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그것이 알고싶다] - "옥중가"와 100여년...
2019년 03월 02일 23시 42분  조회:3406  추천:0  작성자: 죽림
<앵커>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뒤 뤼순 감옥에 갇힌 안중근 의사가 직접 만들어서 부른 노래가 있습니다. 옥중 생활의 고통과 독립에 대한 염원이 고스란히 담긴 이 옥중가가 100여 년이 지나 다시 불렀습니다.

김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적막한 가을 강산 야월 심경에 슬피 울며 날아가는 저 기러기야."

뤼순 감옥에 갇힌 안중근 의사가 민요풍 선율에 3절 가사로 지어 불렀던 노래입니다.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 망국의 울분, 감방 생활의 고충을 토로하며 애상에 젖다가도 다시금 투쟁 의지를 다집니다.

"콩 든 밥이 맛이 있어 누가 먹겠나 때려라 부숴라 왜놈들 죽여라"

[김재일/바리톤 : 신세 한탄만 하는 게 아니라 다시 또 조국의 독립에 대한 의지가 들어 있기에 감동을 주는 것 같습니다.]

일제가 금지곡으로 지정했지만 안 의사의 사촌 동생 안익근, 6촌 동생 곽희종 씨를 거치며 구전돼 살아남았습니다.

음악학자 고 노동은 씨가 중국에서 발굴해 국내에 처음 알렸지만, 실제로 노래를 들을 기회는 거의 없었습니다.

[이인자/관객 (서울 길음동) : 그 어려운 시기에, 갈 때에, 정말 나라를 생각하고 이렇게 (노래를) 썼다는 건, 정말 우리가 다시 한번 새겨봐야 할 것 같네요.]

[슈징징/중국인 관객 : 한국과 중국의 이전 역사가 깊이 관련되어 있잖아요. (안중근 옥중가를 처음 들어서) 정말 뜻깊게 생각합니다.]

옥중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조국의 독립을 염원했던 안중근 의사의 옥중가, 100여 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 신념이 절절하게 다가옵니다.

(영상취재 : 주 범, 영상편집 : 유미라)  

김수현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3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구멍 2018-12-20 0 2854
13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12-19 0 2914
1328 윤동주와 꿈 2018-12-19 1 2847
1327 ... 2018-12-19 0 3257
1326 ... 2018-12-19 0 2556
1325 ... 2018-12-18 0 3066
1324 ... 2018-12-18 0 2700
1323 ... 2018-12-18 0 2852
1322 ... 2018-12-18 0 2917
1321 ... 2018-12-18 0 2676
1320 ... 2018-12-18 0 2930
1319 시 한수에 그림책 한부 나오다니... 2018-12-18 0 3066
1318 ... 2018-12-18 0 2670
1317 ... 2018-12-18 0 3413
1316 {자료} - 해방전 조선인 시선 2018-12-17 0 3385
13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꿈은 깨여지고 2018-12-17 0 3200
13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2) 2018-11-30 0 6841
1313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11-30 0 3275
1312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11-27 0 3724
131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울림 2018-11-27 0 3659
1310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11-26 0 4083
13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11-26 0 3563
13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로봉 2018-11-25 0 3526
13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협의 오후 2018-11-25 0 3717
130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분석 2018-11-25 0 4654
1305 윤동주, 그 뒷이야기???... 2018-11-24 0 3333
130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2) 2018-11-24 0 3259
130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11-23 0 2707
13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이 바다가 되여 2018-11-20 0 3622
1301 백두산 / 조기천 2018-11-18 0 3389
130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둘 다 2018-11-17 0 3382
1299 "한국의 안데르센" - 강소천 2018-11-17 0 2811
1298 윤동주와 강소천 2018-11-17 0 4774
1297 {자료} - 남영전시인이 보는 중국조선족문학 2018-11-17 0 2738
1296 윤동주가 좋아했던 아동문학가 - 윤석중 2018-11-16 0 2809
1295 윤동주와 윤석중 2018-11-15 0 3306
12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침 2018-11-15 0 3456
12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11-15 0 3417
1292 한춘&김혁 2018-11-15 0 2792
1291 리상(이상)이 동시를 썼다???!!! 2018-11-14 0 2794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