이 불 보듯 하였다. 김교수가 읊는 “구멍양말” 례찬이 “리시진”과 “미츄린”이 한 동전잎의 량면임을 말해준다. 해빛은 하나의 초점에 모아질 때만 불꽃을 피운다. 일로매진(一路邁進)이란  한 가지 뜻을 세우면 온힘을 다해 그 길을 걸어가야 함을 말하는 사자성어다. 또 정신일도 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란 한 가지 일에 매달려 온 정성을 쓰면 이루어지지 않는 일이 없다는 경구다. 김수철교수와 박영호연구원은 “일로매진”정신과  “구멍난양말”로 오늘에 “리시진”과 “미츄린” 이란 별칭을 얻었다. 김교수님의 이번 훈춘행은 김교수가 경신진 옥천동에 있는 “산자해당”(山楂海棠)을 촬영함과 동시에 박영호의 “훈춘해당화”육종기지를 고찰하기 위함이였다.    / 오기활
216    자제해야 할 ‘치마바람 교육열’ 댓글:  조회:5375  추천:0  2017-06-07
세상은 바보나 천치만 있어도 망하고 천재만 있어도 망한다고 한다. 그래서 세상은 보통 수준의 두뇌들이 있기에 유지되는 법이다. 하루에 난 손가락도 길고 짧듯이 사람의 두뇌도 좋은 머리, 처진 머리, 나쁜 머리가 있다.   그런데도 극성맞은 어머니들의 망자성룡(望子成龍)욕심이 오히려 자녀를 해치는 문제로 나선다.   일전에 30대 젊은 녀성이 4살짜리 딸애를 춤, 피아노, 영어 등 4곳의 학원에 보내느라고 지쳐서 죽겠다는 넉두리에 청자도 지쳤다.   현대 어머니들은 아이들이 놀면서 배우고 터득하게 끔 시간을 마련해야 함을 잘 모르는 것 같다는 생각이다.   독일은 150년전에 세계에서 제일 먼저 유치원을 꾸린 나라이다. 독일에서 첫 유치원을 꾸린 사람으로 프뢰벨은 “어린이들을 수자와 글자가 아닌 자연속에서 뛰놀게 하라”고 호소했다. 이에 따라 독일에 숲속 유치원이 700곳이나 된다 한다. 숲속 유치원에는 그럴듯한 건물도 없고 컴퓨터, 장난감, 글자판도 없이 아이들이 그저 4계절을 숲에서 뛰놀며 자연을 장난감으로 자연과 생활체험 한다.   이에 대비하면 이 곳의 많은 극성맞은 어머니들이 자기의 자녀를 천재로 착각하거나 또는 ‘남들이 하는데…’라며 ‘치마바람 교육’의 붐을 이루며 어린 자녀들의 허리를 부러지게 하고 있다. 무엇이든 욕심이 과하면 탈이 나기 마련인데 말이다.   공자는 “배우려고 분발하지 않으면 계발해 주지 않는다. 알면서도 말을 못하는 경우가 아니면 말을 일러주지 않는다. 한 모서리를 가르쳐 주면 나머지 세 모서리를 알아챌 만큼 반응하지 않으면 더는 가르치지 않는다” 고 일찍 우리를 가르쳤는데 말이다.   같은 나무도 용도가 기둥감, 서까래감, 대들보감이 다르듯이 사람도 공부를 잘 할 사람, 일을 잘 할 사람, 돈을 잘 벌 사람감이 있다. 그래서 가방끈이 짧은 사람이 가방끈이 긴 사람을 고용하고 ‘무식쟁이 부자’도 많고 ‘지식분자 가난뱅이’도 흔한 것이다.   부모는 자식의 특성을 제때에 잘 발견하고 자식에게 맞는 가르침을 하고 성공하게 하는 것이 부모의 책임이고 능력이다.   자식을 행복하게 키우려면 부모들이 자기의 자녀가 몸이나 힘으로 잘 살 팔자인지 아니면 머리로 잘 살 팔자인지를 옳게 판단하고 부모들의 바람과 욕심으로 무작정 자녀를 강요하지 말고 자녀가 좋아하는 일을 잘 하도록 인도해야 한다.   근년에 세계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40개 나라를 대상하여 교육학력 평가를 한 결과 부동(不動)의 1위가 핀란드였다. 핀란드에는 학원이 없다. 학생들이 학교수업이 끝나고 스포츠, 음악, 미술을 배우기 위해 공공시설을 찾기는 해도 학업점수를 높이려고 사교육을 받는 학생은 거의 없다고 한다.   요즘의 세계교육은 글자만 가르치는 두뇌교육보다 자연체험과 자립심. 협동심을 가르치는 인성교육을 더 중요시 하는 추세로 변하고 있다. 유럽의 유아교육가들은 친구나 선생님들과 함께 하루 4시간 가량 숲속에서 신나게 놀면서 자란 개구쟁이들의 상상력, 친화력, 집중력, 창의력이 콘크리트건물속에 갇혀 공부한 유치원생들보다 훨씬 높다고 한다.   “지금 우리 사회의 교육열은 한밤중에 동네 개들이 짖는 모습과 흡사하다. 밤중에 어느 친구네 집에 가면 집 지키기 개가 사람이 왔다고 짖는다. 그 따라 앞집 개가 짖으니 옆집개가 따라 짖고 무작정 뒤집개도 따라 짖는다. 이렇게 나중에는 온 동네집 개들이 모두 짖어댄다. 처음 짖은 개는 손님이 왔다고 짖는데 동네개들은 남이 짖으니 따라 짖는다. 남 따라 무턱 대고 자녀를 학원에 보내는 사회는 영문도 모르고 한밤중에 짖어대는 동네집 개들의 모습을 똑 닮았다."한국 생태마을 선두주자로 해내외에 다니며 행복강의를 하는 황창연의 말이다. 길림신문 2017-6-7
215    상주더러 노래방까지 접대하라니… 댓글:  조회:4937  추천:0  2017-06-01
상주더러 노래방까지 접대 하라니… 지난 5월 23일, 한국서 수 년 만에 왔다는 60대 친구부부가 술상에서 하던 말이다. “시대가 발전한다고 하더니 오랜만에 와보니 시대가 많이 변한 것 갔습니다. 이번에 선후하여 조카 결혼잔치와 이상 처남 장례식을 지냈는데 지금은 결혼식에 손님들게 ‘노래방접대’가 거의 법으로 되였다니 리해가 않되였는데 상가집에서도 조객들을 ‘노래방접대’를 하니 정말 어처구니 없습니다.” 이들부부간의 오가는 말에 필자는 믿어지지 않아서 “상주가 왜 ‘노래방접대’를 했는가?”며 상주의 무지함을 꼬집으니 이렇게 대변햇다. “별수가 없었답니다. 조객들이 노래방에 가겠다며 돈을 달라는데 그렇다고 시비를  하겠습니까? 별수없이3천원을 팔았지요” 하객인지 조객인지를 분간 못하는 인간들이 너무나도 몽매하고 가련하였다. 친구나 동료가 상을 당하면 만사를 제쳐놓고 달려가서 도와주고 위로해주는 것이 조객(弔客)의 례이다. 조상을 갈 때 옷차림도 검정색으로 정중하게 입는데 조상을 가서 노래방접대를 하라니 말이 되는가? 필자는 무지한 조객들의 깨우침에 단 얼마라도 보탬이 될가 하여 필자가 보고 들은 사례를 곁들어 본다. 책에서 읽은 글이다. 한국의 관혼상제 지침서라 불리는 책ㅡ “禮”(1986년 藝書苑출판)중 “조객의 례절”에 따르면 “부의(賻儀)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상호부조의 미풍으로 무리가 안 되는 범위에서 성의만 나타내면 된다”,“조상객에 대한 음식대접은 필요없으며 섭섭할 경우에 간단한 차나 음료수 대접으로 대신하면 된다. 밤샘을 하는 조객이나 장사를 도와주는 분들을 위해서 약간의 음식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 필자가 한국의 부조문화를 인터뷰를 한 한국 안성시 중리동 김종학씨의 말이다.  “부조돈은 가치있게 내야 한다. 결혼식은 친척들이 모여서 치르고 생일은 능력이 있으면 손님을 청하고 능력이 없으면 친척끼리 쇠면 된다. 초상집은 빈손으로 가서 일을 해주면 된다” “어느 환갑에 가보니 기생들까지 청했는데 차라리 그 부조돈이면 가난한 이웃들을 돕겠다.” 필자가 목격한 일이다. 작년 7월 “지부생활” 잡지사 주필을 지낸 고정경락선생의 장례 때 그의 기하 처남이 조객들에게 술을 부어 올리고 하는 말이다. “형님의 사망했다는 급보를 듣고 불시에 한국서 왔습니다. 오랜만에 여러분들을 만나니 정말 반갑슴니다. 이 술자리가 상례집 술자리가 아니면 여러분들과 술잔을 부딪치며 건배를 권하겠는데…미안합니다… 량해 하세요…”라며 슬픔으로 뒤 말을 겨우 마무리 했다.  
