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道學 - 정자
2019년 11월 20일 22시 04분  조회:2685  추천:0  작성자: 죽림

철학사전

정자

 

 ]

출생 - 사망 미상 ~ 미상
직업 철학자
분야 유교
국적 중국
시대 송나라
관련인물 주염계

중국 송나라의 정명도(, 1032~1085)와 정이천(, 1033~1107) 두 형제를 말하며 이()정자라고도 한다. 모두 유교철학자. 주염계()에게서 배우고 '이'()를 최고의 범주로 삼아 도학()을 체계화하고 발전시켰다. 그들은 하늘()을 ()라고 하여 달이 냇물에 그 모습이 비치듯이 천하 만물은 이 유일하고 절대인 이()를 구현하고 있는 것이고, 천리()가 일정한 목적 하에 우주의 질서를 세운다고 하는 목적론적 세계관을 수립하였다. '부자ㆍ군신'도 '천하의 정리'()이기에 어느 누구도 이 관계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고 하여 불교의 출세간()주의를 비판하고 현실의 봉건적 신분질서를 절대화 시켰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그 사상, 성격에 차이점이 있다. 명도는 천지의 움직임을 '역'()에 기초하여 '생생'()이라고 보고, 만물(사물도 인간도 모두)은 모두 천지의 생의()를 받은 '일체'라고 생각하였으며, 천지생생의 을 '인'()이라고 하여 '만물 일체의 인'이란 관념을 수립하였다.

이것은 ()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서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이 만물일체=물아()일체로 되고, 범위를 확장시켜 종래엔 인()과 병렬되어 있던 의ㆍ예ㆍ지ㆍ신()도 모두 인()으로 되어, 인()은 덕()의 근본이고 의ㆍ예ㆍ지ㆍ신은 그 한정으로서 오상()이 구조적으로 해석되어 왔으며, 이것은 주자학으로 완성되었다.

이리하여 인은 학자가 제1로 삼아야 할 것이며, 그 실현은 인의 규정에 따라서 천지 만물 만민의 생의를 직접 공감하는 체인()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명도의 사상은 직관, 체인을 특징으로 한 데 비하여, 아우인 이천은 분석적, 사변적 태도와 엄격한 도덕주의를 본령으로 하였다.

이천은 '역'()의 '일음일양'() 즉 '도'()라는 명제에 대하여 음양은 ()로 형이하학적인 것이고 는 음양의 '이유'()로서 형이상학적인 것으로, 양자를 차원을 달리하는 것으로 보았다. 윤리설에서는 '성즉리'()의 명제를 세워 성선설을 천리로 삼아 절대화하고, 을 천명()의 성과 기질()의 성으로 나누고 또한 성과 정()을 구별하였다.

여기서 '천리'를 세우고 '인욕'()을 멸한다는 엄숙주의가 나오는 것이다. 이천은 '이'의 분석적 추구, '격물궁리'()를 강조함과 동시에 '경'()을 통하여 마음을 수양하는 '거경'( ; 마음의 집중)이란 방법을 중시한다. 유일 절대한 '이'를 대상으로 하는 '궁리'는 실증적인 것이 아니라 관념적이기 때문에 '거경'이 '궁리'의 정신적 태도로서 강조되었다. 주자()는 명도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이천의 사상을 전면적으로 수용하여 주자학의 골격을 세웠다.

주요저서

  • 明道文集, 5권. 易傳, 4권(이천). 伊川文集.

    [네이버 지식백과] 정자 [程子] (철학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3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구멍 2018-12-20 0 2853
13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12-19 0 2886
1328 윤동주와 꿈 2018-12-19 1 2802
1327 ... 2018-12-19 0 3238
1326 ... 2018-12-19 0 2533
1325 ... 2018-12-18 0 3050
1324 ... 2018-12-18 0 2676
1323 ... 2018-12-18 0 2767
1322 ... 2018-12-18 0 2888
1321 ... 2018-12-18 0 2648
1320 ... 2018-12-18 0 2899
1319 시 한수에 그림책 한부 나오다니... 2018-12-18 0 3033
1318 ... 2018-12-18 0 2642
1317 ... 2018-12-18 0 3389
1316 {자료} - 해방전 조선인 시선 2018-12-17 0 3354
13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꿈은 깨여지고 2018-12-17 0 3171
13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2) 2018-11-30 0 6801
1313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11-30 0 3198
1312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11-27 0 3708
131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울림 2018-11-27 0 3608
1310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11-26 0 4065
13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11-26 0 3526
13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로봉 2018-11-25 0 3472
13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협의 오후 2018-11-25 0 3660
130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분석 2018-11-25 0 4567
1305 윤동주, 그 뒷이야기???... 2018-11-24 0 3303
130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2) 2018-11-24 0 3219
130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11-23 0 2689
13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이 바다가 되여 2018-11-20 0 3595
1301 백두산 / 조기천 2018-11-18 0 3361
130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둘 다 2018-11-17 0 3351
1299 "한국의 안데르센" - 강소천 2018-11-17 0 2782
1298 윤동주와 강소천 2018-11-17 0 4740
1297 {자료} - 남영전시인이 보는 중국조선족문학 2018-11-17 0 2709
1296 윤동주가 좋아했던 아동문학가 - 윤석중 2018-11-16 0 2798
1295 윤동주와 윤석중 2018-11-15 0 3296
12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침 2018-11-15 0 3428
12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11-15 0 3344
1292 한춘&김혁 2018-11-15 0 2771
1291 리상(이상)이 동시를 썼다???!!! 2018-11-14 0 2767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