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는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며 직설이 아니라 우설이다...
2018년 02월 21일 00시 19분  조회:7842  추천:0  작성자: 죽림



 

<홍운 탁월법 烘雲托月法이 띄는 시>

 

 홍운탁월법(烘雲托月法)이라는 이 말은 수묵으로 달을 그릴 때, 달이 흰색이므로 그릴 수 없음을 감안하여 달 주변을 검게 칠함으로써 달을 드러내는 동양화 화법의 하나이다. 달리 말하면 양각화 기법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기법은 시작법(詩作法)에 그대로 적용되어야 한다. 드러내고자 하는 내용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주변의 것을 도모하여 감춰진 본질을 포착케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결혼하고 싶은 대상에게 “결혼 하자” “결혼하고 싶다”는 말을 직접 하지 않고 “한 평생 해주는 밥, 먹으며 살고 싶어” 또는 “한 평생 같은 베개, 베고 자고 싶어” 따위의 말로 결혼하고 싶은 자신의  뜻을 얼굴을 붉히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밝힐 수 있듯이 드러내는 간접적 수법을 말하는 것이다.

  ‘시는 의미해서는 안 된다. 다만 존재할 뿐이다’라고 말한 1920년대 이미지즘 시인인 아치볼드 매클리쉬의 말도 표현만 다를 뿐 본질은 홍운탁월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시의 형상화에 있어 동쪽에서 말하고 실제로는 서쪽을 친다는 성동격서(聲東擊西)라는 단어와도 맥이 닿아 있어 ‘시는 사실 그 자체를 말해서는 안 되고 우회적이면서도 등가적(等價的)이어야 한다’는 우설화법이 시 형상화의 근간임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이 우설화법이 전면에 배치되기만 하면 한편의 시가 완성되었다고 정의할 수 있느냐 그렇지는 않다. 그 이유는 모든 사물이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존재가치를 획득할 수 있느냐는 문제에 반(反)하는 원리와 같기 때문이다.

 시란 언어를 전제(前提)로 빚어지는 문학이기 때문에 언제나 반응의 속도가 느리고 때론 굴절, 심지어는 왜곡, 단절되기도 하는 것이다. 시란, 전적으로 음악이나 미술처럼 1차 반응으로 충족되는 예술이 아니다. 반드시 문자로 이해해야 한다는 필요조건의 전제가 충족될 때 한하여 의미와 개념이 전달되고 정서적으로 반응을 하게 되는 2차 반응영역이며 지적 반응영역인 것이다. 따라서 시는 즉흥이나 육감과는 거리가 먼 심층심리의 내면의 울림인 것이다. 시는 감정의 흥분을 멀리하고 지적 자극의 정서를 중시한다. 시는 육신의 율동을 거부하고 정신의 율동을 선호한다. 시는 태생적으로 언어를 매개로 의사를 소통하는 대원칙에서 벗어날 수 없다. 통사구조에 어긋나는 문장을 시에만 허락되어 있는 사이비진술이라는 특성에 포함시키면 안 된다. 아울러 시란 어떤 경우에도 구문론에서 요구하는 어순의 배열을 지키면서 의미가 상충하고 낯설음의 미학으로 극적효과를 높여야 하는 것이지 반시, 실험시, 해체시, 무의미시 따위로 조롱하듯이 파괴하며 써서는 안 된다. 또한 발전을 빌미삼아 새로운 영역 개척이라는 대의명분을 거창하게 외치며, 비문학에서 사용하는 정보전달 진술은 오용 남용하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용서할 수 없는 것이다.

 시란 모름지기 희랍에서 출발한 호머의 서사시에서 인생의 궁극적 진리를 파헤치려 했다. 그 시에 저항하여 대두된 것이 과학(자연과학)이다. 이때 시는 이미 비유, 상징, 압축을 통한 우설화법으로 접근을 하기 시작했고 과학은 사실과 정보로 모든 것을 규명하여 증명하려했던 것이다. 여기서 분명히 드러나는 것은 시는 우회적이면서도 등가적이어야 한다는 명제를 벌써부터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인데 과학과는 전혀 다른 양상임은 재삼 확인할 수밖에 없음이 매우 곤혹스러운 것이다.

