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8월 2025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떡국" 유래?...
2019년 02월 06일 00시 46분  조회:4107  추천:0  작성자: 죽림
 

떡국을 왜 설날에 먹는 걸까요?

 

 

 

떡국은 멥쌀을 가루내어 떡메로 친 후 손으로 길게 흰 가래떡을 썰어서 맑은 장국을 넣고 끓인 음식입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따르면 떡국은 백탕 혹은 병탕이라고 적혀 있어요. 즉, 겉모양이 희다고 하여 백탕이라고하며,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고 하여 병탕이라고 했답니다. 또 나이를 물을 때 병탕 및 사발 먹었느냐고 하는데서 유래하여 첨세병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보통 설날 아침에 떡국으로 조상제사의 메(밥)을 대신하여 차례를 모시고, 그것으로 밥을 대신해서 먹었다고 합니다.

 

떡국의 유래에 대해서는 오래된 문헌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정확한 때를 가리지 못하지만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에 따르면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속은 매우 오래된 것으로 상고시대의 신년 제사때 먹던 음복 음식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합니다.

 

떡을 주식으로 먹던 때의 관습이 지속된 것으로 여겨졌고,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 떡국의 유래를 알 수 있는 역사문헌으로는 동국세시기와 열양세시기가 있고 이들 책에서 떡국은 정조차례와 세찬에 없으면 안될 음식으로 설날 아침에 반드시 먹었으며, 손님이 오면 꼭 대접 했다고 합니다.

 
떡국의 국물은 만드는 주재료는 원래 꿩고기를 으뜸으로 했다고 합니다. 고려 후기에 원나라에 풍속에서 배워온 매사냥이 귀족들의 사치스러운 놀이로 자리 잡으면서 매가 물어온 꿩으로 국물을 만든 떡국이나 만둣국 그리고 꿩고기를 속으로 넣은 만두가 고급 음식으로 대접 받았습니다. 하지만 특별하게 매사냥을 하지 않으면 꿩고기를 구하기가 쉬운일이 아니어서 일반인들은 닭고기로 떡국의 국물을 내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떡국의 국물은 꿩고기나 닭고기로 하지 않고 소고기로 이용하는데, 그 이유는 소고기가 쉽게 구하게 된 이후에 생겨난 변화라고 합니다.

 

 

 
===========================///

 

설날 절식으로 떡국을 먹는 풍속이 언제부터 자리 잡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조선후기에 편찬된 동국세시기,열양세시기 등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문헌에 정조차례와 세찬에 없어서는 안될 음식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꽤 오래전부터 떡국을 즐긴 것으로 보인다.

 

최남선(崔南善)은 조선상식(朝鮮常識)에서 매우 오래된 풍속으로 상고시대의 신년축제시에 먹던 음복적(飮福的) 성격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하였다. 떡국은 설날뿐 아니라 평소에도 일품요리 형태의 한끼음식으로 널리 상용되고 있다. 개성지역에는 조랭이떡국이라 하여 흰떡을 가늘게 빚어 3㎝ 가량으로 끊고 가운데를 잘록하게 만들며 충청도지방에서는 생떡국이라 하여 쌀가루를 익반죽하여 만드는데 떡국을 만드는 방법은 지방마다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정월 초하루가 되면 집에서 차례를 지내고 집안 어른은 물론 주위 어른들게 세배를 하러 다닌다. 이때 차례상에서는 밥과 국 대신 떡국을 올리며 세배를 하러 온 사람들에게도 떡국을 대접한다. 또한 설날에 떡국을 먹어야 비로소 한 살을 더 먹는다고도 한다. 떡국을 먹은 그릇 수대로 나이를 먹는다고 하여 빨리 어른이 되고 싶은 마음에 아이들은 몇 그릇씩 먹기도 하였다.

 


첨부 이미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31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락서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9 0 5848
231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연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8 0 5616
2315 [쉼터] - 모든 아들딸 찰떡처럼 좋은 대학에 떡하니 붙거라... 2018-06-07 0 4278
2314 [그것이 알고싶다] - 네팔 구르카족 "쿠크리"= 단검?... 2018-06-07 0 8472
231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새끼 코끼리야, 잘 자라거라... 2018-06-07 0 5519
231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안중근과 권총 2018-06-06 0 3907
231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알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6 0 5836
231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축제와 동물죽음",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6 0 4919
230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내가 봤던 코끼리가 죽다니..." 2018-06-05 0 5240
230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세계평화생태공원 만들자"... 2018-06-05 0 5579
23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5 0 4196
230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조선 범 살리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4 0 5471
2305 [동네방네] - "평양랭면"이 "통일랭면", "평화랭면" 되기만을... 2018-06-03 0 6435
230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연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6-03 0 4686
2303 [이런저런] - 얼굴 전체 가리개 복장 착용 금지 2018-06-01 0 6518
230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진조작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31 0 4427
230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말벌떼피해",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31 0 5945
230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진화산연구",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31 0 6686
229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화산분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30 0 6711
229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공작새가 가져준 금노다지 2018-05-30 0 5302
2297 [문단소식] - 동심과 함께, 시조와 함께 / 두만강과 함께 ... 2018-05-30 0 4155
229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대곰아, 잘 자라거라... 2018-05-30 0 3437
2295 [이런저런] - 세계 10대 혐오 음식 2018-05-27 0 4122
2294 [이런저런] - 세계 10대 악취 음식 2018-05-27 0 5617
2293 [이런저런] - 찰나에 얻은 가치 2018-05-27 0 5194
229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새 키우는 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26 0 6263
2291 "그 작곡가의 노래 한두곡은 좋았었다"... 2018-05-26 0 4335
229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서로 서로 자주 만나야... 2018-05-26 0 5414
228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호랑이 구경 가자... 2018-05-25 0 4448
228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다둥이 백호들아, 무럭무럭... 2018-05-24 0 5189
2287 도전기 = 43년만 의족할아버지 65세에 8,844.43을 정복하다... 2018-05-24 0 4949
2286 [쉼터] -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삶을 산 영화계 큰 별 최은희 2018-05-24 0 7973
2285 [록색문학평화주의者]-"야생동물구조문제",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23 0 5207
2284 [그것이 알고싶다] - "舍利(사리) 비밀?... 2018-05-23 0 8650
228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엄마개와 새끼오리들 2018-05-23 0 5239
2282 [록색평화주의者]- 생태교육과 훼손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23 0 4920
2281 국제 적십자 운동 창시자 - 앙리 뒤낭 2018-05-22 0 5865
2280 [그것이 알고싶다] - "적십자"의 유래?... 2018-05-22 0 6579
227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백두산 협력연구",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5-22 0 5060
2278 [동네방네] - "손에 손 잡고" 작사자 유명을 달리하다... 2018-05-22 0 5574
‹처음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