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새는 하느님이 만든 가장 고운 악기"...
2018년 03월 24일 23시 08분  조회:4464  추천:0  작성자: 죽림

<동시 속으로...>


+ 행복한 하느님 

새들은 하느님 것이다 
아무리 떠들어도 말릴 수 없고 
아무리 쏘다녀도 말릴 수 없으니. 

그렇고 말고, 새들은 하느님 것이다 
하늘을 휘저어 다니고 
구름 속을 마음대로 들락거리니. 

분명, 새들은 하느님 것이다 
깨어나며 고운 알껍질은 땅에 바치고 
작은 날개와 부리 
때묻지 않은 노래는 하늘에 바치니. 

하느님은 행복하다. 
(박두순·아동문학가) 


+ 산새 

하느님은 왜 
그 예쁜 새를 
산 속에 두시나. 

고운 노래 
잃지 않게 하려고. 
(박두순·아동문학가) 


+ 하느님에게 

때 맞춰 비를 내리시고 
동네 골목길을 
청소해 주셔서 고마워요. 

그런데 가슴 아픈 일이 있어요. 
개미네 집이 
무너지는 것이지요. 

개미네 마을은 
그냥 두세요. 

구석에 사는 것만 해도 
불쌍하잖아요. 
가끔 굶는다는 소식도 들리는데요. 
(박두순·아동문학가) 


+ 벌과 하느님 

벌은 꽃 속에, 
꽃은 정원 속에, 
정원은 토담 속에, 
토담은 마을 속에, 
마을은 나라 속에, 
나라는 세계 속에, 
세계는 하느님 속에, 

그래서, 그래서, 하느님은, 
작은 벌 속에. 
(가네코 미스즈·일본의 천재 동요시인, 1903-1930) 


+ 전화 받은 하느님 

생강나무 
산수유나무 
목련나무 
목마른 것 
어떻게 알았을까? 

준비물 깜빡했을 때 
엄마에게 전화하는 나처럼 
나무들도 하느님에게 
전화했나 보다. 

전화 끊자마자 
교문까지 헐레벌떡 달려오는 
우리 엄마처럼 
전화 받은 하느님 
고마운 단비 
주룩주룩 내려주시나 보다. 
(박선미·아동문학가) 


+ 꽃씨 한 개 

생각해 보았니? 
하느님께서 
이 세상을 처음 만드실 적에 
꽃씨도 꼭 한 개씩만 
만드셨단다. 
채송화 꽃씨도 한 개 
해바라기 꽃씨도 한 개 
맨드라미 꽃씨도 한 개 
그런데 보아라 
세상에 얼마나 많은 
채송화 꽃씨가 있고 
해바라기 꽃씨가 있고 
맨드라미 꽃씨가 있는지. 
꽃씨 한 개가 싹트고 자라고 퍼져서 
이토록 세상을 밝고 아름답게 
만들고 있구나. 
(김구연·아동문학가) 


+ 새의 악기 

새는 
하느님이 만든 악기입니다. 

그 악기가 소리를 내면 
우리의 귀는 깨어납니다. 

새는 
이 세상에서 
가장 고운 목소리로 
저희들끼리만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합니다. 

새가 노래를 하면 
풀잎들은 
살랑살랑 바람을 만들고 
꽃잎은 떨어져 
포올포올 편지가 됩니다. 

새는 
하느님이 만든 
가장 고운 악기입니다. 
(오순택·아동문학가, 1942-) 


+ 눈 온 날 

버스 정류장에 
헌 옷 입은 아저씨가 
빈 깡통 앞에 놓고 졸고 있다. 
사람들은 못 본 척 
버스를 탄다. 
하느님은 아까부터 
내려다보고 있었나보다. 
싸락눈을 
빈 깡통에 담아주고 있다. 
(오순택·아동문학가, 1942-) 


+ 별 

밤마다 책을 읽는 
풀벌레들의 등불이 되어 주었다고 

하느님이 날마다 
달님에게 착한 표를 주었다. 

달님은 
하느님께 받은 착한 표를 
친구들에게 자랑하고 싶어 

밤하늘 이곳 저곳 
반짝반짝 붙여 놓았다. 
(강현호·아동문학가) 


+ 자연 인터넷 

숲은 
자연의 인터넷 

햇살은 
투명 마우스 

나무는 
하느님의 저장 파일 

하느님이 
햇살 마우스로 
목련나무 파일을 누르면 

목련 나무는 
하얀 목련꽃 
저장 파일을 연다. 
(정갑숙·아동문학가) 


+ 나무 나이테 

올해도 
한 곳에서 한눈팔지 않고 
새에게, 다람쥐에게 
벌레에게, 개미에게 
바람에게, 나그네에게 
열심히 베풀며 살았다고 

하느님께서 나무에게 
작년보다 큰 동그라미 
하나를 그려 주셨다 
(권창순·아동문학가) 


