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년 11월 26일 23시 11분  조회:3520  추천:0  작성자: 죽림


실어다 뿌리는 
바람처럼 씨워타.

솔나무 가지마다 새침히 
고개를 돌리어 뻐들어지고,

밀치고 
밀치운다.

이랑을 넘는 물결은 
폭포처럼 피어오른다.

해변에 아이들이 모인다. 
찰찰 손을 씻고 구부로.

바다는 자꾸 섧어진다., 
갈매기의 노래에.....

돌아다보고 돌아다보고 
돌아가는 오늘의 바다여!

바다  /윤동주 /1937.9.원산 송도원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90 시인의 고향 룡정에서 반세기만에 첫 기념회를 열었던 때가 ... 2017-02-27 0 2202
289 시가 스스로 울어야 독자들도 따라 운다... 2017-02-27 1 2657
288 시의 창으로 넘나드는 시어는 늘 신선해야... 2017-02-27 0 2579
287 "알파고"와 미래의 조선족 2017-02-24 0 2577
286 인공지능 번역기가 없다?... 있다!... 2017-02-24 0 2789
285 인공지능이 영화대본을 못쓴다?... 썼다!... 2017-02-24 0 4135
284 시도 모르는 비인간적인 사회는 배부른 돼지들만 사는 세계 2017-02-24 1 2811
283 인공지능이 천여편의 시를 못쓴다?...썼다!... 2017-02-24 0 2666
282 중국 연변 룡정 동산마루에 "별의 시인" 윤동주묘소가 있다... 2017-02-24 0 2673
281 시인은 궁핍(窮乏)으로 시인의 이름에 누를 끼치지 말아야... 2017-02-24 1 2508
280 윤동주 시와 이육사 시를 재조명해 보다... 2017-02-23 1 9255
279 책을 그렇게도 사랑했던 덕화 남평 길지籍 허봉남 문학가 2017-02-23 0 2679
278 시는 꽃씨와 불씨와 꿈을 지닌 여백(餘白)의 미학이다... 2017-02-23 0 2565
277 "하이쿠시"는 불교, 도교, 유교의 종합체이다... 2017-02-22 1 2937
276 덕화 남평의 "마당형님"이였던 허충남 문학가 2017-02-22 0 2440
275 시는 예쁜 포장지속에 들어있는 빛나는 보석이여야... 2017-02-22 0 2453
274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4)... 2017-02-22 0 3582
273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3)... 2017-02-22 0 2477
272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2)... 2017-02-22 0 2855
271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 2017-02-21 0 2838
270 세계가 기리는 100년의 시인... 2017-02-21 0 2368
269 진정한 시는 "찾아지는 감춤"의 미덕과 미학의 결과물이다... 2017-02-21 0 2834
268 안도현 시론을 재정리하여 알아보다... 2017-02-21 0 3415
267 시 안에서 "잔치"를 벌리라... 2017-02-21 0 2833
266 시는 발효와 숙성의 간고하고 처절한 시간과의 결과물이여야... 2017-02-21 0 3008
265 시인이여, 단순하고 엉뚱한 상상력으로 놀아라... 2017-02-21 0 3644
264 시어는 "관념어"와 친척이 옳다?... 아니다!... 2017-02-21 0 3035
263 멕시코 시인 옥타비오 파스가 "이미지"를 말하다... 2017-02-20 0 3472
262 애송시가 되는 비결은 우리 말로 우리 정서를 표현해야... 2017-02-20 0 2548
261 창조적 모방을 위하여 // 트럼블 스티크니 / 정지용 2017-02-19 0 4208
260 "아버지가 서점이고, 서점이 곧 아버지였다" 2017-02-19 0 3121
259 한국 최초의 번역시집, 최초의 현대 시집 / 김억 2017-02-19 0 4732
25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즈려밟다" 와 "지르밟다" 2017-02-19 0 3980
257 아르헨티나 극단주의적 모더니즘 시인 - 보르헤스 2017-02-19 0 4786
256 "내 시가 독자를 감동시키지 못한다면 죽어도 쉬지 않으리라" 2017-02-19 0 2422
255 시작은 탈언어화로부터 시작하라... 2017-02-19 0 2540
254 "낯설게 하기"를 처음 제시한 사람 - 러시아 작가 쉬클로프스키 2017-02-19 0 2624
253 시는 언어의 건축물이다... 2017-02-19 2 2684
252 시작을 낯설게 하기도 하고 낯익게 하기도 하라... 2017-02-19 0 2365
251 시인은 재료 공급자, 독자는 그 퍼즐맞추는 려행자 2017-02-19 0 2500
‹처음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