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공부 101] - 25...
2020년 03월 07일 00시 23분  조회:3373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시인과 시적 화자는 다르다고요?

 

 

분야 현대 시

교과 연계표

교과 연계표
구분 교과 단원

중학교

 

문학의 갈래

고등학교

문학

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

시에서 말하는 사람을 시적 화자라고 하는데 시인과 시적 화자를 구분하는 이유는 뭔가요? 굳이 그렇게 구분해서 얻는 효과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소설에서 말하는 서술자와 시적 화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알고 싶어요.

시인과 시적 화자는 다르다고요?

시인이 작가라면, 시적 화자는 배우

시인과 시적 화자는 분명히 다릅니다. 여러분이 좋아하는 아이돌 가수들을 떠올려 보세요. 대개 사랑과 실연의 아픔을 표현한 노래를 많이 부릅니다. 그런데 그들 중에서 실제로 사랑에 빠졌거나 실연을 당한 사람이 있나요? 그런 사람도 있겠지만 이별의 아픔이 없는 사람도 있고 사랑에 빠져 있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자기들이 마치 실제로 그런 상황에 놓인 것처럼 기쁘거나 슬픈 표정을 짓지요. 그러지 않으면 그들의 노래가 우리 마음을 흔들 수 없겠지요. 혹은 무대 매너가 별로라고 인기가 곤두박질칠지도 모릅니다. 사람들은 노래가 가수의 실제 경험이 아닌 줄 알면서도 가수가 노래에 실감나게 감정을 담아 부를 때 큰 감동을 얻습니다. 물론 노래가 끝나면 가수들은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일상으로 되돌아옵니다.

시인과 시적 화자의 관계도 비슷합니다. 시인은 시를 쓰는 사람일 뿐 시 속에서 말하는 사람은 아닙니다. 시 속에서 이야기하는 사람은 노래를 하는 아이돌처럼 시의 상황에 흠뻑 취하고 그것을 현실로 받아들이지만 시인은 시라는 무대가 아닌 작품 밖에, 즉 삶 속에 머무르는 생활인입니다. 무대 밖에서 노래를 만들고 가사를 쓰는 작곡 · 작사가처럼 말입니다.

물론 가수가 자신이 직접 겪은 일을 노래할 수 있듯이 시인도 자신이 직접 겪은 이야기를 시로 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시인이 자기 이야기만 쓴다고 가정해 보세요.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더 이상 작품을 쓰기가 곤란해질 것입니다. 소재도 떨어지고 자기가 쓴 시 때문에 실제의 삶 속에서 여러 가지 제약도 생길 수 있지요. 시인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허구적인 대리인을 내세울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를 시적 화자라고 부르며 또 다른 말로는 ‘서정적 자아’라고도 하지요.

시적 화자는 1인칭과 3인칭으로 존재한다

시적 화자는 소설의 서술자처럼 복잡하지 않습니다. 소설의 서술자는 1인칭과 3인칭으로, 다시 1인칭은 주인공 · 관찰자 시점으로 3인칭은 관찰자 ·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복잡하게 구분이 되지만 시적 화자는 이보다 훨씬 단순하게 나뉩니다. 시적 화자는 시 안에 직접 나타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눌 수가 있지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김소월, 「진달래꽃」 중에서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박목월, 「나그네」 중에서

두 편의 시를 보면 시적 화자가 어떻게 다른지 금방 짐작할 수 있습니다. 두 작품모두 시적 화자가 존재합니다. 그런데 첫 번째 작품은 ‘나’가 직접 작품 속에 등장하지만, 두 번째 작품에서는 시적 화자가 직접 드러나지 않습니다. 소설의 3인칭 관찰자처럼 객관적인 상황만 제시하고 있는 것이지요.

시적 화자가 1인칭인 경우, 시인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섬세하고 미묘한 감정과 정서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김소월의 「진달래꽃」에서 이별의 슬픔이 그토록 안타깝게 느껴지는 것은 ‘나’라는 화자의 감정이 ‘나’의 입을 통해 섬세하게 전달되었기 때문이지요. 반면 시적 화자가 3인칭인 경우, 독자들은 시적 상황과 대상을 좀 더 사실적이고 현장감 있게 느낄 수 있습니다. 박목월의 「나그네」에서 나그네의 외로운 정서는 시에 나타난 강나루, 밀밭, 구름 등 사실적인 소재들이 제시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이처럼 현대 시에서 화자는 작품의 주제를 표현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뜬금있는 질문

시인과 시적 화자가 서로 다른 입장을 지닐 수도 있나요?

