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모든 죽어가는것" 中 하나가 "조선어"였던것 같다...
2018년 01월 09일 21시 29분  조회:2426  추천:0  작성자: 죽림
서울·교토·연변 하나로 이어준
윤동주 ‘서시’의 매력
2018년1월7일  작성자: 아야
2017년은 윤동주시인 탄생 100주년의 해였다. 그의 생일인 12월30일에 맞춰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있는 명동촌을 방문했다. 이곳은 시인의 고향이자 생가와 묘소가 있는 곳이다. 
  
중국에 가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어를 전혀 못하는 나는 공항에서 입국심사를 받을 때 불안해졌다. 의사소통이 잘 안 되어서였다. 연변까지 버스를 타고 5시간을 가는 동안 ‘조금이라도 중국어 공부를 하고 올걸 그랬다’며 후회했다. 그런데 연변의 중심인 연길 시내에 들어서면서부터 한글표기 간판들이 눈에 들어왔다. 갑자기 마음이 편안해지면서 언어가 심리적으로 주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 실감했다. 
  
윤 시인은 한국 시인 중에서도 일본에 가장 많이 알려진 시인이다. 팬도 많다. 나도 그 중 한 사람인데 그에 대해 깊이 알게 된 것은 교토 도시샤(同志社)대학에 있는 시비(詩碑)를 알고부터다. 윤 시인은 도시샤대 재학 중이던 1943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체포됐다.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한 지 50년이 되던 해인 1995년 도시샤대 재일코리안 졸업생들이 중심이 돼 시비를 설립했다고 들었다. 몇년 전 이 시비를 찾아오는 한국 여행객들이 많다는 소식을 듣고 가봤더니 실제로 10대나 20대로 보이는 젊은 여행객들이 잇따라 찾아와 꽃이나 편지를 바치고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교토의 숨겨진 명소를 소개하는 기획 기사를 담당했던 나는 2015년 2월 시인의 70주기에 맞춰 그 시비를 소개한 적이 있다. 그 취재를 하면서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에도 윤동주 시인의 열정적인 팬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도시샤대는 물론, 그 전에 시인이 다녔던 도쿄 릿교대학이나 옥사한 후쿠오카에서도 매년 기일에 가까운 2월 중순이면 추모 행사가 열리고 많은 사람들이 모인다. 또 탄생 100주년인 지난해 10월에는 윤 시인이 도시샤대 친구들과 같이 소풍을 갔던 우지천(川) 가까이에도 새로 시비가 세워졌다. 남겨진 그의 마지막 사진이 촬영된 그 곳에 시비를 세우기 위해 일본 팬들이 모금을 했다고 한다. 
  
이처럼 일본인들이 윤 시인에게 마음이 가는 첫번째 이유는 작품의 매력이지만 그의 비극적인 인생도 큰 이유가 됐으리라. 일본에서 윤 시인이 널리 알려진 계기는 유명 시인 이바라기 노리코(茨木のり子)라 자신의 에세이에 윤 시인의 작품과 그의 인생에 대해 쓰면서다. 그 에세이가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리면서 더더욱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됐다. 도시샤대의 시비와 마찬가지로 그 에세이에 등장하는 시도 윤 시인의 대표작 ‘서시’다. 
  
...
 
 
물론 일본어로 번역돼 있는데 둘 다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부분이 ‘모든 살아 있는 것을 사랑해야지’라는 뜻으로 쓰여 있다. 번역자는 나름대로 근거를 갖고 번역한 것이라고 하지만, 일본 내에서도 잘못된 번역이라는 지적이 많다. 나는 시비를 다루는 기사를 쓰면서 이 번역을 그대로 게재하면 안 될 것 같아 원어의 뜻을 같이 전달했다. 내가 이해하기로는 ‘모든 죽어가는 것’ 중 하나가 ‘조선어’였던 것 같다. 
  
조선인이지만 조선어를 마음대로 쓸 수 없었던 시대. 윤 시인은 위험을 무릅쓰고 끝까지 조선어로 시를 쓴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젊은 나이에 죽게 된 이유가 되기도 했기에 일본 독자들도 정확한 뜻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우리말을 빼앗긴 적 없는 일본 사람들은 그 아픔을 쉽게 이해하지 못한다. 그것을 나는 윤 시인에게서 배웠고, 보다 많은 사람이랑 공유하고 싶은 마음에 관련 이야기를 여러 번 글로 쓴 바 있다. 시인의 탄생 100주년은 지났지만, 그의 묘소 앞에서 약속했다. 앞으로도 시인의 정신을 잘 기억하고 내게 주어진 길을 걸어가겠다고 말이다. 
  