214    비판은 기술이며 예술이다 댓글:  조회:7996  추천:1  2017-05-28
제나라 경공은 새를 특별히 즐겼다. 그는 촉주라는 사람에게 자기가 잡아온 새들을 전문으로 사양하게 하였다.    그런데 하루는 촉추의 소홀함으로 새들 중 한 마리가 날아가 버렸다. 하여 경공은 화김에 축주를 죽이라는 엄령을 내렸다. 이에 안자(晏子)는 경공의 처사가 부당하다고 생각하면서도 경공을 알현한 후 이렇게 말했다.   “촉주를 죽임은 마땅합니다. 저의 생각에는 그는 세가지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바라건대 촉주를 데려다 놓고 그의 앞에서 그의 죄장을 낱낱히 알려주어 그가 진정 마음속으로 깨우친후 사형을 집행하도록 윤허해 주십시오."     경공은 안자의 청구를 허락했다.   축주가 불려왔다. 안자는 경공이 보는 앞에서 촉주의 죄상을 이렇게 렬거했다.   “너는 나라 주공이 잡아온 새를 날려 보냈으니 이것이 너의 첫 번째 죄로다.   다음은 네가 주공으로 하여금 단지 새 한 마리 때문에 사람을 죽이는 처벌을 내리게 했으니 이것이 너의 두 번째 죄이로다. 그 다음은 네가 죽은 후 여러 나라의 제후들이 제나라의 주공이 사람보다 새를 더 중히 여긴다는 후론을 하겠으니 네가 우리의 주공에게 여러나라 사람들의 견책을 받아야 하는 재난을 안겼으니 이것이 너의 세번째 죄이니라.”   안자는 축주의 죄장을 이렇게 세가지로 렬거한 후 경공에게 아룄다.   “촉주의 죄장이 이렇게 크오니 주공께서 속히 그를 죽이도록 하십시오!”   이에 경공은 “그만 두어라. 원래 내가 잘못 조치한 일이로다.”고 답했다.   재상의 현명한 기지가 한 사람의 목숨을 살리고 군주의 위엄을 지키게 하였다.   우리 말에 “입은 삐뚤어도 말은 바로하라”는 속담이 있다. “말은 바로하라”는 “바른말을 하라”는 것으로 정언, 직언을 말한다. 그런데 그제나 지금이나 정언이니 직언적인 비판의 소리를 즐기는 사람이 많지는 않다. 반면에 상당한 권력이나 직위를 가진 사람일수록 남들의 입발린 말과 미사구려에 도취된다. 극 소수사람들이 자신의 리익에 연연치 않고 상대가 누구던 관계없이 자기가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직언,직필(直筆)을 하는데 이에 많은 사람들이 맘속으로는 “잘한다”며 성원하면서도 직언자의 뒤 일을 걱정하며 불안해 한다.   우리 말에 “달라는데도 고운사람이 있고 주자는데도 미운사람이 있다”는 속담이 있다. 문제는 어떤 말로 달라고 하고 어떤 말로 주겠다는 화자의 구술에 달렸다. 례하면 ”나를 달라”보다도 “송구스럽지만 저를 줄수 없을가요?”로 공손히 청탁하거나 “당신을 주겠는데는 …”하면서 뒤말에 거친 토를 다는 것 등이다.    안자처럼 당사자의 감정을 거슬리게 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그로 하여금 반성하도록 유도하는 “비판”이 바로 비판의 기술이며 예술이다.    비판의 효과는 교정과 반성으로 대변한다. 자신 있게 비판하고 당당 하게 받아들이게 하는 올바르고 예술적인 비판은 긍정적인 에너지를 방출한다.  
213    그가 찾는 사람은? 댓글:  조회:4323  추천:0  2017-05-24
중국 춘추시대에 안자(晏子)로 불린 명재상 안영(妟嬰)은 어느 날 갑자기 자기의 수하로 벼슬을 하는 고료를 해임했다.   그래서 주위 사람들이 안영에게 “고료가 그렇게 오래동안 선생을 모시면서 과실을 범한 일이 없었습니다. 그에게 적당한 지위를 주지 못할망정 사퇴시키시니 참으로 합당치 못합니다.”며 극구 말렸다.   이에 안영이 말했다.   “나 안영은 마치 굴곡이 많은 목재와 같이 매우 결점이 많은 사람이다. 때문에 반드시 규격에 따라 도끼와 대패로 잘 다듬어야 비로소 제대로 된 목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런데 고료는 나와 함께 3년 넘게 일했지만 한번도 나의 과실에 대해 말하거나 나의 잘못을 바로잡아주지 않았다. 사정이 이럴진대 그를 나의 밑에 두어 무슨 좋은 점이 있겠느냐? 그래서 사퇴시킨 것이니라.”   어느 부문이나 단위의 사업 성패와 흥망은 간부를 등용함에 공평무사했는가 아니면 불평유사했는가 또는 등용된 간부가 직언, 직필 하는가 아니면 명철보신하면서 ‘찬송가’만 부르는가에 달렸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런데 살펴보면 2500년 전에 안영이 고료를 해임할 때의 주위 사람들이‘그가 과실을 범한 일이 없었다’, ‘적당한 지위를 주지 못할지언정…’이라며 떠들듯이 오늘까지도 인사배치나 간부를 등용함에서 있어서‘사람을 먼저 책임’지려 하고 간부 고찰 표준이 ‘착오를 졌는가 안 졌는가’를 선제로 하니 문제라 하겠다.   실례로 향급 간부가 착오를 지면 시급 간부로, 공장장직에서 락방되면 국급 간부로 등용되거나 당과 정부의 중요 기관에서 출납, 타자, 운전기사를 지낸 하사들을 다른 단위에 보낼 때 00장이나 00주임 등의 급별을 달아주는 상황도 없지 않다. 하기에 백성들이 그런 ‘특수출신’ 00장이나 00주임을 “안된 00장”이라며 안목에 두지 않는다.   언젠가 연길시 모 단위의 책임자가 본 단위의 평가에서는 ‘100% 만족’평가를 받았는데 시민 사회민주평의에서 말단 3위로 평가되여 연길시규률검사위원회에서 그 책임자에게 통보비판과 함께 반년 간의 고찰 처분까지 주었다.   좋은 신하란 백성의 귀와 입이 되여 백성이 어디를 아파하고 어디를 긁어주어야 하는가를 제때에 있는 그대로 임금에게 알려주는 것이라 하겠다. 아니면 제 욕심만 차리려고 임금의 귀를 흐리게 하고 임금의 눈을 어둡게 하는 신하는 간신이라 하겠다.   필자는 상급에 아부하는 간부를 ‘손금 없는 간부’로, ‘장애자’ 간부로 칭한다. 원인은 그들은 늘 상급 앞에서는 허리를 굽실거리며 “예, 옳습니다”, “예, 제가 하지요!”를 읊조리며 두손을 맞잡고 손바닥을 싹싹 비벼대기에 손금이 닳아서 없다는 말이다.   로자의 도덕경에 “믿을 만한 말은 화려하지 아니하고 화려한 말은 믿음성이 적으니라”는 경언이 있다.   다국기업인으로 lBM를 설립한 왓슨의 말로 이 글을 맺는다.   “기업의 최고경영자가 듣기 좋은 말만 하고 휴가 때 낚시를 함께 갈 수 있을 정도로 마음이 통하는 그런 사람들만 중용하여 주위를 포진한다면 기업으로서는 막대한 손실을 감수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내가 찾는 사람은 개성이 강하고 사소한 절차에 구애됨이 없이 사람을 불쾌하게 할 정도로 직언을 서슴지 않는 그런 인재들이다. 주위에 이런 사람들을 많이 발굴하여 배치하고 또한 당신이 그들의 의견을 인내적으로 듣는다면 아마 조직경영은 매우 순조로워질 것이다.” 길림신문 2017-5-23
