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소나무는 꿈을 푸르게 푸르게 꾸고 있다"...
2018년 05월 30일 21시 27분  조회:2892  추천:0  작성자: 죽림

<소나무에 관한 시 모음> 

+ 소나무 

나이테를 보지 않고 
눈어림으로 알 수 있는 버젓한 어깨 

튼튼한 다리가 
보기 좋다. 

꽃보다 더 나은 
푸른 솔이 좋다. 

이런 거구나 
이래야 하는구나. 

냄새도 빛깔도 
이름과 닮은 
의젓한 나무. 

네 모습을 보면서 
소나무야 
꿈까지 푸르게 꾸고 싶다. 
(정두리·시인이며 아동문학가, 1947-) 


+ 소나무 

소나무의 이름은 
솔이야 
그래서 솔밭에 
바람이 솔솔 불면 
저도 솔솔 하고 
대답하며 
저렇게 흔드는 거야 
(이문구·소설가, 1942-2003) 


+ 소나무 

생각이 바르면 말이 바르다. 
말이 바르면 행동이 바르다. 
매운바람 찬 눈에도 거침이 없다. 
늙어 한갓 장작이 될 때까지 
잃지 않는 푸르름. 
영혼이 젊기에 그는 늘 청춘이다. 
오늘도 가슴 설레며 
산등성에 그는 있다. 
(유자효·시인, 1947-) 


+ 소나무에 대한 예배 

학교 뒷산 산책하다, 반성하는 자세로, 
눈발 뒤집어쓴 소나무, 그 아래에서 
오늘 나는 한 사람을 용서하고 
내려왔다. 내가 내 품격을 위해서 
너를 포기한 것이 아닌, 
너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이것이 
나를 이렇게 휘어지게 할지라도. 
제 자세를 흐트리지 않고 
이 地表 위에서 가장 기품 있는 
建木; 소나무, 머리의 눈을 털며 
잠시 진저리친다. 
(황지우·시인, 1952-) 


+ 소나무 

한 발만 더 디디면 벼랑인데 바로 거기서 뿌리를 
내리는 소나무가 있다 자세히 보면 소나무는 
늘 바르르 떨고 있는데, 에멜무지 금방 새로 변해 
날아가도 아무도 탓하지 않을 아슬함으로 잔뜩 
발돋움한 채 바르르 떨고 있는데, 아직도 훌쩍 
날아가지 않고 서 있는 저 나무가 기다린 것은 무어냐 
(송재학·시인, 1955-) 


+ 새해, 소나무를 보며 

올해는 저 소나무가 
뾰족한 잎을 펴서 
빗방울 하나라도 
제 손으로 받아내며 
공(空)으로 듣는 새소리 
갚을 일이 있을까 

아니면 더 푸르게 
새의 눈을 찌르고서 
뾰족한 잎만 봐도 
저절로 울어대는 
새들의 노래 소리를 
공(空)으로 또 들을까 

이도 저도 아니라면 
저 푸른 생각 끝에 
송홧가루 가득 품어 
임 오는 윤사월에 
백년을 기다려 사는 
그리움을 말하려나 
(임영석·시인, 1961-) 


+ 리기다소나무 

당신을 처음 만났을 때 
당신은 한 그루 리기다소나무 같았지요 
푸른 리기다소나무 가지 사이로 
얼핏얼핏 보이던 바다의 눈부신 물결 같았지요 

당신을 처음 만나자마자 
당신의 가장 아름다운 솔방울이 되길 원했지요 
보다 바다 쪽으로 뻗어나간 솥가지가 되어 
가장 부드러운 솔잎이 되길 원했지요 

당신을 처음 만나고 나서 비로소 
혼자서는 아름다울 수 없다는 걸 알았지요 
사랑한다는 것이 아름다운 것인 줄 알았지요 
(정호승·시인, 1950-) 


