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토템시/ 백학= 남영전, 해설= 현춘산(4)
2020년 09월 08일 20시 17분  조회:2521  추천:0  작성자: 죽림
토템문화와 토템시(4)
(ZOGLO) 2020년7월30일 
 
 
백학(흰 두루미), 백의 민족의 혼
 
현춘산
 
백설같은 두루미, 하얀 두루미.
목과 다리가 훤칠하게 생긴 흰 두루미가, 그 백학(白鹤)이 푸른 하늘을 가르며 높이 솟아오른다. 너울너울 춤추는 날개짓은 푸른 바다를 유유히 헤염치는 듯, 하늘하늘 창공에 뜬 모습은 흡사 어여쁜 천사의 모습이런 듯, 그 기품 있고 정결하고 도고한 자세는 또한 얼마나 우아하고 아름다운가.
 
고대의 동이족(东夷族)은 각별히 조류를 숭배했었다. 동이족의 조류숭배는 그가 처했던 자연지리적 조건에서 비롯되였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태양이 솟는 동쪽나라, 첩첩 뭇산과 천리 림해와 만경창파를 안고 사시절이 분명한 자연지리적 조건에서 말이다.
일년치고 사시절이 바뀜에 따라 철새들이 날아오고 날아간다.
동이족의 천신(天神)숭배는 바로 태양숭배였다. 그들은 하늘높이 비상(飞翔)하는 새들이 태양으로 날아갔다가 태양에서 대지로 돌아온다고 믿었다. 그중 가장 높이 날아오르는 새가 백학이다. 그래서 신선들이 하늘에 오를 때면 백학을 타고 오른다고 했다.
동이족은 태양의 밝은 빛을 흰색으로 간주했다. 그래서 태양이 비추는 낮을 "백천"(白天)이라고 불렀다. 태양이 비치는 "백천"과 백설 같이 흰 백학.
과연 우리 선조들의 시각으로 보는 백학은 어떤 새였을가.
태양숭배에서 비롯된 흰 색에 대한 숭상, 흰 색에 대한 숭상으로 옷도 흰 색만을 고집했던 백의민족(白衣民族). 그 백의민족에게 있어서 백학은 과연 어떤 새였을가.
백학은 또한 성인(圣人)의 화신으로 되기도 한다. 옛날 고기붙이 아니면 식사를 못하는 모친을 위해 사냥을 하던 신효거사가 마땅한 사냥감이 없어 하늘 높이 날아가는 다섯 마리의 학을 바라고 화살을 날린다. 그러자 그중의 학 한마리가 깃털 한대를 떨어뜨린다. 거사가 그 깃털을 눈에 대고 보니 사람들이 모두 짐승으로 보였다. 훗날 거사를 만난 오류성중(五类圣众)의 하나가 자기의 깃털을 돌려달라고 해서 그 깃털을 주니 떨어진 옷자락에 갖다대는데 그 깃털이 삼베쪼박으로 변하여 꼭 들어맞는 것이였다.
그 다섯 도사가 바로 신효거사가 활로 쏜 다섯 마리의 학이였다. 백학은 그 도사들의 토템이였다. 토템과  인간의 호상전환을 보여준 사례다.
백학은 소나무, 사슴, 불로초 등과 마찬가지로 우리 민족 십장생(十长生)의 하나로 간주되였다. 백학은 천지간에 아름다운 것만 취하여 그 몸을 보양하고 사기(死气)가 없는 가운데 살므로 장수한다고 한다.
백학은 다른 조류에 비하여 높이 나는 새로서 비상과 높이를 상징하는 동물.
억센 날개로 하늘높이 나는 새, 풍운(风云)을 헤가르며 풍랑을 맞받아 하늘높이 날아오르는 새, 그는 피와 불의 세례속에서 신음하던 이 땅의 인간들에게 있어서 희망이였고 간난신고로 자기의  운명을 개척하던 백의민족의 귀감이였고 힘이 아니였을가.
시인 남영전의 토템시 "백학"은 백학의 성격을 백의 민족의 혼으로 표현하고 있다.
 