212    세상을 가장 지혜롭게 사는법 댓글:  조회:4899  추천:4  2017-05-11
얼마 전에 이란 제목의 책에서 읽었던 짧은 글이 가슴 깊이에 자리매김을 한데서  잊을수 없다. 미국 뉴을리언스에서 말가리다 라는 부인이 고아원을 경영하였다. 그 지역은 영세한 흑인들이 많은 탓인지 아무튼 기부금이 잘 모여지지 않아 갈수록 경영이 힘들었다.  년 말과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말가리다 부인은 어떻게 하든지 년말 선물을 마련해 아이들의 마음을 기쁘게 해주겠다는 생각으로 가만히 앉아 있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거리에 나가 모금을 하기 위하여 검은 옷을 차려 입고 년말 분위기에 젖어 흥청거리는 어느 술집으로 들어 갔다. 부인은 조용히 밥상 사이를 돌면서 부드러운 미소와 겸손한 태도로 음식상 주인들에게 자선을 베풀것을 권유하였다.  얼굴을 돌리는 사람, 마지 못해 돈을 주는 사람, 다양한 사람들 중에 갑자기 한 주정뱅이의 거친 목소리가 들렸다. "시끄러워! 남이 술을 마시는데 분위기를 깨지 말고 어서 꺼져!" 그러면서 느닷없이 부인의 얼굴을 향해 손에 든 맥주 컵을 던졌다.  "앗!" 컵은 몸을 피할 사이도 없는 부인의 얼굴에 맞고 땅바닥에 떨어졌다. 부인의 얼굴은 컵에 맞아 피가 났다. 깜짝 놀란 집안의 사람들은 모두 숨을 죽인 채 부인을 지켜보았다.  부인은 천천히 손수건을 꺼내 얼굴의 상처를 닦았다. 그리고 산산이 부서진 유리조각을 주어서 두 손에 받쳐 들고 이렇게 말했다.  "고맙습니다! 이 컵은 저에게 주시는 선물로 알고 감사히 받겠습니다. 그러데 우리 고아원의 아이들에게는 어떤 선물을 주지요?" 그러자 모두들 아무런 말도 못하고 한동안 침묵이 흘렀다. 그때 한 신사가 일어나더니 모자를 벗고 정중하게 부인의 앞으로 다가갔다. 그는 언제 준비했는지 속 호주머니에서 봉투를 꺼내 부인 앞에 내밀면서 말했다. "얼마 되지는 않지만 고아원아이들에게 도움이 된다면 저 역시 기쁘겠습니다!" 그 광경을 바라보던 다른 사람들도 앞을 다투어 돈을 내 놓았다. 그렇게 작은 소란이 있은 뒤 부인은 조금 전의 그 주정뱅이 밥상을 지나다가 깜짝 놀랐다. 그 주정뱅이 밥상 위에는 작은 메모지와 함께 돈지갑이 놓여 있었다. 메모지에는 "미안합니다. 이 돈을 불쌍한 고아들에게…"라고 쓰여 있었다. 실로 사랑은 폭력보다 강하고 원쑤까지도 감동시킬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현장이였다. 따스한 봄바람이 꽁꽁 언 얼음을 놓이듯 사랑은 모든 미워하는 감정을 녹인다. 아무리 악한 사람이라고 해도 사랑의 앞에서는 악해지지 않는다. 사랑이야말로 서로의 마음을 하나로 묶어주고 잘못을 바로 잡아주는 끈이며 아름다운 질책이다. 미움을 미움으로 이길 수는 없다. 오직 사랑만이 변화를 시킬수 있다. 당신의 주위에 당신 마음에 들지 않거나 미운 사람이 있다면 사랑으로 다가서자. 당신이 진정 사랑으로 감싸 안는다면 그 사람의 마음도 눈처럼 녹을 것이다. 이 세상이 아름다운 것은 말가리다 부인과 같은 좋은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며 그리고 신사와 같은 좋은 사람들이 가꾸어 가는 사랑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랑은 때로 절망이나 고통을 치유하고 회복시킨다. 그래서 이세상을 가장 지혜롭게 사는 방법이 모두를 사랑하는 것이라고 한다.  
211    긍정적인 발상으로 인생을 살자 댓글:  조회:4555  추천:4  2017-04-21
16세기 프랑스의 철학자, 사상가 몽태뉴가 “어떻게 살 것인가?”는 질문에 한 “주의에 기울여라”를 실천하며 위기를 기회로 바꾸었다면 필자는 “어떻게 살 것인가?”에 한마디로“긍정적인 발상으로”를 부언하고 싶다. 누군가가 행운의 ‘녀신’을 끌어들이는 핵심은 겸손과 웃음이라고 했다. 여기서 웃음이란 바로 긍정적인 발상을 말한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겸손과 웃음을 잃지 말아야 햔다. 정성껏 새장을 마련해놓고 새 한마리 사왔는데 그 새가 도무지 울지 않는다면 “당신은 어떤 기분인가?” 는 물음에 “울지 않으면 있는 것 만으로도 좋다” 며 느슨하게 대응할 여유가 있다면 이는 곧 긍정적인 발상으로서 다른 무엇을 바랄 나위가 없다는 뜻이다. 돈지갑에 돈 1원이 남아 있다면 부정적인 사람은 ‘1원 밖에 없다’며 주눅이 들지만 긍정적인 발상을 가진 사람은 ‘아직도 1원이 있다’며 그 1원을 뿌리있는 돈으로 돈가치 창조를 발상한다. 부정적인 발상은 불운과 악운의 원천이다. 부정적인 발상에 젖은 사람과 함께 있으면 늘 힘이 빠져 도망치고 싶은 생각이 앞선다. 그래서 필자는 ‘안 된다’는 사람을 멀리하게 되고 ‘늙었다’거나 ‘늦었다’며 포기하는 사람을 꺼린다. 일본 교세라주식회사 명예회장 이나모리 가즈오의 말이다.“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은 능력과 열의와 발상의 축적물이다.” 그렇다. 인류력사에서 획기적인 진전은 긍정적인 발상에서 기존의 관행을 깨뜨리면서 이루어진 것이다. ‘내피 없는 다이야’, ‘필름 없는 카메라’, ‘불꽃 없는 라이타…’ 등 지금 모두 선호하는 ‘괴품’들은 처음에는 ‘없는’소리를 꺼낸 미친 사람들의 창조물이다. 텔레비죤을 발명한 사람이 자료를 가지고 신문사를 찾아갔다가 미친 사람으로 쫓겨났다. 인간이 새처럼 하늘을 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발상이 있었기에 비행기를 발명하였다. 스스로 ‘나는 운이 나쁜 놈이다’, ‘나는 틀렸어’, ‘나는 가망이 없다’고 생각하면 남이 아무리 용기를 줘도 무용하고 결과적으로 운이 나쁜 사람, 틀린 사람, 가망이 없는 사람으로 되고 만다. 좋은 생각에서 좋은 말이 나오고 좋은 말이 좋은 씨로 되여 좋은 열매를 맺는다. 사람의 생각이 그의 삶을 만들어간다. 부자와 빈자의 차이는 꿈 차이고 성공과 실패의 차이는 선택의 차이다. 행복은 감정이 아닌 의식적인 선택의 결과다. 변화를 원한다면 생각의 ‘길’을 다시 찾고 선택의 ‘키’를 바꾸라. 지혜로운 삶이란 기대만큼 생각하고 믿음이 있는 말을 하며 긍정적인 발상과 긍정의 힘으로 오늘을 직시하고 래일을 선택하는 삶이다. 쓸모 없는 사람이 쓸모 없게 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원해서 쓸모 없어지는 것이다. 똑 같은 물건을 청결공이 만나면 쓰레기가 되고 예술인이 만나면 예술품이 된다. 길림신문 2017-4-20
