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netizin-1 블로그홈 | 로그인
netizin-1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포럼

나의카테고리 : 칼럼

응답한 건 시대가 아니라 양준일이다
2020년 02월 07일 11시 44분  조회:1736  추천:0  작성자: netizin-1
[대림칼럼]
 
[대림칼럼] 응답한 건 시대가 아니라 양준일이다
-우리가 받은 선물-
글/전은주 시인·문학평론가
 
 
 



1. 한국사회의 이중성
 
한국사회는 요즘 '양준일 신드롬'으로 뜨겁다. 90년대 한국사회는 낯설고 이상한 가수였던 1969년생 '양준일'에게 돌을 던졌다. 한국어가 서툴고 영어를 마구 쓴다는 리유로 재미교포였던 그에겐 철퇴가 내려졌다. 그는 90년대 초반 파격적인 안무와 가사, 패션 센스로 젊은 청중을 후끈 달구었지만 당국은 그를 '선정적 퇴페'로 몰아 방송출연 정지를 내렸다. 그런 그에게 아무도 노래를 주지 않았고 비자도 연장해주지 않았다. 출입국 관리소의 어떤 직원은, "나는 너 같은 사람이 한국에 있다는 게 싫어! 내가 이 자리에 있는 동안 이 도장은 절대 안 찍어줘! 너는 한국을 떠날 수밖에 없어!" 라며 증오로 비자 연장을 거절했고, 그 20대 초반의 청년은 히트곡 몇과 궁금증만 남긴 채, 황급히 한국을 떠나야만 했다. 
 
30년이 흐른 뒤, 한국사회는 '시대를 앞서갔던 사람', '20세기를 살아온 21세기의 천재'로 양준일을 다시 소환해냈다. jtbc 뉴스룸에 출연하여 자신이 겪었던 모국에서의 아픔을 담담하게 얘기하는 양준일을 보며, 겸손하고 성숙한 그 모습에 손석희 앵커마저 미안함과 착잡함을 감추지 못했다. 그리고 지금의 대중들은 그 시절을 보상이라도 하듯 '양준일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그렇다면 30년이 지난 지금의 한국사회는 얼마나 달라져 있을가? 지금 이 사회에는 차별과 편견의 대상이였던 ‘스무살의 양준일’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걸가? 만일 '22세기 양준일'이 등장한다면 세상은 선뜻 그를 열렬히 환영해줄가?
 
 
얼마전, 녀성의 사회적 제약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했던 설리는 악플러들의 온라인 '조리돌림'에 못 이겨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지나치게 앞선 그녀의 녀성적 권리는, 아직 많은 이들에게 포용받기 힘든 '노매너'였던 것이다. 한때 '리틀 싸이'로 인기를 얻었던 십대 소년 역시 다문화가정의 자녀라는 리유로 악플러들의 총알받이가 되고 말았다. 세상은 더 글로벌하고 더 자유롭게 변하고 있지만, 나와 '다르다는 것'은 여전히 '틀린 것'이 되고 너무나도 쉽게 적대적 공격의 대상이 되고 만다. 
 
물론 이제는 30년전처럼 직접 무대를 향해 돌을 던지지는 않겠지만, SNS의 익명뒤에 숨은 무차별 공격의 칼날은 더욱 예리해졌다. 지난 2019년을 돌이켜봐도, '82년생 김지영'을 둘러싼 성차별, '노키즈존'에 관련된 아동차별, 지역갈등, 임대아파트, 다문화, 장애인 등등, 세상은 차별과 편견으로 넘치고 있다. 오히려 30년전보다 훨씬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되고 잔인해졌다. 설령 악의가 없다 하더라도 우리도 어느 순간 누군가에게 '선량한 차별주의자'(김지혜, 『선량한 차별주의자』, 2019)가 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세상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는데 30년전에는 응답받지 못했던 그가 50대가 되여 다시 세상의 부름을 받고 빛을 보게 된 리유는 무엇일가? 
 
2. '현재'를 찾은 사람
 
사라진 가수를 찾는 프로그램인 '슈가맨'에 양준일이 등장했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놀라움과 미안함이였다. 
 