나리카와 아야 일본인 저널리스트(동국대 대학원 재학 중) 
[중앙일보] 입력 2018.01.06 01:00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90 화룡 두만강역 로과籍 - 방홍국 시 쓰다... 2017-12-16 0 2337
889 <섬> 시모음 2017-12-14 0 2355
888 "이 섬에서 저 섬으로 가고 싶다"... 2017-12-14 0 2843
887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2017-12-14 0 2598
886 시인은 "쉽고 편안하면서도 아름답고 품격있는 시"를 써야... 2017-12-14 0 2607
885 반도에서 최초의 성교육 동시집 "응아~" 태여나다... 2017-12-12 0 2188
884 모든 시인은 "자연파"이다... 2017-12-12 0 2582
883 {쟁명}하이퍼시에서 감정은 감옥세계에... 감각은 자유세상에... 2017-12-10 0 2187
882 노을아, 나와 놀쟈... 2017-12-09 0 3580
881 평화야, 어서 빨리 오너라... 닐리리 우리 함께 놀아나 보쟈... 2017-12-09 0 2340
880 작은것과 큰것... 2017-12-07 0 2525
879 [사투리공부] - 시 "진달래꽃"를 강원도 사투리로 보기 2017-12-06 0 2557
878 {쟁명} - 하이퍼시는 두차례 이상의 "도주"가 있어야... 2017-12-01 0 3072
877 "미안합니다, 동주"... "윤동주를 려행하다"... 2017-11-30 0 2912
876 징그러워 보이기도 하면서 아름다운 예술세계... 2017-11-28 0 4852
875 독일 유대계 녀류시인 - 넬리 작스 2017-11-21 0 2728
874 [쟁명] - 하이퍼시와 "다수"와 "소수" 그리고... 2017-11-20 0 2540
873 [시문학소사전] - 풍시조(諷詩調)란?... 2017-11-19 0 2718
872 누구나 시인이 될수 없다?... 있다!... 2017-11-18 0 2840
871 현대시 = 비유 2017-11-18 0 3150
870 현대시 = 이미지 2017-11-18 0 2508
869 시문학공부는 끝이 없다... 2017-11-18 0 3184
868 "낯설게하기"시공부 1 2 3... 2017-11-16 0 2773
867 시작은 고정관념을 파괴해야 생명력을 낳는다... 2017-11-16 0 3522
866 낯설기용법= 신선함 "회복창조"하는것, 새로운 시세계 구축... 2017-11-15 0 3455
865 "자화상"에서 "낯설게하기" 찾아보기... 2017-11-15 0 2608
864 낯설게하기란 기존의 코트를 해체, 파괴하는 용감한 행동이다 2017-11-15 0 2454
863 러시아 문예학자 - 시클로프스키 = "낯설게하기" 2017-11-15 0 4817
862 시는 낯설음의 미학이다... 2017-11-15 0 2987
861 시인은 무대(시)뒤에 숨어버린 감독이여야... 2017-11-15 1 2666
860 시인은 조탁능력이 있는 연금술자가 되여야... 2017-11-15 0 2569
859 글쓸 때 시집을 한쪽켠에 놓고 글써라... 2017-11-15 0 3305
858 시작은 "은유와 환유"라는 두 녀자를 사귀러 가는것이다... 2017-11-15 0 3430
857 시는 "광기적 드라마"이다... 2017-11-15 0 2586
856 시는 은유와 환유의 몸부림이다... 2017-11-15 0 3595
855 내전 중에 희생된 "철뚜기와 신비한 베일"에 싸인 시인 2017-11-14 0 4482
85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조문학교과서 4 5 6... 2017-11-14 0 3290
85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문학교과서 1 2 3... 2017-11-14 0 3155
85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세계에서 뛰여 놀쟈... 2017-11-13 0 3104
85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와 언어는 쌍둥이... 2017-11-13 0 3311
‹처음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