210    소통의 힘 댓글:  조회:5230  추천:0  2017-04-18
소통이란 트일 소(疏)에 통할 통(通)으로 사물이 막힘이 없이 서로 잘 통한다는 말이다. 혈액이 잘 통하는 신체가 건강하듯이 소통이 잘 되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로 해석된다.   그런데 지금 조직화, 거대화, 정보화, 공동체의 사회에서 시야와 공간의 제약을 뛰여넘어 위챗, 큐큐, 블로그 등 SNS의 보편화로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는 시대라고는 하지만 불통으로 인한 잡음이 여전히 끊이지 않으며 오히려 SNS 등의 모바일채널을 통한 소통문화가 확산되면서 상하, 동료 간의 대화 단절 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대화 단절과 갈등이 사회적인 문제로 나서고 있다.   간단한 례를 든다면 한 50대 농촌과부가 두 자녀를 데리고 궁색하게 살다가 10여 년간 한국로무로 번 돈으로 아들을 장가보내고‘자립’ 하여 지금은 ‘그만하면 괜찮게 산다’는 상황이다. 모자(母子)간은 언제부터인지 “엄마 돈을 썼다”, “안 썼다”로 분규가 생겨 지금은 서로 ‘불통’으로 아들은 설명절은 물론 어머니의 생일에도 나타나지 않는 남남으로 지내고 있다. (하긴 친척들의 조화로 몇번 ‘소통’을 했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설득의 시대에 살고 있다. 설득력이 강한 사람이 사람을 더 얻고 사회적인 영향력을 더 크게 미치게 한다.   그렇다면 공감을 주는 설득력, 성공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이에 필자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를 소통의 능력”이라 답한다.   소통이란 그저 말로 대방의 의도를 읽어내는 것이 아닌, 긴밀하게 하나로 련결된 마음과 서로간 대방의 말을 들어주고 상대를 인정하고 배려해 주는 자세에서 만이 이뤄진다. 상기 모자관계를 례로 한다면 어머니의 아픔과 기쁨을 아들도 함께 아파하고 기뻐하면서 서로간 배려하고 의지하는 마음과 환경이 주어질 때 만이 원할한 소통이 이뤄지는 것이다.   사회생활은 인간관계의 련속으로서 사람은 ‘배려와 소통’으로 자신의 인격을 표한다. 소통의 능력이 곧 그 사람의 인격으로서 소통의 방식에 따라 삶의 길이 달라진다.   소통이 잘 되는 가정은 행복한 가정이고 소통을 위해 서로가 배려하는 부부는 사이 좋은 부부이며 소통을 잘 하는 리더가 훌륭한 사업가이다.   소통은 용서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용서는 용서하는 사람의 용기와 힘을 필요로 한다. 용서하는 사람 역시 용서받는 대상이므로 용서는 결국 자기를 위함이다.   소통에 도움이 되는 경구라 하겠다.   앞에서 할 수 없는 말이면 뒤에서도 하지 말라 말을 독점하면 적이 많아 진다 목소리가 높아질수록 뜻이 외곡된다 귀를 훔치지 말고 가슴을 흔드는 말을 하라 내가 하고 싶어하는 말보다 상대방이 듣고 싶은 말을 하라 뻔한 얘기보다 편한 얘기를 하라 입술의 30초가 마음의 30년이 된다 혀를 다스리는 것은 나지만 뱉은 말이 나를 다스린다 사랑이 담긴 소통은 고래도 춤추게 하고 달팽이도 뛰게 한다. 길림신문 2017-4-17
209    '백성을 위하는 일은 잊을수 없습니다!' 댓글:  조회:4406  추천:0  2017-04-18
지난 3월 31일 저녁 6시, 필자는 곡수ㅡ도문행 택시를 탔다. 60대 기사(한족)가 손전화로 한참 동안이나 누구와의 통화를 끝내고 나서 한심한 세상일에 원망을 표하였다.   인사말 얘기중 필자의 "…그렇다면 기사분이 곡수촌 사람인가?"는 물음에 자기는 한평생 곡수촌의 농민이란다.   지난 70ㅡ80년대에 필자가 도문시 홍광공사(지금의 향)기관에서 사업했던 인연으로 당년의 곡수촌(그때는 행정구역이 홍위대대, 홍위남새대대(한족대대), 곡수남새대대로 나뉘였음)사람들의 현황을 물어 보니… 자기 성이 주씨로 80년대 홍위남새대대 민병련장이라며 "지금까지도 그때 공사당위의 오기활 이름을 기억하고 있다."며   지난 일을 회포 하였다.   그야말로 인연이라 할가?    내가 바로 오기활이라고 답하니 기사는 놀라는 모습으로 필자를 쳐다 보더니 "그렇다면 손님이 30여 년 전에 참관 유람바람을 막아 달라는 글을 신문에 냈습니까?"며 반문했다.   지금부터35년 전의 일이다.    1982년 8월, 필자는 당년에 날 따라 세차게 불어 치는 참관유람바람을 제지 하고저 편집부에 "참관유람바람을 막아주시오"라는 제목으로 래신을 보냈더니 두 달 후인 10월 19일 조문판 1면에 편집자의 말과 함께 필자의 편지를 실었다.   "참관유람바람을 막아주시오"가 신문에 발표되자 많은 독자들로부터 큰 반향을 일으켰다.    10월 24일, 는 편자의 말로 주당위와 주인민정부에서 "전 주범위에서 근검절약, 간고분투 교양을 전개할 데 대한 통지"를 발부 했다는 소식과 함께 "참관유람바람을 견결히 막아버리자"는 "독자래신"전란으로 "우리 마음속의 말을 하였다", "가슴 아픈 일", "유람경비는 자부담을 해야 한다", "어디에서 앞장을 다툴 것인가?" 는 제목의 여러편의 기사와 함께 "신문의 비판에 근거하여 참관유람풍을 막을 대책 강구"라는 제목의 중공도문시위 판공실의 태도표시 글까지 실었다.   이날 택시기사는 그때 조문판신문을 읽지는 못하고도 사람들을 통해 알게 된 기억속의 사람을 생각에 만나니 정말 반갑다고, 백성을 위하는 일은 잊을 수 없다며 오늘 택시비를 절반만 (5원) 받겠다며 기뻐하였다.   필자는 택시기사의 "백성을 위하는 일은 잊을 수 없다"에서 "백성은 언제나 옳다"를 다시금 실감하면서 "기자는 사회의 병을 진맥하는 의사이다."의 사명을 명기, 또 명기하게 된다.   오기활
208    '누구가 선생(교사)일가?' 댓글:  조회:6183  추천:0  2017-04-04