물론입니다. 시인과 시적 화자는 서로 다른 인격이기 때문에 굳이 입장을 같이할 필요는 없지요. 특히 시인이 자기 반성과 성찰을 한다든가, 자신을 스스로 풍자할 때는 시인과 시적 화자가 지향하는 것이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김광규의 「상행」에서 시인은 물질적인 가치만을 중시하는 시적 화자를 내세워 시적 화자 자체를 풍자하기도 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인과 시적 화자는 다르다고요?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70 "우리집마당에 자라는 애기똥풀 알아보는데 아홉해나 걸렸다"... 2018-02-28 0 2347
969 편복 / 리육사 2018-02-28 0 2756
968 어린이의 인생을 지옥으로 연출해내면 엄마가 아니다... 2018-02-26 0 2299
967 詩 = 詩人 = 詩 2018-02-25 0 2521
966 "연변문학은 '고립된 섬'에서 해탈해야 '지옥'에 안간다"... 2018-02-21 0 2495
965 詩가 "잠꼬대 하기", "눈물코물 쥐여짜기" "자화상"되지말기 2018-02-21 0 2701
964 시는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며 직설이 아니라 우설이다... 2018-02-21 0 7836
963 우리 詩가 때벗이 해야 할 리유,- "그리지 않고 그리기" 2018-02-20 0 2715
962 한시 모음 2018-02-20 0 3195
961 <고향> 시모음 2018-02-20 0 2973
960 헝가리 민중시인 - 아틸라 요제프 2018-02-19 0 4309
959 윤동주, 헝가리의 밤하늘가에 샛별로 처음 뜨다... 2018-02-19 0 2496
958 세계문학사 유례없는 20대 천재 시인 - 윤동주 2018-02-18 0 2370
957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2018-02-14 0 2341
956 <숟가락> 시모음 2018-02-11 0 2395
955 <삶=사람=삶> 시모음 2018-02-09 0 2674
954 <삶> 시모음 2018-02-07 0 3449
953 <민들레> 시모음 2018-02-06 0 2447
952 <자연> 시모음 2018-02-06 0 2328
951 배금주의와 향락주의 작품은 실패작 2018-02-03 0 2388
950 <이사> 시모음 2018-02-03 0 3832
949 {쟁명} - 단편 시가 영 詩맛 안나는데 시라 해ㅠ... 2018-02-03 0 2568
948 "공부벌레"는 담장을 뚫고 날아오를수가 있다... 2018-02-03 0 2054
947 <신발> 시모음 2018-02-02 0 2649
946 마음의 휴식이 필요한 요즘, 시를 감상하기.. 2018-02-02 0 2486
945 "한알은 날짐승 주고, 또 한알은 들짐승 먹고 남은 한알은..." 2018-02-01 0 2688
944 <새> 시모음 2018-02-01 0 3921
943 "나는 인생을 증오한다"... 2018-01-30 0 2396
942 과연 당신만의 "십자가"를 짊어질수 있는 용기가 있는가... 2018-01-30 0 2171
941 윤동주 친구, 문익환 다시 알기... 2018-01-29 0 3626
940 <할아버지> 시모음 2018-01-27 0 2629
939 <할머니> 시모음 2018-01-27 0 2373
938 <술> 시모음 2018-01-25 0 2461
937 "자본가는 돼지가 되고 시인은 공룡이 된다"... 2018-01-25 0 2680
936 <개> 시모음 2018-01-23 0 2740
935 무소유와 삶과 죽음과 그리고... 2018-01-23 0 2742
934 "나는 그냥 나 자신이면 됩니다"... 2018-01-19 0 2246
933 인류의 가장 위대한 노래 - 아리랑 2018-01-10 0 4101
932 노래 "아리랑"속에 말못할 "비밀"이 없다?... 있다!... 2018-01-10 0 2674
931 보르헤스 시학 / 한편의 시가 여려편의 번역 시 비교 2018-01-10 0 2950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