 시는 오로지 시일뿐인 것이다. 그래서 시는 직선이 아니고 곡선이며 직설이 아니고 우설이며 홍운탁월법이다.

  따라서 시는 수필의 한 부분, 소설의 한 부분을 잘라놓고 시라고 고집 부리는 자들의 어리석음을 조소해야 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0 윤동주 서울 하숙집 가보다... 2017-03-17 0 2775
329 시쓰기는 보석쟁이가 값진 다이아몬드를 세공하는것과 같다 2017-03-17 0 2738
328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03-17 0 3322
327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03-16 0 4039
326 시비(詩碑)가 뭐길래 시비(是非)인거야... 2017-03-16 0 3093
325 한 편의 시에서 시의 1행이 주조행(主調行)이라 할수 있다... 2017-03-16 0 2849
324 윤동주 묘비에는 "詩人尹東柱之墓"라고 워낙 각인되여... 2017-03-16 0 3334
323 시인은 늘 령감의 메시지를 잡을줄 알아야... 2017-03-15 0 2950
322 시의 씨앗은 시인의 몸 안에서 "무자각적"으로 싹터 자란다... 2017-03-14 0 2837
32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골이 나다"의 유래 2017-03-14 0 2484
320 일본 교토 윤동주 마지막 사진 찍은 자리에 詩碑 세우다... 2017-03-13 0 3070
319 시 한편이 태여나는것은 늘 울고 웃는 과정을 그려가는것... 2017-03-13 0 2608
318 있어야 할건 다 있고 없을건 없다는 "화개장터" 2017-03-12 0 2872
317 우리 고향 연변에도 "詩碑자연공원"을 조성해야... 2017-03-12 0 3332
316 일본 문화예술인들 윤동주를 기리다... 2017-03-12 0 4416
315 일본 한 신문사 부장이 윤동주의 "빼앗긴 시혼(詩魂)"다루다... 2017-03-12 0 3138
314 일본 녀류시인 50세부터 한글 배워 시를 번역하다... 2017-03-12 0 3330
313 일본인 = "윤동주 선배가 나와 같은 의자에서 공부했다니"... 2017-03-12 0 2998
312 일본의 중견 시인이 윤동주 시를 일본어로 완역하다... 2017-03-12 0 3265
311 일본 녀류시인 이바라키 노리코가 윤동주 시에 해설을 달다... 2017-03-12 0 2936
310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 "실랑이" = "승강이" 2017-03-11 0 2716
309 조선어의 자멸의 길은 있다?... 없다!!!... 2017-03-11 0 3658
308 시는 짧음속에서 큰 이야기를 보여줘야... 2017-03-11 0 2256
307 독자들도 시를 보고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846
306 시인들이 시가 싫어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603
305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작문짓게 하기... 2017-03-08 1 3010
304 윤동주의 친구 문익환 목사도 시 "동주야"를 썼다... 2017-03-07 0 4805
303 청년문사 송몽규도 시를 썼다... 2017-03-07 0 3008
302 청년문사 송몽규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에 들다... 2017-03-07 0 4258
301 시인과 수석인은 이웃이다... 2017-03-07 0 2632
300 민족시인 윤동주를 연변 룡정 고향에서 모실수 있다는것은... 2017-03-07 0 2688
299 시는 생명의 황금빛이며 진솔한 삶의 몸부림이다... 2017-03-06 0 2797
298 시인은 죽기전 반항하면서 시를 써야... 2017-03-03 0 3439
297 시는 천년을 기다려서 터지는 샘물이여야... 2017-03-03 0 2545
296 시는 이미지 무덤이다... 2017-03-02 0 3017
295 시는 상식, 틀, 표준 등 따위가 깨질 때 탄생해야... 2017-03-01 0 2917
294 시 한수라도 마음속에 깊이 갈무리 해야 함은?!...ㅡ 2017-02-28 0 3666
293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02-28 0 2966
292 시는 "빈 그릇"이다... 2017-02-28 0 2649
291 시문학도들이 알아야 할 시창작원리 12가락 2017-02-27 0 2835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