지난2월 28일자 은 "연변대학 따분한 정치학과에 실천교육 도입"을 1면 톱기사로 올렸다. 기사는 연변대학 사상정치리론학과는 실천교육을 민족고등정치학과에 도입해 학생들로 하여금 실천교육이 정치학과의 배움에서 , 으로 단맛을 본다”는 실례를 다루었다. 기사는 과거의 사상정치리론과는 대학생 의 하나로서 리론중심의 일방적 주입식 교육이 대세였다.”, 아무리 풍부한 교육내용일지라도 리념교육으로 인한 교수의 일방적 전달이나 학문과 지식 중심의 주입식 교육방법으로는 교육 성과를 기대할수 없다”, 리념교육의 성과는 삶의 실천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머리속에 기억되고 시험답안지에 기록되는 지식내용외에도 인간적인 접촉과 대화 및 토론중심 실천을 통한 자아 성찰이 아주 필요하다는 것이 연변대학 사상정치리관학과 실천교육의 체득이다”고 다루었다. 미국의 기자이며 학자인 찰스 E 실러먼은 교실의 위기”(인간화를 위한 교육, 2004년 출판)라는 조사보고 저서에서 인간교육을 제창함에서 1은 학교 및 교실분위기의 변혁이고 교육의 질을 높임에서 물질적인 것은 2차적인 것으로서 새로운 교사(敎師)가 있어야 새로운 교실에서 새로운 교육을 할수 있다. 교사는 학교를 연구해야 하며 그것이 인류문화 전체를 공부하는 것이다. 오늘의 교육문제 해결의 초점은 첫째도 교사요 둘째도 교사다”는 교사상(敎師像)을 제시 하였다. 그렇다면 참된 교사는 어디에 있는 누구일가? 한국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한양대학 국문학과 교수를 지낸 윤재근교수가 공자의 론어(論語)를 바탕으로 하는 "선생은 누구인가?”이다. ㅡ 하나 더하기 하나는 둘이다. 둘에서 하나를 빼면 하나다”로 가르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하나를 알면 둘을 알아라”고 가르치는 사람도 있다.  이 두 사람 중에서 선생은 누구일까? 선생은 무엇은 맞고 무엇은 틀린다를 가르치는 일보다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가를 새겨 보게끔 가르치려고 한다.  선생의 가르침은 사람이 되는 길로 인도하는 것에 관심을 둔다.   ㅡ 요사이 학교에 선생이 없다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이 결코 틀린 것은 아니다. 그것은 학교에 지식을 전달하고 쌓게 하는 교사나 교수만 있을 뿐 진정한 스승이 없기 때문이다. 지식을 가르치는 분은 제자에 의하여 압도당할 여지가 있지만 인생을 가르치는 선생은 절대로 압도당하지 읺는다. 공자께서 옛 것을 좋아했다고 밝힌 것은 정오(正誤)로 분별되는 지식이 아니라 선악으로 분별되는 인생이요 삶의 길이다. 이러한 길로 인도하는 사람을 우리는 선생이라고 부른다.  갓 핀 꽃을 보고 시든 꽃을 생각하는 마음은 만물을 선생으로 모실 방을 지니고 있는 셈이다.  새롭다는 지식은 낡게 마련이지만 살아가는 바른 길은 낡을 수가 없다.  삶을 사랑하게 하는 길로 걷게 하여 사람을 사랑하게 하고 삶을 올바르게 하는 길로 걷게 하여 사람을 올바르게 할수 있는 것이면 길가에 버려진 것이라도 선생인 것이다. 세사람이 함께 길을 간다면 그중에는 반드시 내 선생이 될만한 분이 있게 마련이다. 그중에서 좋은 점은 골라서 내가 따르고 그른 점은 거울로 삼아 고치도록 한다”(공자)  선생은 아는 것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그것을 꼭 실천하기를 바란다. 이로 보아 교사, 선생이란 실천이고 대중이다는 말이다. 필자는 연변대학의 정치리론교육 + 실천교육”에 단 얼마라도 보탬이 되지 않을가는 생각에서 실러먼의 교사상과 윤재근교수의 선생은 누구인가?”를 올리는 바이다. 오기활
207    한자로 읽어 보는 남존녀비사상과 문화 댓글:  조회:5681  추천:5  2017-03-17
한자(漢字)는 뜻 글로 형상문자로 불리고 한글(韓字)은 언문(言文)이라 불린다. 필자는 인 3월을 맞으며 녀성을 대상한 漢字의 자의(字義)를 나름대로 풀어보았는데 계집 女로 합자된 한자가 녀성을 모욕하고 억압하는 자의가 너무 많다는 느낌이다. 우선 종 노 奴자부터 파자(破字)해 본다.  종 노(奴)자는 계집 女와 또 又의 합자로서 종이란 녀자란 뜻으로 풀이된다. 남자가 종살이를 해도 女자를 붙인 노예(奴隶)로 불리니 종이란 곧 녀자며 노예라는 뜻이라 하겠다. 간사할 간(姦)자는 女자 셋으로 합자되여 녀자는 곧 간사하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남녀 사이의 밑통(密通)을 간통(姦通)이라고 하는데 姦通을 파자하면 간통이란 녀자가 셋이 오간다는 것으로 姦通이 어쩐지 녀자들게 문제를 돌리는 느낌이 든다. 요망(妖妄)스럽다는 妖자 역시 녀자를 대상해 만들어진 글로 보인다. 이밖에도 간사(奸詐)스럽다는 간(奸)자나 질투(嫉妬)라는 嫉자도 녀성을 대상한 글로 생각된다. 이로보면 한자속에 숨어 있는 녀성은 요망스럽고 간사하며 질투가 많다는 것으로 보여진다.  맡길  委자를 파자하면 委는 女자와 벼 화(禾)자의 합자로 이는 녀자란 벼이삭처럼 고개를 숙이고 모든 일을 남성에게 “맡긴다”는 것으로 풀이 되여 녀자란 운명, 사랑, 생명을 남성에게 맡겨야 한다는 뜻이 아닌가고 생각된다. 같을 여(如)자를 파자하면 如는 계집(女)과 입(口)의 합자로서 女자의 口에서 나오는 말은 삼종지도(三從之道)가 가르키는 대로 어려서는 부모의 의견에 따르고 결혼해서는 남편의 마음에 따르고 늙어서는 자식의 뜻과 같아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러니까 같을 如로 보아 녀자의 입은 영원한 대변인의 입으로서 자기 주장을 절대로 내세워서는 안 된다는 말이 된다. 편안(便安)할 安자나 안전(安全)할 安자도 그렇다. 남자를 놓고 말하면 집안에 녀자가 있으면 편안하고 녀자는 집안에 두어야 안전하다는 뜻이다. 좋다는 好자도 파자하면 女자가 아기(子)와 함께 있어서 좋아한다는 뜻이다. 필자의 이런 "한자녀성론"에 혹자가 왜 위엄(威嚴)을 나타내는 威는 멀리하고 별난 한자(漢字)들만 골라서 풀이하느냐고 반론 할 수 있다. 이에 威자를 파자해 본다.  威는 개 술(戌)에 계집 女의 합자로서 威란 “녀자는 집을 지키는 개와 동급이다”는 뜻, 威는 녀자가 威嚴있다는 것이 아닌 녀자를 슬프게 하는 글자로 풀이 된다. 이로 보아 회수가 까다로운 한자의 숲속에는 남녀불평등의 사상과 문화가 슴배여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진다. 그렇다면 중국문화권으로부터 뿌리가 내렸다는 우리 민족이 문자로까지 남긴  "암탉이 울면 가문이 망한다"는 속담도 중국의 이런 남존여비문화와 사상의 뿌리에서 뻗어진 것이 아닐가는 생각이다. 이에 따라 필자는 남녀평등을 주장한 녀성해방운동의 위대함과  "녀성이 절반하늘을 떠 인다"는 모택동주석의 말씀의 위대함을 피부로 느낀다. 하긴 오늘의 조선족사회에서 오가는 "지금은 남녀평등이 아닌 녀남평등이다"는 신조어까지 생겼으니 필자는 이 신조어에 슴배인 의미와 가치를 음미하면서 이 글의 마무리로 모든 녀성들에게 "3.8"명절 인사를 올린다.  