+ 소나무 숲에는 

소나무 숲에는 뭔가 있다 
숨어서 밤 되기를 기다리는 누군가가 있다 
그렇지 않고서야 저렇게 은근할 수가 있는가 
짐승처럼 가슴을 쓸어 내리며 
모두 돌아오라고, 돌아와 같이 살자고 외치는 
소나무 숲엔 누군가 있다 
어디서나 보이라고, 먼데서도 들으라고 
소나무 숲은 횃불처럼 타오르고 함성처럼 흔들린다 
이 땅에서 나 죄 없이 죽은 사람들과 
다치고 서러운 혼들 모두 들어오라고 
몸을 열어놓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야 바람 부는 날 
저렇게 안 우는 것처럼 울겠는가 
사람들은 살다 모두 소나무 숲으로 갔으므로 
새로 오는 아이들과 먼 조상들까지 
거기서 다 만나는 것 같다 
그래서 우리나라 밥 짓는 연기들은 
거기 모였다가 서운하게 흩어지고 
소나무 숲에는 누군가 있다 
저물어 불 켜는 마을을 내려다보며 
아직 오지 않은 것들을 기다리는 누군가 있다 
그렇지 않고서야 날마다 
저렇게 먼데만 바라보겠는가 
(이상국·시인, 1946-) 
  

+ 소나무의 나라 

잊을 수 있을까, 소나무의 나라 
언젠가 돌아가 누울 
우리들의 나라 
손금으로 흐르는 삶의 강물이 비치는 
영혼이 흐리다 
우리의 삶은 모래 위를 지나는 발자국 
발을 들면 다른 모든 것들과 같은 
허물어지는 형태를 하고 
바람에 잊혀지는 흔적들 
영원한 진리는 어디에 있나 
영원한 나라는? 
누구보다 맑은 영혼을 가질 수 있다면 
우리가 바라보며 눈 감을 나라 
소나무의 뿌리를 찾아다니는 
잘 보존된 당신의 물 
모래 먼지가 지워버린 그림 
소나무의 나라, 하지만 이제는 
잊을 수 없지만 잊혀지는 나라 
차가운 가슴으로도, 
별을 보지 않고도 너끈하게 살아가는 
오늘의 사람들에도 
눈물은 그냥 흘러가고 
그냥 흘러가는 이 땅은 
우리들이 기다리는 천국이 아니다 

우리는 왜 외로운가 
잊혀져 있을 수 없는 
내 속에 자라는 나무 
없어지고 사라지는 어떤 것에도 
자신의 영혼을 바칠 수 없어 
헤매던 숱한 날들의 기억이 
모래 위의 흔적이 되어지고 
우리들의 천국은 사막이 아니다 

바람이 소나무 위에 앉는다 
사랑은 아름다운 것 
사랑을 위해 바친 목숨도 아름다워라 
바람은 어제도 내일도 불지만 
또 그렇게 부는 것만은 아니고 
내 눈앞에서 사라지는 진리의 물 
내 눈앞에서 잊혀지는 소나무의 나라 
내 사랑의 나라 
(서정윤·시인, 1957-) 

 


포옹하는 사진 속
놀라운 착시효과…
네티즌 혼란
(ZOGLO) 2018년5월29일 
  •  
▲ 해당 사진은 서있는 사람이 남성인지 여성인지 헷갈리게 만들었다.
 



남녀가 가볍게 포옹을 하고 있는 사진 한 장이 기이한 착시효과를 일으켜 네티즌들을 큰 혼란에 빠트렸다.



28일(이하 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지난 24일 미국 뉴욕 출신의 한 남성이 자신의 트위터(cj Fentroy)에 올린 사진을 공개했다.

언뜻보기에 파란색 셔츠를 입은 남성이 모니터 앞에 앉아있는 여성을 안고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흰색 바지와 구두는 여성이 입은 것으로 보인다.

cj Fentroy는 "처음에 나는 남자가 구두를 신고 있다고 생각했다"는 문장과 함께 해당 사진을 트위터에 공유했고, 이를 본 트위터 사용자들은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며 논쟁을 시작했다. 네티즌들은 "짧은 머리의 남성이 구두를 신고있다"는 주장과 "긴 머리 여성이 남자를 껴안은 채 기대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는 의견으로 빠르게 갈렸다.