한 아이의 아버지이자 누군가의 남편으로서 50대가 된 그는, 현재 미국의 한 식당에서 서빙을 하며 매달 월세와 생활비를 걱정하면서 살고 있다. '슈가맨'에서 그를 찾았을 때도, 프로그램을 위하여 한국에 오면 그 며칠 사이로 일자리를 잃게 될가봐 망설이기도 했다. 그 장면을 보면서 울컥했던 것은, 그가 안타까워 보여서가 아니라, 그 이야기를 하는 그의 태도가 너무나도 담담했고 또 소박했기때문인 것 같다. 다음날 jtbc 뉴스 룸에서 손석희 앵커가 사람들이 당신의 이야기를 듣고 슬퍼했다고 하자 그는 오히려 웃으면서, "저는 슬프지가 않았어요. 사실(현실)이니까요"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슬퍼한 것은 무엇일가? 어쩌면 그가 착함을 가장하지 않고 선량함을 위장하지 않는 것에 슬퍼했을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슬프게 본 '가난'을 그는 '사실'(현실)이라고 한다. 참 그랬다. 지금까지 내가 알던 가난은 슬프고 궁상맞은 것이였다. 그러나 그가 말하는 사실(현실)은 그 자체로 소박해서 오히려 아름답게 느껴진다. 무엇때문에? '가난한 자에게 복이 있나니'가 바로 이런 모습이 아닐가? 나는 왜 오래동안 '가난'을 부족한 것, 숨기고 싶은 것, 모자란 것들로 규정하고 무엇때문에 그렇게 오래동안 부끄러워하고 감추고 싶어했을가? 
 
양준일의 30년동안의 삶은 분명 녹록치 않았을 것이다. 그가 스스로도 표현했듯이 마치 롤러코스터 같았을 것이다. 그는 오래동안 투명인간으로 살았다고 했다. 어쩌면 그는, 가수의 꿈을 접으면서 자신을 받아주지 않는 모국이 밉고 원망스러웠을 것이고, 실패를 거듭할 때마다, "나는 왜 이렇게 살고 있을가?" 하며 스스로를 미워하거나, "사람들은 왜 나를 알아주지 않을가"라며 사람들을 탓하기도 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쯤 그는 시대를 잘 못 만나 좌절한 '비운의 천재'로 우울하고 비참한 삶을 살고 있어야 한다. 
 
우리는 지금까지 그런 '천재'들을 여러 만난 적이 있다. 드문드문 만난 천재들의 등장은 모두의 부러움과 놀라움의 대상이 되였지만, 시간이 흐르고 나서 다시 만난 그들은 대체로 '시대를 잘못 만난 비운의 천재'가 되여 있었다. 그러면 우리들은 함께 시대를 탓하거나 안타까워하며 동정을 보내거나 손가락질하거나 또는 당연하다는 듯, 이미 예견했었다는 듯 뻔한 반응들을 보였다. 
 
그것이 지금까지 우리가 해온 지극히 보편적인 패턴이였다. 시대를 잘못 만났거나, 부모를 잘못 만났거나, 상사를 잘못 만났거나, 친구를 잘못 만났거나, 대체적으로 우리들의 '실패'는 늘 뭔가의 '탓'과 련결되였다. 오죽하면 얼굴도 보지 못한 조상 탓과도 련결시킬가. 특히나 천재로 불렸던 사람마저도 실패하는 '세상'이라면, '나'라는 개인의 실패 정도는 당연하다는, 어쩔 수 없었다는 듯이, 스스로에 대해 위안거리로 삼기도 했다. 우리는 대체로 우리들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누군가의 탓이나 외부적 상황 탓으로 돌려왔다. 그렇다고 우리의 삶이 달라지는 것도 아니지만, 아니 오히려 날이 갈수록 더 악화되지만, 한사코 스스로의 책임에서 도망치면서 살아왔다.
 
평범한 사람들도 그럴진대, 아주 잠시라도 인기의 중심에 섰던 스타라면 더더욱 과거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힘들었을 것이다. 지금 어려운 삶을 살고 있더라도 "나도 한때는 잘나갔었는데"라는 과거의 환영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현재 위치를 인정하지 못했을 것이다. 평생 거지로 살면서도, 어린 시절에 점쟁이가 왕이 될 상이라고 했던 말을 잊지 않고, 심지어 자신이 왕이 된 줄 착각하다가 죽을 때도 '짐이 붕어한다'라며 죽었다던 이야기도 있지 않는가! 
 