206    “후회하지 않으려고 돌아왔습니다!” 댓글:  조회:4816  추천:3  2017-03-01
일전에 어느 생일상에서 모두가 “박철이 어머니 언제 돌아왔습니까?”는 물음에 50대 녀성 최영희가 하던 말이 생각난다. “한국에서 몇년간 다른 일을 하다가 간병일이 쉽고 돈벌이도 된다는 친구의 소개로 한동안 간병일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할머니의 간병을 하면서부터 눈앞에 90대 친정어머니가 얼른거려서 도저히 손에 일이 잡히지 않았습니다. 돈이 뭐길래 친어머니도 멀리하고 타남의 할머니를 돌봐야 하는가고 생각하던차 마침 ‘있을 때 잘해’라는 노래가 나를 두고 하는것만 같았습니다. 그래서 고민끝에 늦더라도 후회하지 않으려고 돌아왔습니다.” “나와 같은 일을 하는 친구는 로인간병을 했습니다. 몇년전에 친정어머니가 사망했을 때 집에 가지 않은것이 종신 죄로 느껴지며 늘 후회의 눈물을 흘린답니다.” “늦더라도 후회하지 않으려고 돌아왔다!”는 최영희는 “종신 죄를 졌다”며 눈물로 후회한다는 그녀 친구의 말에서 부모효도란 말로 하는것이 아니라 몸으로 하는것임을 알게 되였다. 효란 부모를 모시는것으로서 입으로만 모시는 시늉을 하는것이 아닌 내 몸처럼 부모를 모시는것이다. 왜 몸으로 부모를 잘 모셔야 하는가? 그것은 부모가 생명을 준 은인이기때문이다. 부모에 대한 헌신은 나의 목숨에 대한 은공의 베품이다. 세상에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없다. 부모들의 자식사랑은 그 자식이 자식농사를 해봐야 진정 알게 된다. 우리 민족의 상례문화 핵심은 “효”이고 주체는 “례”이다. 그런데 “포기”시대인 현실은 상례문화마저 “낡은 습관”, “낡은 전통”이라며 포기하는것이 문제다. 조상들이 “효”로 만들고 “례”로 가꾸어온 “제사법”이 후세들을 잘 먹이기 위해 선조들이 만든 법이라고 하는데 생각해보면 그렇다. 근거란 제사상에 정성껏 올린 제물을 결국은 망자가 먹는것이 아닌 산사람이 먹으니 말이다. 그런데도 지금은 상례를 지키는것마저 부담이나 시끄러움으로 멀리하니 문제가 아닌가? 돈이나 지위, 명성 따위로 부모사랑을 저울질하려는 풍조를 인간의 마음이 황페화한 징조라 하겠다. 인간으로 마음이 황페되면 으르렁거리며 사는 짐승과 다름이 없다는 생각이다. 효는 이를 제일 무서워한다. “늦었지만 후회하지 않으려고 돌아왔다.” 최씨녀성에게 있어서 “늦었다고 할 때가 시작이다”, “종신죄를 졌다”며 후회하는 최씨 친구녀성에게 “후회에는 약이 없다”를 건네고싶다. “망자를 생각하면 살아있는 사람들은 모든것을 후회한다.” 부모생각을 하면서 눈굽을 적시던 어느 선배의 말이 떠오른다. 길림신문 2017-2-28  
205    청렴의 대명사 리정문을 그리며 댓글:  조회:5381  추천:3  2017-02-21
일전에 필자는 길림성조선족경제과학기술진흥총회 전임 회장 신봉철이 부쳐 보낸 “리정문기념문집”을 받았다. 고 리정문 “리정문기념문집”에는 중국조선족의 “로신”으로 불리우고있는 고 김학철선생의 글 “정문이 잘 가오”로 시작하여 리정문의 동료, 지인, 친척들의 회억록, 리정문작품선 등 21편이 실렸다. 리정문이 연변을 떠나 장춘으로 전근할 때 김학철선생의 “정문이 잘 가오”중의 몇단락을 적어본다. 우리 연변에서 리정문이 떠나간다… 량수청풍(两手清风)의 사나이, 두 소매에 맑은 바람만 감도는 사나이, 줄줄은 알아도 받을줄은 모르는 사나이, 달랄줄은 더더구나 모르는 사나이, 그래서 밤낮 구차하기만 한 사나이, 이런 살림살이의 “락제생”이 떠나간다. 청렴(清廉)의 대명사 리정문이 떠나간다. 촌놈의 근성이 종시 가시지 않아 자동차를 타면 뭐가 잘못 되는것만 같아서 도무지 마음이 안 놓인다며 아침저녁 궁둥이에 못이 박히도록 자전거만 타고 다니는 괴짜같은 사나이가 떠나간다. “우리 연변은 민족자치를 실시하는만큼 민족간부의 비률을 조금이라도 낮춰서는 절대로 안됩니다!”며 맞바람에 갈기털을 날리며 포효(咆哮)하는 수사자, 언제나 겸손하고 또 살가운 사나이, 못나보이는 사나이가 떠나간다… 고 리정문은 2013년 7월 13일에 73세를 일기로 정열의 인생을 마무리하였다. 연변대학을 졸업하고 연변고무공장의 일반 종업원으로부터 연변대학 교원, 연변조선족자치주당위 선전부 부장, 주당위 부서기, 길림성인대상무위원회 부주임 등 직을 력임하면서 청렴의 대명사로 불리우며 삶을 마감하였다. 글속에서는 리정문을 이렇게 쓰고있다. 리정문주임은 촌을 시찰할 때 먼저 생활이 구차한 집 세호를 선정한후 한집한집씩 찾아 방문하고 생활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라며 현금 200원씩 건네주면서 이야기를 나눈후 나중에야 촌지부서기를 찾고 마을을 돌아보군 하였다. 장춘에 간후 수행인원(우평)이 그의 돈을 결산해 주려고 하니 “나 개인의 명의로 드린것이기에 안된다.”고 딱 잡아뗐다. 리정문주임이 눈병을 치료하러 혼자서 북경으로 떠날 때 그만한 직위에서 수행인원들이 모시고 전용차나 비행기로 갈수도 있었지만 그는 침대표는 물론, 좌석표도 없는 표를 겨우 사서 렬차에 올랐다. 성인대에서 사업할 때 남이 내놓는 자전거를 50원에 주고 사서는 그걸 타고 조깅을 하고 또 그 자전거를 타고 출근하였다. 리정문은 자녀, 부모, 동생들을 위해 조직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의 손을 단 한번도 내밀지 않았다. 아버지가 사망한후 누구한테도 알리지 않았고 장례식 때 일가친척들외에 소식을 알고 급히 찾아온 문상객들까지 합쳐 도합 20여명밖에 참가안했다. 생일도 가족들만 모여서 식사를 하는것이 전부였다… 내가 들은 리정문은 이런 사람이였다. 고 정경락: 리정문부주임은 연변에 사업시찰을 가면 소문없이 혼자서 이란에 계시는 부모를 찾아뵙고 또 종종 산에 가서 땔나무를 마련하군 했습니다. 북경정법대학 김룡하: 2003년 5월에 있은 나의 동북사범대학 박사론문답변의 날 아침 5시에 누가 우리 집 문을 두드리기에 깜짝 놀라 나가보니 글쎄 리정문부주임이 찰떡을 들고와서 박사론문답변에 꼭 합격되라며 나를 응원하지 않겠습니까! 리정문주임은 나를 위해 어제 저녁에 아들을 구태현 음마하의 어느 한 조선족집에 보내 하루밤을 재우면서 새벽 일찍 찰떡을 챙겨가지고 오도록 하였답니다. 내가 만난 리정문은 이런 사람이였다. 필자는 “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부문에 다리를 놓아준다”는 리정문의 덕을 본 수혜자다. 2001년 9월말, 필자는 자치주정부 일본고찰방문단의 수행기자로 출국수속을 밟으라는 통지를 받았다. 그때 기타 단원들은 이미 일본비자를 받은 뒤였다. 이에 필자는 당일에 주급수속을 끝내고 이틑날에 장춘에 가서 성급수속을 밟으려 했다. 그런데 장춘에서는 국경절공휴일때문에 공무출국수속을 접수하지 않았다. 안달아난 필자는 방법을 생각하던중 사처에 수소문하여 그 당시 성인대상무위원회 비서장으로 계시던 리정문의 전화를 알아내고 도움을 청했다. 전화를 했더니 손님접대중이니 15분후에 다시 전화를 하라는것이였다. 약속대로 15분후에 전화를 했더니 이미 아무개와 련계를 해놓았으니 그를 찾아가란다. 그래서 그분을 찾아 갔더니 그분은 리정문비서장의 분부대로 수속을 밟아주었다. 모든 수속을 마치자 생각밖으로 또 리정문비서장께서 나에게 전화(핸드폰)를 걸어와 일이 잘 되였는가, 더는 도울 일이 없는가, 연변을 위해 좋은 글을 많이 써달라는 부탁과 함께 국경휴가를 잘 보내라는 명절인사까지 하였다. 리정문은 참다운 정(政)으로 한생을 지킨 우리 민족의 참다운 간부이며 정문(正文)으로 민족을 빛낸 학자이며 관리이며 인민의 공복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 인대상무위원회 전임 부주임 리득룡의 평가로 글을 마무리한다. 리정문동지는 사람을 너그럽게 대하고 자기를 엄격히 대하며 선량한 사람을 사랑하고 악의에 혹독하며 꼬물만한 리익마저 탐낼줄 모르는 정파다운 사람이다 리정문동지는 남앞에서 굽실거리지 않고 남을 춰줄줄을 모르며 뢰물을 돌릴줄을 모르는 “3불(3不)”지도자다. 리정문동지는 “하나의 당심에 ‘강철의 필’과 ‘철의 입’으로 당의 의지와 주장을 선전하고 변강의 특점과 민족의 특색을 선전해야 한다”고 늘 부탁하였다. 리정문동지는 온당하면서도 용맹하고 용맹하면서도 지혜로운 참다운 지도자다. 길림신문 2017-2-20
