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한국 최초 시 전문지
2019년 12월 16일 23시 34분  조회:3238  추천:0  작성자: 죽림

한국 최초 시 전문지

낭만주의를 표방했던 시 전문 잡지, <장미촌>

 

요약 1921년 5월 24일, 최초로 시만을 전문으로 다룬 잡지 <장미촌> 창간.
크기는 사륙판, 23면에 15편의 시가 실림. 그중 1편은 번역시.
표지에 제호 아래 '자유시의 선구'라는 문구로 잡지 동인들의 문학적 태도를 보여줌.
정가는 20전, 광고도 게재하고자 요금표도 실림. 그러나 2호를 내지 못하고 종간.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시만을 전문으로 다룬 잡지는 1921년 5월 24일에 창간된 <장미촌>이다.

이 무렵 문예지는 대개 동인지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장미촌>도 역시 상아탑 황석우, 월탄 박종화, 회월 박영희, 수주 변영로, 공초 오상순, 춘성 노자영, 우영 정태신, 근포 신태악, 이훈 등이 동인이 되어 발간된 것이었다.

잡지의 크기는 사륙판으로 23면밖에 되지 않는다. 여기에 15편의 시가 실려 있는데, 그중 1편은 번역시이다.

이렇게 작은 잡지인데도 <장미촌>은 낭만주의를 맨 먼저 표방하고 나서 주목을 받았다.

당시 문단의 분위기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박종화가 <개벽>지에 기고한 '문단 1년을 회고하면서'를 보면 어느 정도 참고가 될 것이다. 1921년에 대한 회고다. 그는 힘의 문학을 강조하면서 이렇게 썼다.

"만 사람의 뜨거운 심장 속에는 어떠한 욕구의 피가 끓으며, 만 사람의 얽혀진 뇌 속에는 어떠한 착란의 고뇌가 허덕이느냐. 이 불안의 고뇌를 건져주고 이 광란의 핏물을 눅여줄 의 는 '의 '을 가진 자이며 '의 '를 읊는 자이다.

가장 경건한 태도로 강하고 뜨거운 그곳에 하여 의 경지를 넘어선 꿈틀꿈틀한 굵다란 이 뛰는 듯한 하얀 종이에 시커먼 먹을 적어 의 을 휘두른 듯한 그러한 예술의 라야 될 것이다. 그러나 불행히 우리 문단에는 이러한 소설가가 없으며 이러한 시인이 없다."

3·1운동 이후 많은 신문·잡지 그리고 출판물이 나와 문화적인 면에서 각성과 인식의 폭이 넓어졌지만 내용에 있어서 나약한 점을 드러내고 있는 문단에 만족치 못하는 글이다.

<장미촌>이 1921년에 창간되었고, 박종화가 이 문예지의 동인이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당시 시인들이 어떤 각오를 지니고 이 잡지를 창간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표지엔 제호 아래에 '자유시의 선구'라는 문구가 실려 있어 이 잡지 동인들의 문학적 태도를 단적으로 대변해주고 있다. 또 그 아래엔 '선언'이라는 글이 실려 있는데, 첫 부분에 제호를 <장미촌>이라 한 연유가 있다.

"우리들은 인간으로서의 참된 고뇌의 촌에 들어왔다. 우리들의 밟아나가는 길은 고독의 끝없이 삭막한 큰 설원이다. 우리는 이곳을 개척하여 우리의 영의 영원한 평화와 안식을 얻을 촌, 장미의 훈향 높은 신과 인간과의 경하로운 화혼의 향연이 열리는 촌을 세우려 한다."

발간사에 해당하는 이 글은 수주 변영로가 쓴 것으로 되어 있다. 수주는 이 글에서 잡지가 황석우의 주도 아래 창간되었다는 사실도 밝히고 있다.

그런데 판권란을 보면 황석우는 편집인으로 되어 있고, 발행인은 미국인 변영서로 되어 있다. 이는 일제 치하에서의 잡지 발행에 따른 제재를 피하기 위한 편법을 말해주는 것이다. 즉, 한국인이 잡지를 발행하려면 미리 원고 검열을 받아야 했기 때문이었다.

<장미촌>은 비록 출발은 작았지만 계획적이고 패기에 차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맨 뒤에는 '동인의 말'을 실어 동인들의 근황을 알려 친근감을 주었고, 독자 투고 안내문도 보인다.

정가는 20전. 광고도 게재하겠으니 참고하라면서 요금표까지 실려 있다. 그러나 2호를 내지 못한 채 종간되고 말았다.