백의 혼이여
천만년 깊이 묻힌 피비린 내음에 절고
천만년 검붉은 질식속에 몸부림치고
천만년 무거운 층암속을 뚫고 나오며
검은 삿갓 검은 두루마기 검은 적삼 불살라버리고
천지간에 하얗게 다듬어진 넋
 
백의 혼은 바로 이렇게 유구한 세월 험악한 환경과 엄혹한 시련속에서 련마된 것이다.
이렇게 련마된 백의민족의 넋이였기에 "결백속의 붉은 피방울/백두의 얼음속에 스며든데도 애탄하지 않고/더욱 더 많고 많은 백의 혼 낳아키웠"던 것이다!
남영전시인의 토템시에서 표현된 백학의 토템이미지는 광명과 자유와 행복을 위하여 풍랑을 헤쳐온 백의 민족의 억센 투지와 생명력이며 백의민족의 깨끗한 지조와 굴함없는 령혼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30 토템시/ 사슴= 남영전, 해설= 현춘산(7) 2020-10-10 0 2646
1529 토템시/ 물= 남영전, 해설= 현춘산(6) 2020-10-10 0 2467
1528 토템시/ 흙= 남영전, 해설= 현춘산(5) 2020-10-10 0 2557
1527 시=흥취 2020-10-09 0 2500
1526 조선족문단 우화시 개척자 - 허두남 2020-09-08 0 2693
1525 토템시/ 백학= 남영전, 해설= 현춘산(4) 2020-09-08 0 2521
1524 토템시/ 신단수= 남영전, 해설= 현춘산(3) 2020-09-08 0 2516
1523 토템시/ 곰= 남영전, 해설= 현춘산(2) 2020-09-08 0 2388
1522 토템시/ 달= 남영전, 해설= 현춘산(1) 2020-09-08 0 2497
1521 토템과 남영전시인 11 2020-09-03 0 2883
1520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어학회" 2020-09-03 0 3900
1519 우아하게 삽시다 / 우상렬 2020-08-24 0 3142
1518 토템과 남영전 시인 10 2020-07-18 0 2942
1517 토템과 남영전 시인 9 2020-07-18 0 3200
1516 토템과 남영전 시인 8 2020-07-18 0 2951
1515 토템과 남영전 시인 7 2020-07-18 0 3516
1514 토템과 남영전 시인 6 2020-07-18 0 3369
1513 토템과 남영전 시인 5 2020-07-18 0 3260
1512 두만강은 알리라... 2020-07-17 0 3048
1511 작가들의 큰 박수를 받은 민족개념/ "길림신문"/ 김승종 2020-07-02 0 3344
1510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591
1509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233
1508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555
1507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339
1506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384
1505 토템과 남영전 시인 4 2020-06-27 0 3047
1504 토템과 남영전 시인 3 2020-06-27 0 3373
1503 토템과 남영전 시인 2 2020-06-27 0 3220
1502 토템과 남영전 시인 1 2020-06-27 0 3222
1501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0 0 3408
1500 친족, 친척 = 토템 2020-06-20 0 2970
1499 [시공부 101] - 38... 2020-05-13 0 3071
1498 [시공부 101] - 37... 2020-05-13 0 3378
1497 [시공부 101] - 36... 2020-05-13 0 4662
1496 [잊혀진 민속] - 다듬이 2020-05-08 0 4889
1495 [그것이 알고싶다] - "토템"연구와 남영전 시인 2020-05-02 0 3462
1494 [그것이 알고싶다] - "단군신화" 2020-04-30 0 3236
1493 [시문학소사전] - 토테미즘 2020-04-30 0 4017
1492 [시공부 101] - 35... 2020-04-04 0 3089
1491 [시공부 101] - 33... 2020-04-04 0 3729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