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문희
http://www.zoglo.net/blog/piaowenxi 블로그홈 | 로그인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검색날짜 : 2024/11/13

전체 [ 1 ]

1    《송화강》잡지 시문학상 수상작 읽기 댓글:  조회:72  추천:0  2024-11-13
《송화강》잡지 시문학상 수상작 읽기   일전 할빈에서 열린 《송화강》잡지 시문학상(한춘문학상, 상상문학상)에 강어금, 방순애가 수상의 영예를 지녔다.   《송화강》이 흑룡강성의 유일한 조선어 순문학잡지로서 60여년간 조선족 문단의 풍향계로 자리잡고 흑룡강 나아가서 전국의 조선족 문인 양성에 큰 기여를 해왔다는 점을 착안할 때 이번 시상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모든 생각을 략하고, 수상작을 읽어본다---   “상상문학상”가작상 수상작   생의 걸음 ▢방순애   구름의 책 번져진다 물의 종잇장에 쓰여진 바람 글씨 봄이 펼쳐놓은 추운 겨울 이야기 가지의 한숨이 새의 비늘 긁는다   바람 부는 날 구멍 난 모래자루는 육신의 껍질 한겹 한겹 벗어진다 까슬까슬하게 그을린 끝자락 삶 어둠속에 소설 쓴 고집불통 작가   빨간 침묵은 암반 타고 내려온다 자형나무 시간 틈에서 머리 든다 등허리에 띤 추억의 주머니 혈연의 푸른 띠 두른다     다음 “한춘문학상”대상 수상작 전문과 평어를 읽어본다---   바다의 농도 ▢강어금(강시나)   기지개 펴는 물결 위에 찬란한 현들이 꼬리치고   이슬이 돌아눕는 새벽 초리에는 별들의 오줌자리 깃 털고 솟아난다   게임하던 숲의 세력들은 바람의 삿대질에 휘말려 싯누런 열변 토해내고   우주를 떠멘 수레는 거친 투우사들의 함성 메어다가 초속으로 퇴색하는 사투리에 하늘 옷 갈아입힌다     평어: 23년도 작품으로서 새벽의 바다를 시적대상으로 하여 자연의 생명력을 은유와 상징으로 다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시어의 선택이 기발하며 사물을 관조하고 그것을 이미지화하여 동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이 훌륭하다.   첫 련에서는 파도를 ‘기지개 편다, 꼬리치다’ 두 단어로 줄줄이 밀려와 철썩거리는 물결을 동사의 변형으로 표현하였다. 정지용의 시 ‘바다’에서는 “바다는 뿔뿔이 / 달아날랴고 했다/ 푸른 도마뱀 같이/ 재재 발렸다/꼬리가 이루/ 잡히지 않았다/ 흰 발톱에 찢긴/ 산호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 “라고 하였다.   이 시의 ‘꼬리친다’는 단어가 표현은 다르지만 꼬리로 형상한 것은 시인과 같은 감수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련에서는 시적 상관물인 ‘이슬’, ‘새벽 초리’ ‘별들의 오줌자리’ 등 파편적인 언어를 강제 조합함으로써 거기에 걸맞게 변형시킨 ‘돌아눕다’, ‘깃을 털다’ 동사로 바다우의 새벽시간을 동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셋째 련에 가서는 상징과 은유의 수법으로 ‘게임하던 숲의 세력이/ 바람의 삿대질에 휘말려/ 싯누런 열변을 토해내고 ‘라고 하면서 어떤 분위기를 특정지어 주고 있다. 여기서 ‘숲의 세력’은 뭍을 규정지어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융(Jung, Carl Gustav)에 의하면 “무성한 나무가 있는 령역”은 리성적 사고를 위협하는 무의식의 위기를 상징한다. ‘바람의 삿대질’은 바람은 능동적이고 격동하는 상태의 대기 운동으로 우주변화의 1차적 요소로 력동적이다. 이 시에서 바람은 변화를 강요하는 행위로 ‘게임’과 이미지가 엇물리고 있으며 ‘삿대질’은 쌍관어로 작용하고 있다. ‘싯누런 열변’은 바닷가 사장에 밀려왔다 밀려가는 미세기를 가지고 뭍과 물의 관계를 대립적으로 설정하여 그 결과를 “싯누런 열변을 토하는 것’으로 파도소리를 시각적으로 은유하고 있다. 대개 ‘싯누런’ 색상은 사물의 분산과정을 시각화하여 상징한다.   마감 련에서는 해 솟는 바다의 장쾌한 정경을 과장과 대용을 써서 표현하였는바 ‘우주를 떠멘 수레(태양)’는 모양에 의한 대용이며 ‘투우사들의 함성(파도)’은 소리양상을 대용한 것이며 ‘초속으로 퇴색하는 사투리’는 첫 련의 ‘찬란한 현들이 꼬리치는’ 것에 호응하여 아침해살에 어리광치며 부서지며 사라지는 갈피갈피 물결을 ‘사투리’로 대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바다는 하늘빛에 따라 색갈이 달라진다. 여기서 사투리는 변화가 수요되는 상태인데 태양이 떠오르면서 이런 변화를 ‘하늘 옷 ‘으로 갈아입히고 있다면서 시를 마감하고 있다.   다시 모두어 말하면 이 시는 전통적인 기승전결의 구조에 현대시의 이미지 수법을 활용하여 력동적인 아침의 바다를 시인의 독특한 구사로 표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인에게 기대의 말씀을 올린다면 시에서 좀더 자신의 개성이 보여줘야 한다는 점이다. 관조적이고 객관적인 시를 쓴다고 해도 이미지시의 창작 역시 독특한 자기만의 개성을 점차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 한가지는 특히 시를 씀에 있어서 독자의 수용성도 생각해 보아야 하며 의식적으로 중화민족운명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시대정신을 반영해야 하면서 더 밝고, 긍정적인 작품을 많이 창작하여야 한다. 2024. 10. 16. 상해삼달학원 김성우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