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산 호랑이"는 우리 친구...
2018년 05월 03일 21시 46분  조회:5150  추천:0  작성자: 죽림

'백두산 호랑이'..
아시아 최대 규모
백두대간 수목원에 방사

엄지원  2018.05.03. 
 
 
 

[뉴스데스크] ◀ 앵커 ▶

숲 속에서 뛰어노는 백두산 호랑이 보러 오세요.

백두산 호랑이가 뛰어노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수목원이 오늘 경북 봉화군에 문을 열었습니다.

야생 적응 훈련을 마친 호랑이 두 마리가 일단 방사됐는데요.

여러분도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엄지원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광릉수목원의 2.5배 크기, 5천 헥타르 규모의 백두대간 수목원입니다.

그 중심엔 '호랑이 숲'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람한 체구의 7살 수컷 '우리'가 넓은 숲을 제 집 마냥 어슬렁거립니다.

13살 암컷 '한청'과는 스스럼 없이 장난을 칠 정도로 친해졌습니다.

지난해 서울대공원에서 이주해온 우리와 한청은 반년 동안 숲 적응 훈련을 받아왔습니다.

[김용하 /백두대간 수목원 원장] "동물원에 가면 호랑이들이 굉장히 정적으로 있잖아요, 근데 여기 호랑이는 방사 훈련을 했습니다. 그래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모습들을 볼 수 있을 거고요."

호랑이 숲은 4.8 헥타르, 축구장 7개를 합친 넓이입니다.

자연 상태에 가깝게 나무와 대형 연못을 배치했고, 갑작스런 비바람이나 추위에 대비해 고인돌 구조에 열선도 설치했습니다.

야생성을 키우기 위해 하루 두 끼 식사로 닭 5킬로그램, 소고기 1.5킬로그램을 먹이고, 금요일마다 금식을 시킵니다.

백두산 호랑이들은 사육동에서 잠을 자고 낮에는 숲에서 지냅니다.

6미터 높이의 철조망과 전기 울타리 너머로 일반인들도 직접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나이 많은 17살 수컷 두만이도 적응 훈련 중인데, 수목원은 앞으로 10여 마리를 더 풀어놓을 계획입니다.

오늘 첫 문을 연 백두대간 수목원엔 식물 2천여 종, 385만 그루가 자라고, 식물종자 4만 6천 점을 보관한 '씨드볼트'도 설치됐습니다.

MBC뉴스 엄지원입니다.

엄지원 기자
=========================
 

(안동=뉴스1) 피재윤 기자 = 3일 경북 봉화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호랑이 숲에서 백두산 호랑이가 거닐고 있다.(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2018.5.3/뉴스1

===================

[앵커]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립 백두대간 수목원이 완공 3년 만에 정식으로 개장했습니다.

백두산 호랑이들이 숲에서 노니는 모습을 볼 수 있고, 멸종위기의 산림자원을 보존하는 역할도 하게 됩니다.

우한솔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경북 봉화군 문수산과 옥석산 일대.

5천 여 ha에 이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곳의 가장 큰 자랑거리는 단연 축구장 7배 넓이의 '호랑이숲'.

서울대공원에서 기르던 호랑이 13살 '한청이'와 7살 '우리'도 개장과 함께 이곳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감개무량하고 이게 야생이구나 이게 야산이구나 싶고, 깊은 산속에 있는 이런 촌에서 동물을 (볼 수 있어서) 기쁩니다."]

수목원은 이 숲에 호랑이를 10마리까지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마릿수를 늘려갈 계획입니다.

세계 최초의 지하터널형 종자 저장시설인 '시드 볼트'엔 2023년까지 멸종위기에 놓여있거나 연구가치가 있는 야생식물 종자 30만점이 저장됩니다.