그런데 양준일은 그 패턴을 깨뜨린 채 귀환했다. 분명히 가난한 데, 비참하지는 않은 사람으로! 그 리유는 그가 뉴스 룸에서 했던 말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과거의 실패를 바탕으로 미래를 가늠하는 그 '쓰레기'같은 생각들을 비우고 버려내고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살면서 나는 왜 존재 하냐는 퀘스천마크가 굉장히 큰데, 나 자신의 편견을 버리기 위해, 노력을 생활처럼 해왔습니다"
 
자신에 대한 편견을 버리기 위해 노력했다는 그 한마디를 그는 쉽게 했지만, 실천해 본 사람들은 알 것이다.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누구나 생각에서는 좌절을 극복하고 용기를 내면 될 것 같지만, 막상 힘든 현실이 닥치면 이내 용기를 잃고 부딪쳐 보기도 전에 "안 돼", "못 해!"라고 부정하기 쉽다. 그러한 모든 부정적인 생각들이 어쩌면 자신에 대한 자신의 편견인지도 모른다. 그 한 겹을 벗어내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과 만나는 일이 어디 쉬운 일이겠는가? 양준일은 어쩌면 자신의 허상을 비워냄으로써 '현재의 자신'을 발견했을 것이다. 그런 하루하루가 쌓여서 30년의 시간이 흘렀다. 그는 20대의 자신에게 이렇게 말한다. 
 
"네 욕심대로 아무것도 이뤄지지 않을 걸 알아. 하지만 걱정 하지 마. 모든 것은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밖에 없어."
 
그는 결코 자신의 과거를 원망으로 채우지 않았다. 물론 그도 수없이 시대를 탓하고 자신을 알아주지 못한 모국을 탓하고 자신을 탓했을지도 모른다. 또는 수시로 거침없는 증오와 원망이 그를 덮쳤을지도 모른다. 어쩌겠는가? 그러나 중요한 것은 다시 비우고 버리는 행동을 통해 그는 매일 자신의 '현재'와 만나며 살아왔다는 것이다. 그 결과 그는 '필연적'으로 다시 모국으로 돌아와, 그의 과거와 현재가 모두 자신에게 소중한 시간들이었음을 증명해냈다. 
 
우리는 별 것 아닌 일에도 쉽게 "난 안돼!", "이번 생은 망했어"라는 말을 가끔 한다. 과거의 실패의 경험으로 미래를 미리 예측하고 포기해 버린다. 그 실패의 순간마저도 그때 자신의 실력으로 최선을 다했고, 그것이 '완벽'했음을 믿지 않는다. 그가 한 것처럼 끝없이 '자기 성찰'을 하지 않았다면 자신의 현재에서 늘 도망쳐 팔자 탓, 세상 탓만 하다가 영원히 '2019년의 양준일'이 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어쩌면 지금 우리가 열광해야 할 것은, 그의 노래나 춤보다도 그가 스스로 비워내여 얻은 '깨우침'이며, 그가 그의 '현재'를 찾은 일일 것이다. 비록 그가 스스로 자각하지 못한다 할지라도 '양준일의 귀환'은 우리가 받은 가장 멋진 선물이 될 것이다!

흑룡강신문 

파일 [ 3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61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6 아픈 다리에 찜질하기-신종코로나바이러스페염시기 일부 언론의 불순한 속셈 2020-02-17 1 1667
65 이데올로기적 편견도 바이러스다 2020-02-14 0 1720
64 응답한 건 시대가 아니라 양준일이다 2020-02-07 0 1736
63 새해를 맞으며 나누는 인사말의 계시(박병대) 2020-01-14 0 1833
62 [두만강칼럼]정겨운 ‘지옥’(심명주) 2019-12-19 0 2040
61 알면 알수록 사랑하게 되는 것(최해선) 2019-11-20 0 1786
60 우리는 무엇을 물려줘야 하나?(김동수) 2019-11-06 0 1566
59 ‘쓰러’지는 모교를 보면서 2019-10-22 0 1979
58 국가급 풍경구와 ‘옥에 티’(황동수) 2019-10-11 0 1632
57 우리는 무엇에 가치를 부여하는가(정련) 2019-10-08 0 1501
56 브랜드와 기업의 가치□ 김준환 2019-09-27 0 1629
55 그 곳이 차마 꿈엔들…(리은실) 2019-09-16 0 1660
54 ‘조선말 새 규범’을 두고(김미월) 2019-09-09 1 2367
53 [대림칼럼] 언행의 품격을 갖추자(곽미란) 2019-08-19 10 1728
52 [두만강칼럼]방관자의 리기주의(윤윤진) 2019-08-13 0 1698
51 [대림칼럼] '「표현의 부자유전」⦁ 그 후'에 대해서(엄정자) 2019-08-12 0 1598
50 [대림칼럼] 글쓰기에 대한 단상(류경자) 2019-08-01 0 1912
49 [대림칼럼] 디아스포라의 명상학 개론(최수석) 2019-07-10 0 1530
48 집 탓에 집 덕에□ 김준환 2019-06-13 0 1676
47 반려견의 시선으로 바라본 인생 -영화 《베일리 어게인2》 2019-05-28 0 210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