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zhengyinwenahua 블로그홈 | 로그인
정음문화칼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

소띠해, 소의 기상을 말하다
2021년 03월 05일 08시 35분  조회:1387  추천:0  작성자: 정음문화칼럼
소띠해, 소의 기상을 말하다
전월매 천진사범대학교


음메~음메~ 올해 2021년은 신축년 소띠해이다. 60년만에 돌아온 신축년은 흰 소띠해라 한다. 중국 동한 때 처음으로 열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묶어 년도를 표시했는데 그 기준으로 소띠는 ‘축(丑)’이란 글자를 활용했고 이 때부터 신축년이란 표현에 소띠해로 부르게 되였다 한다. 십이지중 두번째 순위인 동물 소, 력사와 문학 속에서 소가 지니는 의미는 무엇일가?

소는 근면과 순박과 우직한 힘의 상징이다. 고대 농경사회에서 힘이 센 소는 인간의 생산활동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로동력이였다. 소는 쟁기를 끌어 밭을 갈고 수레를 끌어 짐과 사람을 날랐다… 사람들은 농사일과 일상생활에서 소에 의지하는 부분이 굉장히 많았기에 소를 가족과 같은 소중한 존재로 여겼다. “소는 농가의 조상이다”, “애비 없이는 살아도 소 없이는 못 산다”는 소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말들이고 “소 팔아 공부시킨다”, “바늘도둑이 소도둑이 된다”는 당시 전 재산에 해당될 만큼의 소의 가치를 간접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소같이 일해라”, “소같이 벌어서 쥐같이 먹어라”는 비록 느리지만 잔꾀를 부릴 줄 모르고 근면하고 우직하며 꾸준한 소를 따라배우라는 교훈적인 말들이다.

유일한 재산으로서의 소를 둘러싸고 이야기가 전개되는 문학작품으로는 한국의 극작가 유치진의 희곡 <소>(1934)를 들 수 있다. 작품은 1930년대 한국 농촌을 무대로 하고 있다. 소작농 국서(局瑞)의 가족은 소 한마리가 유일한 재산이다. 이것을 몰래 팔아서 한몫 장만하려 드는 둘째아들, 소를 저당잡혀서 서울로 팔려갈 처지에 놓인 이웃집 처녀를 구하고 나아가 그 처녀에게 장가들고 싶어하는 큰아들, 끝내는 밀린 소작료의 대가로 소를 몰아내려 드는 마름과의 옥신각신이 우습강스러운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그러나 끝내는 이 집안 그리고 마을 전체의 비극으로 끝나는 이 작품은 작가의 현실 고발과 연극적 재치가 균형을 잘 이루고 있다. 유치진은 이 극으로 인하여 일제경찰에 구속당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소는 평안함과 여유로움, 풍요와 복의 상징이다. 그림에서 소를 타고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노닐거나 피리 부는 목동을 태우고 한가로이 거니는 모습은 세속을 벗어난 여유로움을 느끼게 한다. 한국 한시 이색의 <목우음(牧牛吟)>, 성현의 <제금자고목우도후(題金子固牧牛圖後)>에서 소를 기르고 소를 타는 이러한 행위들은 시적화자인 시인들이 명예와 리익을 추구하는 것과는 먼 것으로, 그러한 주변의 공간은 평안함과 여유로움의 공간으로, 언젠가는 돌아올 유토피아공간으로 그려져있다. 여기에서 소는 명리의 경계 밖에 있는 구속없는 여유로움의 존재이다. 조선 중기 이후로는 누운 소 그림이 전해지고 있는데 편안히 누운 소 모양의 땅은 풍수지리상 명당으로 여겨질 만큼 복을 상징한다고 한다.

마음의 평안함과 여유로움, 중국작가 위화의 소설 <살아간다는 것(活着)>에서도 하이라이트를 장식하는 에필로그에서 늙은 소가 된 주인공 복귀(福貴)를 통해서 이를 말해주고 있다. 주인공 복귀는 격랑의 중국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가족을 모두 저 세상으로 떠나보내고 늙은 소와 달랑 남는다. 도살장에 끌려가 인간들에게 고기덩어리가 될 번한 소를, 게다가 농사짓기에는 너무 늙어 별로 쓸모없는 소를 사서 자기와 합일화하는 로인의 자존과 생명 사랑에는 인간의 위대함과 여유로움이 느껴진다. 늙은 소가 된 사나이, 이는 모진 세월의 풍상을 딛고 난 한 인간이 삶을 바라보는 평안함과 여유로움의 자세이다. 마음의 여유로움이야말로 인간이 지향하는 유토피아가 아닐가? 여기에서 복귀, 복이 있고 귀하다는 주인공과 동일한 이름을 가진 소는 그의 분신과 다름없다.

