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이런저런] - 찰나에 얻은 가치
2018년 05월 27일 00시 05분  조회:5035  추천:0  작성자: 죽림

로켓 발사 장면 찍다가
녹아버린 나사 사진가의 카메라

2018.05.25. 
 
 
 

로켓이 발사되는 찰나의 힘을 제대로 실감하게 하는 사진 한 장이 공개됐다.

지난 22일(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밴든버그 공군기지에서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이 발사됐다.

이날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사진가 빌 잉갈스(Bill Ingalls)는 로켓 사진을 찍기 위해 발사대 근처에 카메라를 여러 대 설치해두었다. 그리고 잉갈스는 발사대에서 떨어진 곳에서 리모컨으로 카메라를 작동했다.

로켓 발사가 끝난 뒤 카메라를 회수하러 간 잉갈스는 언덕 위쪽에 두었던 캐논 DSLR 카메라를 보고 깜짝 놀랐다. 로켓에서 뿜어져 나온 불꽃으로 인해 카메라 본체와 렌즈가 형제를 알아볼 수 없게 녹아있었기 때문이다.

잉갈스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녹아버린 카메라 사진을 공개하면서 "다른 곳에 설치된 카메라들이 더 있었는데 나머지는 모두 무사하다"고 전했다.

그는 "로켓 발사로 인해 언덕에 작은 화재가 발생하면서 카메라가 녹았다"며 "카메라는 소방관이 수거했다"고 밝혔다.


(▲ 잉갈스의 메모리카드 안에 남아있던 스페이스X 펠컨9이 발사되는 순간)

(▲ 카메라 주변에 화재가 난 모습도 찍혔다)

다행히도 로켓의 불꽃은 카메라의 메모리카드까지 태우지는 못했다.

무사히 남아 있던 잉갈스의 메모리카드 안에는 태평양을 배경으로 발사되는 로켓의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아울러 로켓 발사 직후 언덕에 불이 붙은 사진까지 모두 저장됐다.

미국 매체 쿼츠는 이를 두고 "카메라를 잃을 만한 가치가 있는 장면"이라고 평했다.

///YTN PLUS

///[사진 출처 = Facebook 'Bill Ingalls']

=================================

 

맑스 친필원고 1장,
중국서 백만원에 경매 나온다
(ZOGLO) 2018년5월25일 

사회주의사상을 정립한 칼 맑스의 친필 원고 한장이 중국에서 경매 시작가 100만원에 경매에 부쳐진다고 향항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7일 보도했다.

중국 경매 전문기업인 광시(匡时)국제경매는 오는 19일부터 21일까지 북경에서 맑스가 영국 경제학자 제임스 윌리엄 길버트의 저작 '은행실용업무개론'의 서평으로 작성했던 원고를 경매한다.

이는 맑스가 1850년부터 1853년까지 영국의 런던에서 살면서 썼던 24권 분량의 미발간 원고의 일부인데, 이들 원고는 대부분 베를린과 암스테르담의 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이번에 경매에 나온 맑스의 친필 원고는 단 한장으로, 영어와 독일어로 작성됐다.

경매 시작가는 무려 100만원에 달한다.

이 원고를 경매에 내놓은 사람은 부동산개발업과 은행업 등으로 돈을 번 중국 사업가이자 수집가이다.

맑스의 '광팬'을 자처하는 그는 이번 경매수익금을 자선과 력사연구에 기부할 계획이다.

이번 경매에는 맑스의 절친한 친구이자 '공산당선언'을 공동 작성한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1862년 독일 신문에 기고했던 평론의 친필 원고도 같이 나온다.

중국은 올해 맑스 탄생 200주년을 기념해 지난 3월 높이 5.5m, 무게 2.3t의 맑스 청동상을 맑스 생가가 위치한 독일 트리어시에 선물했다.

///인민넷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91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닐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07 0 4419
2916 [민속] - 이남박 2020-04-05 0 4465
2915 [민속] - 함지박 2020-04-05 0 4667
29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식량위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04 0 4376
2913 [그것이 알고싶다] - "짝짓기" 몇초 사이 호박속에... 2020-04-04 0 4351
2912 [세계속에서] - 애매불쌍한 유채꽃들... 2020-04-03 0 4117
2911 [민속] - 탈 2020-03-28 0 9230
2910 [민속] - 대장간 2020-03-28 0 5541
2909 [세계속에서] - 비상사태속에서의 은정... 2020-03-28 0 4513
2908 [민속] - 올개심니 2020-03-25 0 4310
2907 [그때 그시절] - 추억 영화 "꽃파는 처녀" 2020-03-24 0 4976
2906 [세상만사] - "가짜세상"... 2020-03-22 0 4154
2905 [민속] - 비녀 2020-03-21 0 6324
290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핵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21 0 4607
2903 [세계속에서] - 100배... 2020-03-19 0 4506
290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닐쓰레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8 0 4306
2901 [세계속에서] - 올림픽 "연기"? "연기"!... 2020-03-17 0 4026
2900 [세계속에서] - ...다면???... 2020-03-13 0 4058
2899 [별의별] - "원숭이 패싸움"... 2020-03-13 0 4351
2898 [민속] - 우물 2020-03-11 0 4754
2897 [세계소에서] - "악수금지령"... 2020-03-11 0 4755
289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1 0 4325
2895 [민속] - 한복 2020-03-10 0 7880
289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마스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0 0 4539
289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세균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0 0 4415
289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환경오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09 0 4272
289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온난화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07 0 4629
2890 [민속] - 방아 2020-03-07 0 6405
2889 [민속] - 바가지 2020-03-06 0 4442
2888 [세계속에서] - "나는 고발한다"... "그는 고발당하다"... 2020-03-06 0 4271
2887 [세계속에서] - 지나간 100, 앞으로 100... 2020-03-05 0 3962
2886 [별의별] - 세월, 시간, 시계, 시시비비... 2020-03-04 0 4819
288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의식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01 0 5100
288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27 0 4360
2883 [별의별] - "평평"... "둥글"... 2020-02-25 0 4457
288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전염병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24 0 4488
2881 [그것이 알고싶다] - "윷놀이" 2020-02-24 0 6170
2880 [타산지석] - 우리는 언제부터 "저작권문제"를 중시할려나... 2020-02-23 0 4243
287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호랑이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22 0 3521
2878 [그것이 알고싶다] - "베를린 국제영화제" 2020-02-21 0 445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