+ 나무들도 걸었을 거야  

맨 처음엔 나무들도 걸었을 거야. 
뚜벅뚜벅 산길을 걸어 올라가던 나무, 
마을길을 걸어가던 나무, 
냇가를 걸어가던 나무에게 어느 날 선생님 같은 하나님이 
"제자리 섯!" 
호루라기를 불자 나무들은 모두 제자리에 멈춰 섰을 거야. 
걷기만 하지 말고 주변을 살펴보라고 말야. 
그래서 집 없는 새들에게 둥지를 틀 자리를 마련해 주고, 
온종일 서 있는 허수아비에게 손도 흔들어 주고, 
땀 흘리며 학교에서 돌아오는 아이들에게 그늘도 만들어 주고 있지. 
또 언제 하나님이 "앞으로 갓!" 호루라기를 불면 나무들은 모두 
다시 걸어갈 거야. 
도와 줄 일을 찾아 주변을 이리저리 살피면서 말야. 
(전영관·아동문학가)

 
 
prev
중국 융안 복숭아꽃 감상 절정에 달해, 하루 관광객만 1000명
요가쇼 현장 [촬영: 뤄롄융(羅聯永)]
next


 
                                                                                                       [인민망]=(年年歲歲花相似, 歲歲年年景不同:
세월이 흘러도 꽃 모습은 그대로인데 사람 모습은 달라졌네).
융안 죽해도화연(竹海桃花緣), 싼밍(三明) 융안에서ㅡ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0 산문에 산문률이 없다면 자칫 딱딱하고 재미없는 문투가 되다 2017-02-04 0 3450
169 시의 갈래 특성 재다시 복습하기 2017-02-04 0 3519
16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왼손잡이를 리해해주기... 2017-02-04 0 2436
16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를 산문으로 고쳐쓰기 2017-02-04 0 2715
166 "문학치료"로 삶의 질을 높일수 없다?... 있다!... 2017-02-04 0 2631
165 우리 고향 연변에서도 "시詩 항아리"가 류행되었으면?!... 2017-02-04 0 3865
164 2017년 <<신춘문예>>당선작 동시모음 2017-02-03 0 2869
163 "시(詩)"를 보면 절(寺)에서 하는 말(言)이다... 2017-02-03 0 3430
162 쉽고 친근한 시어로 시심을 불러 일으키는 시를 써라... 2017-02-03 0 2730
161 중국 혈통 미국 문학가 & 영국 문학사의 "세 자매 문학가" 2017-02-02 0 3160
160 현대시를 어떻게 읽어야 하나... 2017-02-02 0 2810
159 시의 첫줄은 신(神)이 주는것... 2017-02-02 0 2762
158 시어(詩語)는 없고 시의 언어만 있을 뿐...조탁언어(彫琢)를 쓰고 사어(死語)는 금물... 2017-02-02 0 3286
157 "개과(科) 남편과 고양이과(科) 아내" 지금도 잘 지내고 있는지 2017-02-02 0 3123
156 시보다 어눌한 령혼은 없다... 2017-02-01 0 3174
155 백지에 채워져야 할 순수 사랑을 위하여... 2017-01-31 0 2554
154 력사에 길이 남을 "락서"를 위하여... 2017-01-30 0 2812
153 [시문학소사전] - "락서(낙서)"란?... 2017-01-30 0 3607
152 문화속 생태를 알아보기 2017-01-30 0 2660
151 영문시 "국화옆에서" 2017-01-30 0 3350
150 [시문학소사전] - "팝 아트"란?... 2017-01-29 0 4570
149 "바람속에서 불어오는 답에 귀 기울여 보기를..." 2017-01-28 0 3254
148 2008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윤동주를 운운하다... 2017-01-27 0 2768
147 [자료] - 조선족 차세대 언어교육에 "살얼음장"이... 2017-01-27 0 2672
14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신정을 "양력설"로, 구정을 "음력설"로... 2017-01-26 0 2890
145 시적 발상, 령감, 동기, 언어 등 시작 준비를 구체적으로 해야 2017-01-26 0 2714
144 시인은 직접적 체험을 통하여 진실된 인생을 운운해야... 2017-01-26 0 2742
143 시는 이미지적 회화성과 배후에 숨겨진 의미성의 암시이다... 2017-01-24 0 2640
142 시인은 올바른 인생관과 정립된 가치관이 있어야... 2017-01-23 0 2892
141 "조선족 대표"와 "덜된 대표" 2017-01-22 0 2745
140 "조선족"과 "선족" 2017-01-22 0 2665
139 로익장(老益壯)의 문학을 위하여... 2017-01-22 0 2968
13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 어릴 때부터 글쓰기 훈련을... 2017-01-22 0 3379
137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어릴 때부터 인성교육을... 2017-01-22 0 2775
136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어릴 때부터 한자 공부를... 2017-01-22 0 3106
13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어릴 때부터 절약정신 교육을... 2017-01-22 0 2716
134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어릴 때부터 "말 잘하기"훈련을... 2017-01-22 0 3386
133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어릴 때부터 올바른 용돈교육을... 2017-01-22 0 2959
13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5000억 뇌세포를 깨우라... 2017-01-22 0 3517
13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어릴 때부터 동시조 공부를... 2017-01-22 0 2956
‹처음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