연중 영하 20도를 유지하며 최대 2백만 점의 종자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김용하/국립백두대간수목원장 : "멸종위기 식물들을 수집을 해서 안전하게 보존하고, 복원하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이 되고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선 고산식물과 야생화 등 2천여종의 다양한 식물들도 만나볼 수 있어 숲을 통한 휴식과 치유의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우한솔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57 [고향축구] - "연변축구 응원가" 2017-09-24 0 3668
1356 [고향축제] - 중국 장백 "蜂蜜"절 2017-09-22 0 5429
1355 [고향자랑거리] -중국 룡정 854명 가야금 연주 기네스북 성공 2017-09-22 0 4564
1354 [고향문화인] -"연변인민"을 전국, 세계로 알린 저명한 작곡가 2017-09-22 0 3336
1353 [수석문화] -"수석은 내 강산의 뼈골이며 내 국토의 사리이다" 2017-09-22 0 5036
1352 [고향문화인] - 쿵쟈쨔 쿵쿵... 장고가락 울린다... 2017-09-22 0 5074
1351 [고향자랑거리] - 중국 도문 1000명 장고춤 기네스북 성공 2017-09-22 0 4307
1350 [고향자랑거리] - 중국 왕청 1000인 상모춤 기네스북 성공 2017-09-22 0 4488
1349 [고향자랑거리] - 중국 연변 집체드리볼 기니스세계기록 성공 2017-09-22 0 4699
1348 [이런저런] - 모기 눈알 최고급 료리라고?!... 2017-09-22 0 3612
1347 [쉼터] - 중국 중경시 = 판다 新星 35살이래ㅠ... 2017-09-22 0 4627
1346 [이런저런]-중국 료녕성 심양시에 "도서탑"이 없다?... 있다!... 2017-09-21 0 4678
13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리산에 곰이 없다?... 있다!... 2017-09-21 0 3122
1344 마광수님, 커피값 오천원 척척 내면서 책 안 사보려고 하고... 2017-09-21 0 3164
1343 [그것이 알고싶다] - 필리핀 닭싸움 2017-09-21 0 3943
1342 [그것이 알고싶다]연변에서 웬일인지 까치가 보기 드물다?! ... 2017-09-21 0 5201
1341 [쉼터] - 중국 귀주성 묘족 새, 닭 싸움 풍속 2017-09-21 0 5137
1340 [이런저런] - 중국 "쌍둥이 카니발" 130쌍 모이다... 2017-09-21 0 3746
1339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사천성 강족들 瓦爾俄足節 2017-09-21 0 4022
1338 [이런저런] - 중국 호남성 봉황고성 퉈강에서의 오리잡기 대회 2017-09-21 0 3597
1337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귀주성 묘족들 루성을 연주하다... 2017-09-21 0 4102
1336 [쉼터] - 세계에서 가장 비싼 음식 10 2017-09-21 0 3404
1335 [쉼터] - 조선말 방언, 하르가리루 가다듬새 답쌔겨야잼껴... 2017-09-20 0 4253
1334 [고향문단소식] - 중국 연변시조협회 25살이라네ㅠ... 2017-09-20 0 5061
1333 [이런저런] = 1895 + 600 + 2 2017-09-20 0 2834
1332 [이런저런] - 저승에 간 할아버지를 찾으려고 한 반려 고양이 2017-09-20 0 3540
1331 [쉼터] - 세상에 뿔 세개 달린 소가 없다?... 있다!... 2017-09-20 0 4127
1330 [그것이 알고싶다] - "투우"?... 2017-09-20 0 4655
1329 [쉼터] - 중국 연변황소- 투우로 지명도 높혀준다... 2017-09-20 0 4646
1328 [쉼터] - "도문 투우" = 중국 길림성 연변 브랜드 2017-09-20 0 4895
1327 도문엔 길림성에서 유일의 표준화한 "두만강투우장"이 있다... 2017-09-20 0 3345
1326 [쉼터] - 중국 길림성 연변 도문 투우시합 2017-09-20 0 5206
1325 [쉼터] - 중국 길림성 연변 조선족 투우절 2017-09-20 0 3314
1324 [쉼터] - 중국 길림성 연변에는 "투우절"이 없다?... 있다!... 2017-09-20 0 5332
1323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10대 축제?... 2017-09-20 0 3774
1322 [쉼터] - 중국 광서성 동족 투우절 2017-09-20 0 5135
1321 [쉼터] - 중국 귀주성 묘족, 동족 투우 민속 2017-09-20 0 3549
1320 [쉼터] - 중국 귀주성 묘족, 동족 투우 풍속 2017-09-20 0 4852
1319 [쉼터] - 중국 귀주성 동족 투우시합 2017-09-20 0 5504
1318 [쉼터] - 중국 귀주성 묘족 자매절 2017-09-20 0 6541
‹처음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