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귀뚜라미와 나와
2019년 01월 14일 23시 22분  조회:3890  추천:0  작성자: 죽림

 

 

 

 

                          

 

 

귀뚜라미와 나와

 

귀뚜라미와 나와
잔디밭에서 이야기했다.

귀뜰귀뜰
귀뜰귀뜰

아무에게도 알으켜 주지 말고
우리 둘만 알자고 약속했다.

귀뜰귀뜰
귀뜰귀뜰

귀뚜라미와 나와
달 밝은 밤에 이야기했다.

 

―윤동주(1917~1945)

 

 

가슴으로 읽는 동시 일러스트

가장 사랑을 받는 민족시인 윤동주는 순수한 동시를 쓴 동시인 이기도 했다.일제강점기 말기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도 순수한 동심을 잃지 않고

동시를 썼다.

티 없이 맑고 깨끗한 동심을 노래하고 아이의 천진한 모습을 동시에

았다. 그가 남긴 동시는 지금도 어린이들에게 널리 읽히고 있다.

이 동시는 달 밝은 밤에 귀뚜라미와 이야기를 나누는 동심을 노래하고 있다.

외로워서일까, 쓸쓸해서일까.

우리는 가을이면 누군가와 이야기가 하고 싶어진다.

달 밝은 밤이라면 더욱 그러할 터.

그러기에 이 동시 속 아이도

귀뚜라미와 이야기를 한다.

어디 이 아이뿐이겠는가.

우리 또한 밤새워 우는 귀뚜라미와 '아무에게도 알으켜 주지 말고

우리 둘만 아는' 이야기가 하고 싶은 마음은 똑같을 터.

이 가을엔 동심으로 돌아가 달 밝은 밤에 귀뚜라미와

이야기를 나눠보면 어떨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3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구멍 2018-12-20 0 2842
13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12-19 0 2853
1328 윤동주와 꿈 2018-12-19 1 2724
1327 ... 2018-12-19 0 3206
1326 ... 2018-12-19 0 2501
1325 ... 2018-12-18 0 3023
1324 ... 2018-12-18 0 2645
1323 ... 2018-12-18 0 2730
1322 ... 2018-12-18 0 2861
1321 ... 2018-12-18 0 2607
1320 ... 2018-12-18 0 2843
1319 시 한수에 그림책 한부 나오다니... 2018-12-18 0 2994
1318 ... 2018-12-18 0 2614
1317 ... 2018-12-18 0 3358
1316 {자료} - 해방전 조선인 시선 2018-12-17 0 3322
13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꿈은 깨여지고 2018-12-17 0 3139
13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2) 2018-11-30 0 6755
1313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11-30 0 3145
1312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11-27 0 3680
131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울림 2018-11-27 0 3574
1310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11-26 0 4024
13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11-26 0 3503
13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로봉 2018-11-25 0 3430
13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협의 오후 2018-11-25 0 3627
130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분석 2018-11-25 0 4511
1305 윤동주, 그 뒷이야기???... 2018-11-24 0 3278
130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2) 2018-11-24 0 3197
130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11-23 0 2652
13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이 바다가 되여 2018-11-20 0 3568
1301 백두산 / 조기천 2018-11-18 0 3299
130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둘 다 2018-11-17 0 3325
1299 "한국의 안데르센" - 강소천 2018-11-17 0 2749
1298 윤동주와 강소천 2018-11-17 0 4710
1297 {자료} - 남영전시인이 보는 중국조선족문학 2018-11-17 0 2670
1296 윤동주가 좋아했던 아동문학가 - 윤석중 2018-11-16 0 2764
1295 윤동주와 윤석중 2018-11-15 0 3265
12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침 2018-11-15 0 3389
12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11-15 0 3321
1292 한춘&김혁 2018-11-15 0 2748
1291 리상(이상)이 동시를 썼다???!!! 2018-11-14 0 2726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