204    “남을 탓하지 말라” 댓글:  조회:4514  추천:1  2017-02-13
“절대로 남을 탓하지 말라”, 이는 30여년을 줄곧 공장장, 경리로 있는 경영의 귀재, 혁신의 선두주자, 투자유치 유공자로 불리우는 기업가 (미국독자 연변범서방플라스틱유한회사) 조광훈(63)총경리의 사업 좌우명이다.   조광훈은 “흔히 사람들은 자신의 뜻대로 일이 잘 되지 않으면 남을 탓하고 환경을 원망한다”고 말한다.   물론 다른 사람의 문제로 잘못된것이 분명하지만 그 상황을 대처하고 끝까지 책임질 사람은 다름 아닌 자신이 란다.   어떤 상황에서도 남을 탓하지 않고 끝까지 책임지고 노력함은 단지 책임지는것만이 아닌 타인과 주변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란다.   행, 불행 선택의 열쇠를 쥐고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아닌 바로 자신이다. 더 이상 타인을 책망하지 않을 때 인생이 즐겁고 편안하다는것이 그의 주장이고 체험이란다.   남을 탓하기에 바쁜 사람은 자신의 삶과 성공을 타인에게 맡기는것으로 된다고 한다.   조광훈은 사업성공의 비결을 사고와 행동의 지침으로 “2,5,6정신”을 소개했다. “2” 사고의 기본정신으로 “남이 보는 나를 알자, 문제는 남이 아닌 나에게 있다.” “5” 사고와 판단의 기준으로 “과학적, 합리적, 론리적 , 상식적 , 도덕적”이다. “6” GOOD WILL(친선, 선의) 정신으로 “외모는 단정히, 표정은 명랑히, 대화는 친절히, 대방에게 관심, 열의과 성의를 다해 진실성이 있게 상대를 대하는”것이다.   “아름다움은 자기의 아름다움입이다”는 조광훈은 “2, 5, 6정신”에서 “남이 보는 나를 알자”는 객관적 립장, 옳바른 자세로 잘못이 있으면 스스로 시정하는 자기개발, 자기반성의 정신이며 “문제는 남이 아닌 나에게 있다”는 문제의 모든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고 해결하는 겸손과 봉사의 마음, 남을 원망하지 않고 문제를 자기에게 돌릴 때 자신이 삶의 주인이 되고 자기의 품위를 더욱 높이게 되는 사고의 정신이라고 부언했다.   “남을 탓하지 말라”는 “2, 5, 6 정신”을 사업의 성공비결이라고 정의하는 조광훈의 처세철학에 귀맛이 당긴다.  길림신문 2017-2-9
203    우리 말 하지 않는 “덜된 대표” 댓글:  조회:5768  추천:6  2017-01-19
희망찬 정유년의 벽두에 연변에서 “중공연변조선족자치주 제11차 대표대회”, “정협연변조선족자치주 제13기 제1차 회의”, “연변조선족자치주 제15기 인민대표대회 제1차 대회”를 원만하게 잘 치렀다.   실로 향후 5년간 연변의 정치, 경제, 문화 건설과 발전에 큰 획을 긋게 될 희망의 “3회”라 하겠다.   그런데 필자는 연변텔레비죤방송국에서 방송한 “3회”관련 인터뷰 화면을 보고 대단히 유감스러웠던 나머지 “덜된 대표”로 실망을 표하고싶다.   필경 인터뷰 출연 대표들의 족별과 복장차림으로 보아 조선족이 분명한데 어찌하여 그네들이 자신의 신분과 민족을 지키지 않고 자기 민족언어를 포기하고 한어만 하는지를 알수가 없다.   기자들이 그네들을 조선말을 하지 못하게 했을가? 아니면 그네들이 보도부문의 번역일군들에게 일거리를 더 챙겨주려고 그럴가?   하긴 조선어방송때는 방송인들이 한어말 발언을 조선어로 대역하거나 조문자막을 배합하고 한어방송때는 반대로 조선말 발언내용을 한어로 대역하거나 한문자막을 배합하니 말이다.   우리 말에 “덜된 사람”이란 말이 있다.   “덜됐다”는 아직 “채 못됐다”로 “덜된 사람”이란 그가 아직 원숭이로부터 사람에로 채 진화되지 못했다는것으로 해석된다.   세상에 완전완미한 사람이 없듯이 누구를 막론하고 덜된 부분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사람이 “덜됐다”는 표준이 사전에 없기에 필자는 한 인간의 “됐다”, “덜됐다”의 기준이 무엇인지를 모르고 지내다가 중국인민해방군 공군대좌 리광남을 취재하고나서 항간에서 어떤 사람을 “덜된 사람”이라고 하는가를 알게 되였다.   리광남대좌는 군령이 40여년이 넘지만 조선말을 하도 잘하기에 원인을 물었더니 “부모님의 덕분”이라고 하였다.   그가 참군하던 날 부모들이 하는 말씀이 “광남아, 조선말을 잊지 말라. 군대에 갔다와서 조선말을 잘 안하는 사람을 동네에서 덜된 사람이라며 욕을 한다.”   부모들의 재삼 부탁을 명기하고 “덜된 사람”이 안되기 위하여 항상 노력했다는 리광남, 두 딸을 참된 사람으로 키우기 위하여 조선말을 하도록 강요했다는 리광남이다.   “감동중국 조선족걸출인물” 취재시 기사에서 “외래어를 사용하면 절대 안된다”를 전제조건으로 했다는 리광남이다.   몇년전 필자는 “덜된 사람”이란 글을 썼더니 독자들의 반향이 그렇게도 컸다.   한 독자의 댓글이다.   “조선글을 모르는 정부내의 조선족간부들은 조선어문조례와 연변조선족자치법의 위배대상입니다. 직위여하를 막론하고 그들을 모두 소학교에 다시 보내 조선글을 배우게 해야 합니다.”   조선족들이 자기의 “발전”을 위해 한어나 외국어를 배우는것은 좋은 일이다. 필자는 연변라지오텔레비죤방송국 한어말아나운서 조송매를 우리 민족의 자랑으로 느낀다.   문제는 자기 민족의 언어문자조차 모르면서 나서서 우리 민족의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며 떠드는 “덜된 사람”, “덜된 간부”, “덜된 ..장”(국장, 시장…)과 “덜된 대표”들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 제14기 인대 상무워원회 9차 회의는 “사회적으로 자치민족언어습관을 존중하고 조선어발전의 량호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민족단결사업을 추진하고 민족전통을 계승하며 민족의 우수한 문화와 특색경제를 발전시키고 조선어문자사업을 번영발전시키기 위하여 매년 9월 2일을 ‘조선어문자의 날’로 결정한다.”고 하였다. 결정은 조선족으로 자기 민족의 문자를 홀시하고 잃어버림에 대처하는 하나의 법적조치라 하겠다.   모종 의미에서 말하면 민족이란 언어의 공동체다. 