회월 박영희는 1920년대를 '시의 황금시대'라고 표현한 적이 있다. 이 시기에 우리 현대시의 기틀을 마련해주었던 <창조> <폐허> <백조> 세 종류의 순수 문예지가 창간되었다는 사실만으로서도 그 표현은 걸맞는다고 할 수 있다.

바로 그런 시기에 시만을 전문으로 다룬 잡지가 최초로 출현했다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것이다.

동인들의 당시 나이는 대부분 20대 초반. <장미촌>은 재기발랄했던 젊은 문인들이 한국 문학사에 찍어놓은 작지만 분명한 족적이었다.

관련이미지 6

장미촌

장미촌1921년 5월 24일 창간되었던 우리나라 최초의 시 전문지.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한국 최초 시 전문지 - 낭만주의를 표방했던 시 전문 잡지, <장미촌> (한국 최초 101장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90 화룡 두만강역 로과籍 - 방홍국 시 쓰다... 2017-12-16 0 2344
889 <섬> 시모음 2017-12-14 0 2372
888 "이 섬에서 저 섬으로 가고 싶다"... 2017-12-14 0 2871
887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2017-12-14 0 2619
886 시인은 "쉽고 편안하면서도 아름답고 품격있는 시"를 써야... 2017-12-14 0 2621
885 반도에서 최초의 성교육 동시집 "응아~" 태여나다... 2017-12-12 0 2218
884 모든 시인은 "자연파"이다... 2017-12-12 0 2602
883 {쟁명}하이퍼시에서 감정은 감옥세계에... 감각은 자유세상에... 2017-12-10 0 2198
882 노을아, 나와 놀쟈... 2017-12-09 0 3603
881 평화야, 어서 빨리 오너라... 닐리리 우리 함께 놀아나 보쟈... 2017-12-09 0 2354
880 작은것과 큰것... 2017-12-07 0 2535
879 [사투리공부] - 시 "진달래꽃"를 강원도 사투리로 보기 2017-12-06 0 2583
878 {쟁명} - 하이퍼시는 두차례 이상의 "도주"가 있어야... 2017-12-01 0 3087
877 "미안합니다, 동주"... "윤동주를 려행하다"... 2017-11-30 0 2931
876 징그러워 보이기도 하면서 아름다운 예술세계... 2017-11-28 0 4873
875 독일 유대계 녀류시인 - 넬리 작스 2017-11-21 0 2740
874 [쟁명] - 하이퍼시와 "다수"와 "소수" 그리고... 2017-11-20 0 2556
873 [시문학소사전] - 풍시조(諷詩調)란?... 2017-11-19 0 2733
872 누구나 시인이 될수 없다?... 있다!... 2017-11-18 0 2848
871 현대시 = 비유 2017-11-18 0 3159
870 현대시 = 이미지 2017-11-18 0 2517
869 시문학공부는 끝이 없다... 2017-11-18 0 3190
868 "낯설게하기"시공부 1 2 3... 2017-11-16 0 2792
867 시작은 고정관념을 파괴해야 생명력을 낳는다... 2017-11-16 0 3549
866 낯설기용법= 신선함 "회복창조"하는것, 새로운 시세계 구축... 2017-11-15 0 3474
865 "자화상"에서 "낯설게하기" 찾아보기... 2017-11-15 0 2617
864 낯설게하기란 기존의 코트를 해체, 파괴하는 용감한 행동이다 2017-11-15 0 2471
863 러시아 문예학자 - 시클로프스키 = "낯설게하기" 2017-11-15 0 4835
862 시는 낯설음의 미학이다... 2017-11-15 0 3010
861 시인은 무대(시)뒤에 숨어버린 감독이여야... 2017-11-15 1 2702
860 시인은 조탁능력이 있는 연금술자가 되여야... 2017-11-15 0 2579
859 글쓸 때 시집을 한쪽켠에 놓고 글써라... 2017-11-15 0 3328
858 시작은 "은유와 환유"라는 두 녀자를 사귀러 가는것이다... 2017-11-15 0 3434
857 시는 "광기적 드라마"이다... 2017-11-15 0 2597
856 시는 은유와 환유의 몸부림이다... 2017-11-15 0 3614
855 내전 중에 희생된 "철뚜기와 신비한 베일"에 싸인 시인 2017-11-14 0 4489
85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조문학교과서 4 5 6... 2017-11-14 0 3305
85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문학교과서 1 2 3... 2017-11-14 0 3206
85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세계에서 뛰여 놀쟈... 2017-11-13 0 3131
85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와 언어는 쌍둥이... 2017-11-13 0 3322
‹처음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