이외에도 “누가 무엇을 입고 있는지 가려내려고 얼마나 오랫동안 이 사진을 쳐다봤는지 모른다”거나 “휴대전화를 다른 쪽으로 기울이거나 거꾸로 뒤집어야 한다”며 해결책을 내놓는 이들도 있었다.

결국 이 사진은 컴퓨터 화면을 향해 웃고 있는 남성의 어깨 위로 여성이 몸을 구부리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결국 여성이 남성의 어깨에 몸을 기댄 것이었다.


///서울신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50 시는 식물과 동물이 말을 걸어 올때 써라... 2017-08-18 0 2346
649 동시로 엮는 어린 시절 색깔들... 2017-08-18 0 2496
648 시는 바람을 그리는 작업이다... 2017-08-17 0 2352
647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는 시간의 증언이며 자아의 확인이다... 2017-08-17 0 1971
646 "풍랑, 아무도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2017-08-17 0 2199
645 나이테야, 나와 놀자... 2017-08-17 0 2051
644 좋은 시는 개성적인 비유와 상징성에서 환기된다... 2017-08-17 0 2223
643 제재를 잘 잡으면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7-08-17 0 2005
642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기 위하여... 2017-08-17 0 2588
641 "한마디 시어때문에 몇달간 고민 고민해야"... 2017-08-17 0 2194
640 시인은 올바른 시어의 선택에 신경써야... 2017-08-17 0 1940
639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08-17 0 2036
638 문학하는 일은 "헛것"에 대한 투자, 태양에 기대를 꽂는 일... 2017-08-17 0 2106
637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08-17 0 2205
636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08-17 0 2330
635 좋은 음악은 시를 쓰는데 령혼의 교감적 밑바탕이 된다... 2017-08-17 0 1985
634 사람들 놀라게 시를 써라... 2017-08-17 0 2100
633 보여주는 시와 말하는 시... 2017-08-17 0 2091
632 소통 불능의 시는 난해한 시가 될수밖에... 2017-08-17 0 1930
631 산이 태양을 삼키다... 2017-08-17 0 2155
630 남자를 돌려주고... 녀자를 돌려다오... 2017-08-17 0 2124
629 문학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08-17 0 2242
628 시와 산문은 다르다... 2017-08-17 0 2478
627 글쓰는 재주는 비정상과 불당연에서 나온다... 2017-08-17 0 2144
626 하이퍼시 창작론 / 최룡관 2017-08-17 0 2146
625 "죽은 개는 짖어댄다"/ 박문희 2017-08-17 0 1968
624 안개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332
623 시를 찾아가는 아홉갈래 길이 없다...? 있다...! 2017-07-27 0 2099
622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275
621 련금된 말과 상상과 이미지화된 말과 만나 만드는 시세계... 2017-07-27 0 2081
6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새야, 나와 놀쟈... 2017-07-25 0 2334
619 5 + 7 + 5 = 17자 = 3행 2017-07-24 0 2366
618 나팔꽃아, 어서 빨리 띠띠따따 나팔 불며 나와 놀쟈... 2017-07-24 0 2284
617 "이 진흙별에서 별빛까지는 얼마만큼 멀까"... 2017-07-24 0 2214
616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2017-07-24 0 2652
615 시인은 자아를 속박하고 있는 억압을 끊임없이 해방시켜야... 2017-07-24 0 2183
614 나무야, 네 나이테 좀 알려주렴... 2017-07-24 0 2434
613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07-24 0 2321
612 여름아, 네가 아무리 더워봐라 내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가... 2017-07-24 0 2697
611 모든 비유는 다 시가 될수는 있다?... 없다!... 2017-07-24 0 2185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