청나라를 세운 만족은 본 민족의 언어를 쓰지 않은데서 만어가 소실되여 지금 중국전역에 만어를 아는 만족이 겨우 10여명밖에 없다니 만족이란 공동체를 운운할수 있을가?   “언어문자를 상실하면 민족정체성도 사라진다.”   이는 북경민족출판사 전임사장 우빈희의 말이다.   “문화의 정체성은 우리가 지키려고 해서 지켜지는것이 아니라 언어시장에 의해 좌우지된다. 즉 경제론리에 의해 결정된다. 언어문화가 시장가치가 있다고 할 때에는 꼭 사람들에 의해 지켜진다.” 이는 중앙민족대학 박광성교수의 말이다.   필자는 현실에 비춰 우리 민족의 언어문화를 포기하고 자멸시키는 주범은 다른 민족이 아닌 바로 우리 민족 자신이라고 감히 말한다. 이하는 필자의 뇌리속에 자리한 몇몇 조선족의 사례다.   얼마전에 있은 “연변조선어방송애청자협회 도문분회 설립식”에서 도문시 인대에서 퇴직한 80대 로간부 박운수옹은 조선민족의 넋을 강조했고 한문으로 된 회원등록표에 몽땅 조선글로 등록했다.   남상복 전임주장은 조선글이 아주 미숙했는데 조선말로 주인대보고를 하기 위하여 갖은 노력으로 조선글을 배우고 끝내 조선어로 정부사업보고를 하였다.   어릴적부터 한족학교에 다녀 우리 말, 우리 글을 모르는 간부들이 있다. 그러나 조선족들이 집거한 연변에서 사업하려면 남상복 전임주장처럼 늦게라도 우리 말, 우리 글을 배웠으면 하는 바람이다. 길림신문 2017-1-17
202    자식을 효자로 만드는 길 댓글:  조회:5898  추천:2  2017-01-05
해마다 설명절이면 가내는 물론 동네까지 자식들의 부모효도가 화제로 떠오르면서 집집의 자식들에 대해 “잘한다”와“못한다”로 평이 내려진다.   이에 비춰 필자는 아들과 딸이 외국에 있는 “리산가족 부모” 의 립장과 시각으로 이 글을 쓴다.   자식을 애지중지 키운 부모로 다 큰 자식들에게 크고 작은 기대를 가지는것은 물론이겠지만 문제는 자식의 처사가 좀 서운하면 부모들은 “너희들을 어떻게 키웠는데…” 하며 노여움부터 앞세우는것이다.   자식을 애지중지 키우는것은 어디까지나 부모의 당연한 책임인데도 무작정 자식에게 기대하고 집착하니 그게 문제이다. 기대와 집착을 버리면 당신도 편안하고 자식도 정신상 부담이 없이 가정을 더 잘 꾸리기 위해 노력하겠는데 말이다.   자식들이 련락이 없으면 “무소식이 희소식이다”며 좋게 생각하고 “너희들이 달라고 안하는것만도 효도다.”라고 칭찬하면서 사는 인생이 보람이 있을것같다. 아니면 “온갖 고생을 다하며 키워 놓으니 한놈도 명절에 오지 않는다.”며 섭섭함을 표달하면 삶이 항상 불안해진다.   쩍하면 자식들을 욕하지 말라. 자식을 욕하면 결국 자기를 욕하는것이다.   자식의 허물을 아무리 캐고 또 캐도 결국은 그 자식은 내가 낳아 키운 친자식이니 말이다.   칭찬은 고래도 춤을 추게 한다.   자식들에게서 전화가 오면 고맙다고, 용돈을 주면 액수와 관계없이 마음을 써줘 감사하다고 칭찬하면 자식들도 신나서 더 잘하기 위해 애쓴다.   자식이 나이 들면 독립을 시키는것이 자연의 섭리다. 새들도 새끼를 품고 키워서 날려보낸다. 어미새는 날아간 새끼가 다시 찾아 안온다고 원망을 안한다.   자식들이 가정을 이루면 부모들이 정을 “끊어야” 한다. 물론 경제실력에 따라서 보태줄수 있지만 정도가 있어야 한다. 한국에서 뼈돈을 벌고와서 자식한테 집을 사주고 자가용을 사주기 위해 또다시 한국에 간다는 부모들이 가련해보인다.   부모에게도 부모의 인생이 있고 자식에게도 자식의 인생이 따로 있다. 부모가 자식들의 일에 너무 관여하는것은 사랑이 아닌 간섭이다. 주는것도 좋게 말해서 사랑이지 기실은 간섭이다.   손군까지 애나게 키워준다음 나중에는 갈등까지 생기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자기가 낳은 자식은 자기가 키워야 하며 자기가 낳은 자식의 이름도 자기가 지어야 한다는것이 필자의 원칙이다.   그래서 일본서 출근하는 아들며느리가 네돐짜리 손녀와 두돐짜리 손자를 힘들게 키우는것을 알면서도 나는“바빠서 죽는 법은 없다”고, “청춘고생은 만금을 주고 못바꾼다”며 모르는척 한다. 단 부모효도는 관계치 말고 시름놓고 자식만을 잘 키우라는 부탁을 할뿐이다.   아들내외도 자녀를 잘 키우는것을 부모효도로 간주한다. 아들내외는 부모들이 손군들과 소통을 잘할수 있도록 요즘 애들에게 조선어와 한어까지 배워주느라 무진 애를 쓰고있다.   자식은 홀로서기를 잘하는것이 부모에 대한 최대의 효도고 부모는 자기 건강을 잘 지키는것이 자식에 대한 최대의 도움이다.  길림신문 2017-1-4
201    녹쓸지 않는 삶 댓글:  조회:4816  추천:0  2017-01-03
“책과 차가 없다면 무슨 재미로 살가싶다. 책이 말벗이 되고 때로는 길을 인도하는 스승이 된다. 한편 차를 마시면서 생각을 가다 듬는다. 좋은 책을 읽으면 내 령혼에 불이 켜진다. 읽는 책에 따라 사람이 달라진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그 복속에 책도 함께 들어 있기를.” 이는 법정스님의 “녹쓸지 않는 삶”이란 글의 머리글과 꼬리글이다. 필자는 가는 해 병신년(丙申年)을 병신년(病身年)이라 칭하며 레오 버스카글리아교수의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를 령혼의 불로 읽으면서 생각하고 치유하며 마감을 했다. 병신년(病身年)에 “녹쓸지 않는 삶”을 만난 것이 다행스럽고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가 령혼의 불, 삶의 지침서, 말벗으로 되여 준 것에 감사하다. 독서는 누구나 쉽게 접할수있는 탐구의 지름길이다. 옛글에 “어릴 때부터 책을 읽으면 젊어서 유익하고 젊어서 책을 읽으면 늙어서 쇠하지 않으며 늙어서 책을 읽으면 죽어서 썩지 않는다”고 했다. 조선 영조때 유중림은 “독서 권장하기에”라는 글에서 “글이란 읽으면 읽을수록 사리를 판단하는 눈이 밝아진다. 그리고 어리석은 사람도 총명해진다. 흔히 독서를 부귀나 공명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독서의 진정한 즐거움을 모르는 속된 무리이다.”고 했다. “태여나서 아는 자(生而知之)는 최상이고 배워서 아는 자(學而知之)는 그 다음이며 살다가 어려움을 겪고서야 배우려는 자(困而學知)가 그 다음이고 살다가 어려움을 겪고서도 배우려 하지 않는 자(困而不學)는 가장 아래이다.” 이는 “론어”에서 배움에 대해 언급한 말이다. 리극강총리는 “전민독서”를 언급하면서“열독(閱讀)은 일종의 생활방식으로 열독과 사업방식이 결부되면 발전의 혁신력이 증가되고 사회의 도덕력량을 증강할수있다”고 했다. “괄목상대(刮目相對)” 란 사자성어는 눈을 비비고 본다는 뜻으로 학문이나 재주가 전에 비해 몰라볼 정도로 향상되였을 때 쓰는 말이다. 사람이 배고프면 음식을 먹듯이 정신적 식량으로 책을 “먹어야”한다. 1년 365일을 책다운 책 한권도 제대로 읽지 않는 사람의 삶은 녹쓴 삶이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요, 그 복속에 책도 함께 있기를” 법정스님의 새해 인사말을 다가오는 정유년에 명기 또 명기하고싶다. 길림신문 2016-12-29
‹처음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