소는 제물과 희생, 상서로움, 깨달음의 상징이다. 소는 전통적인 농경사회에서 로동력의 원천이였을 뿐만 아니라 제사의 주요 제물로 쓰이기도 했다. 조선 왕실 제사에서 소는 특히 귀한 제물로 여겨져 종묘제와 사직제 등 가장 중요한 국가제례에만 사용해왔다. 제기도 소 머리와 발굽 모양으로 만들어 거기에 삶은 소고기를 담아 제례 장소까지 가져갔다. 중국의 <례기(禮記). 곡례(曲禮)>에는 “무릇 종묘에 제사 지내는 소를 일원대무(一元大武)라고 불렀다”고 적혀있다. 일원에서 원(元)은 머리를 가리키고 대무(大武)는 소를 지칭한다. 희생(犧牲)이란 한자도 ‘소(牛)’에서 유래한 것이다. 중국어에는 근면하고 인민을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하는 사람을 비유하여 유자우(孺子牛)라 하고 모든 고난을 딛고 일어서는 사람을 황무지를 개척하는 것에 비유하여 척황우(拓荒牛)라 하며 고생과 괴로움을 참고 견디며 꾸준히 일하는 사람을 비유하여 로황우(老黃牛)라 한다. 이들은 자신의 근면과 희생으로 사회에 밝은 빛을 가져다준 영웅들이다.

제물로서의 소는 신성함을 지녔기에 불교와도 인연이 깊다. 석가모니 부처의 태자 때 이름은 ‘고타마 싯다르다’이다. ‘고타마’의 뜻은 ‘가장 좋은 소’, ‘거룩한 소’란 의미이다. ‘자색 바위가에/ 손에 잡은 암소 놓고/ 나를 아니 부끄러워한다면/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 이는 신라시기 향가로서 견우로옹(牽牛老翁)의 <헌화가>이다. 이 노래에 대한 론쟁은 퍼그나 흥미롭지만 이를 제쳐두고 비약적 해석이라고 할 수 있는 암소에 대한 해석은 이렇다. 로옹이 끌고 가는 암소를 “곡신(谷神)은 죽지 않으니 이를 일러 현빈(玄牝: 검은 암소)이라 한다”고 하는 도덕경의 말을 인용하여 ‘검은 암소’를 다루는 로옹은 예사 늙은이가 아니고 신선이 분명하다는 것이다. 한국 선시(禪詩) <목우도(牧牛圖)>에 등장하는 검은 소, 흑우(黑牛)도 선 수행 정진의 과정에 있는 소로, 고삐가 사람에게 쥐여져있는 아직 길들여지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와 반면 선시 <설산목우(雪山牧牛)>, <목우행(牧牛行)>에는 고난의 선(禪) 수행의 과정을 거쳐 오도(悟道)환원의 상징으로서의 흰소, 백우(白牛)를 다루고 있다. 아직 길들여지지 않은 흑우가 점차 길들여져 그 자태를 벗고 백우의 모습으로 환원되는데 이 때의 백우는 이미 수행을 끝내고 묘체를 얻어 자유자재의 경지에 도달함을 보여준다.

십이지 가운데서 근면과 우직함과 상서로움과 깨달음을 상징하는 동물 소, 특히 신성한 기운이 우기충천(牛氣沖天)하는 올해 흰 소띠해에는 우보(牛步)의 느리지만 성실하고 확실한 느린 걸음이라도 깨달음을 얻어 뚜벅뚜벅, 묵묵히 가다보면 코로나시대의 모든 고난과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으리라 믿는다.
2021.2.22

인민넷 조문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2 "인터넷+조선족": 새로운 희망을 본다(박광성) 2018-02-19 2 1743
81 조선말이냐 한국말이냐(권진홍) 2018-02-06 0 2452
80 디아스포라 경계인으로서의 글쓰기(전월매) 2018-01-12 0 1922
79 크리스마스가 주는 명절문화의 계시(허명철) 2017-12-28 0 1821
78 재한 조선족들의 삶의 현장: 한국문화의 속성을 론하다(방미화) 2017-12-19 1 2335
77 '내가 어떻게 저네한테 아바이요?!'(허연화) 2017-12-13 0 2025
76 "우리", 가족과 우리네 삶(리화) 2017-12-05 4 1906
75 녀성지식공동체의 힘을 키워가자(김화선) 2017-11-28 2 1663
74 40년을 고이 간직해온 초심 (최유학) 2017-11-22 0 1693
73 "정음"학술을 향하여(예동근) 2017-11-14 0 2029
72 똑똑한 사람들의 멍청한 선택을 연구하는 행위경제학(리천국) 2017-11-09 0 1631
71 민족축제와 민족문화의 전승(안성호) 2017-11-07 0 1565
70 조선족은 어떻게 "힘"을 합쳐야 할가?(박광성) 2017-10-17 2 1933
69 우리말이 주는 행복과 서글픔(권진홍) 2017-09-25 1 2260
68 조선말 방언은 우리민족의 소중한 문화유산(김청룡) 2017-09-20 0 5928
67 “일대일로” 건설과 조선족사회의 발전(리성일) 2017-09-12 3 1633
66 근대로의 전환기 중국과 서양의 만남(최선향) 2017-09-07 1 1657
65 중국조선족의 융합문화(전월매) 2017-08-30 0 1771
64 추석을 통해 보는 민속명절전승의 의미(허명철) 2017-08-30 0 1592
63 조선족녀성연구의 현황과 과제(방미화) 2017-08-16 0 1634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